제1부에서는 우리 미술 이론 다지기의 일환으로 우리 미술 문화, 삼절 사상, 삼절주의 미술교육, 조선 시대 미술교육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1장 우리 미술 문화에서는 우리 미술과 문화 정체성, 우리 미술의 미적 특색, 삶을 위한 우리 미술 문화 양상, 우리 미술 문화 이해의 의의를 짚어보았다. 제2장 삼절 사상에서는 삼절의 의미, 우리 그림과 삼절 사상을 고찰하였다. 제3장 삼절주의 미술교육에서는 삼절주의의 배경, 삼절주의 미술교육, 삼절주의 미술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4장 조선 시대 미술교육에서는 조선 시대 미술교육관, 조선 시대 미술교육, 화원 교육에 대해서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우리 미술 읽기 교육 알아보기의 일환으로 우리 그림 읽기 교육, 우리 미술 비평 교육의 2개의 장을 구성했다. 제5장 우리 그림 읽기 교육에서는 우리 그림 읽는 방법과 우리 그림 읽기 교수-학습의 예, 우리 그림 읽기 지도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제6장 우리 미술 비평 교육에서는 조선 시대의 감식·수장론, 우리 미술의 비평 형식, 우리 미술 비평 교수-학습의 예를 제안하였다.
제3부에서는 우리 미술 교수-학습 살펴보기의 일환으로 우리 미술의 대표적 8개 장르인 산수화, 사군자, 풍속화, 민화, 청자, 분청사기, 백자, 옹기를 통해 우리 미술들의 의미, 역사적 배경, 조형성, 교수-학습 방법의 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Contents
머리말 _ 3
제1부 우리 미술 이론 다지기
제1장 우리 미술 문화… ……………………………………………17
1. 우리 미술과 문화 정체성 _ 18
가. 문화 정체성 _ 18
나. 우리 미술과 정체성 _ 19
2. 우리 미술의 미적 특색 _ 21
가. 자연미 _ 21
나. 소박미 _ 22
다. 해학미 _ 23
3. 삶을 위한 우리 미술 문화 양상 _ 24
가. 세화 _ 25
나. 병풍 _ 26
다. 합죽선 _ 27
라. 장승과 벅수 _ 29
마. 감모여재도 _ 30
바. 그림 감상 문화 _ 31
4. 우리 미술 문화 이해의 의의 _ 33
제2장 삼절 사상… ……………………………………………… 39
1. 삼절의 의미 _ 39
가. 삼절의 의미와 체제 _ 40
나. 삼절 사상과 육예(六藝) 체계와의 관계 _ 42
2. 우리 그림과 삼절사상 _ 46
가. 몽유도원도 _ 46
나. 진경산수화 _ 49
다. 풍속화 _ 52
라. 문인화 _ 56
제3장 삼절주의 미술교육… …………………………………… 69
1. 삼절주의의 배경 _ 70
가. 사회 문화적 배경 _ 70
나. 사상적 배경 _ 73
2. 삼절주의 미술교육 _ 74
가. 교육의 목표 _ 75
나. 교육과정 _ 76
다. 교육 평가 _ 80
3. 삼절주의 미술교육의 시사점 _ 83
제4장 조선 시대 미술교육… …………………………………… 87
1. 조선 시대 미술교육관 _ 87
가. 공리적 가치관 _ 88
나. 잡기·말예사상 _ 89
다. 수기적 가치관 _ 90
2. 조선 시대 미술교육 _ 92
가. 조선 이전의 미술교육 _ 92
나. 조선 전기의 미술교육 _ 93
다. 조선 후기의 미술교육 _ 95
3. 화원 교육 _ 99
가. 화원의 역할 _ 100
나. 화원의 선발과 직제 _ 108
다. 화원의 미술교육 _ 113
제2부 우리 미술 감상 교육 알아보기
제5장 우리 그림 읽기 교육……………………………………… 125
1. 우리 그림 읽는 방법 _ 125
가. 사회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읽기 _ 126
나. 우의 중심으로 읽기 _ 127
다. 동음이자의 원리로 읽기 _ 128
라. 고전적 명구 연관 지어 읽기 _ 129
마. 일화 중심으로 읽기 _ 129
2. 우리 그림 읽기 교수-학습 _ 131
가. 사회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읽기 _ 131
나. 우의 중심으로 읽기와 표현하기 _ 133
다. 동음이자의 원리로 읽기 _ 136
라. 고전 명구 연관 지어 읽기 _ 139
마. 일화 중심으로 읽기 _ 142
3. 우리 그림 읽기 지도의 의의 _ 145
제6장 우리 미술 비평 교육……………………………………… 149
1. 조선 시대의 감식·수장론 _ 150
2. 우리 미술 비평형식 _ 153
가. 시 형식의 비평 _ 154
나. 화제 형식의 비평 _ 155
다. 편지글 형식의 비평 _ 156
라. 열전식 비평 _ 158
마. 평론 형식의 비평 _ 160
3. 우리 미술 비평 교수-학습 _ 162
가. 시 형식의 비평하기 _ 162
나. 편지글 형식의 비평하기 _ 170
제3부 우리 미술 교수학습 살펴보기
제7장 산수화… ………………………………………………… 179
1. 산수화의 의미 _ 179
2. 역사적 배경 _ 181
가. 변천 _ 181
나. 사상적 배경 _ 184
다. 진경산수화의 등장 _ 187
3. 조형성 _ 188
가. 자연미 _ 189
나. 선의 예술 _ 189
다. 수묵성 _ 190
라. 여백미 _ 192
마, 삼절성 _ 193
바. 다시점 _ 193
4. 산수화 교수-학습 _ 194
가. 산수화 이해하기 _ 194
나. 산수화와 풍경화의 비교하기 _ 197
다. 관념산수화와 진경산수화의 비교하기 _ 199
제8장 사군자… ………………………………………………… 205
1. 사군자의 의미 _ 206
가. 개념 _ 206
나. 종류 _ 209
2. 역사적 배경 _ 214
3. 조형성 _ 216
가. 서예성 _ 216
나. 수묵성 _ 217
다. 여백성 _ 218
라. 상징성 _ 220
마. 사의성 _ 222
4. 사군자 그림 교수-학습 _ 223
가. 사군자 그림 읽기 _ 223
나. 사군자 그림과 풍속화 비교하기 _ 226
다. 난 그리기 _ 228
제9장 풍속화… ………………………………………………… 233
1. 풍속화의 의미 _ 233
가. 개념 _ 233
나. 종류 _ 234
2. 역사적 배경 _ 235
가. 사상적 배경 _ 235
나. 변천 과정 _ 237
다. 의의 _ 240
3. 조형성 _ 242
가. 해학성 _ 242
나. 선의 예술 _ 243
다. 풍자성 _ 244
4. 풍속화 교수-학습 _ 245
가. 〈서당도〉 읽기 _ 245
나. 〈석공〉과 〈돌 깨는 사람들〉 읽기 _ 248
다. 〈씨름도〉 읽기 _ 250
제10장 민화… …………………………………………………… 257
1. 민화의 의미 _ 257
가. 개념 _ 257
나. 종류 _ 259
2. 역사적 배경 _ 266
가. 발달 배경 _ 266
나. 의의 _ 268
3. 표현 특징 _ 270
가. 대칭·나열구조 _ 270.
나. 다시점 표현 _ 272
다. 강렬한 색상대비 _ 272
라. ‘본’의 사용 _ 273
마. 무(無) 낙관 _ 274
4. 조형성 _ 274
가. 해학성 _ 275
나. 단순성 _ 276
다. 상징성 _ 276
5. 민화 교수-학습 _ 280
가. 〈까치호랑이〉 그림 읽기 _ 280
나. 〈책거리〉 읽기 _ 282
다. 민화 그리기 _ 285
제11장 청자… …………………………………………………… 289
1. 청자의 의미 _ 290
가. 개념 _ 290
나. 종류 _ 290
2. 역사적 배경 _ 295
가. 사회 문화적 배경 _ 295
나. 변천 _ 297
3. 청자의 감상 관점 _ 299
가. 형태 _ 299
나. 문양 _ 300
다. 유약 _ 302
4. 청자 교수-학습 _ 303
가. 감상을 통한 청자의 이해 _ 303
나. 청자의 종류 이해 _ 305
다. 청자의 명칭 이해 _ 307
라. 고려도경 속의 청자 이해 _ 308
마. 상감기법의 이해 _ 310
제12장 분청사기… ……………………………………………… 313
1. 분청사기의 의미 _ 314
가. 개념 _ 314
나. 종류 _ 316
2. 역사적 배경 _ 319
가. 불안한 고려 말의 정세 _ 319
나. 고려 말 금속기의 사용 금지 _ 320
다. 사대부들의 취향 _ 321
3. 조형성 _ 322
가. 소박미 _ 322
나. 해학미 _ 323
다. 추상미 _ 324
4. 분청사기 교수-학습 _ 324
가. 감상을 통한 분청사기 이해 _ 324
나. 분청사기 종류 및 명칭 이해 _ 326
다. 분청사기와 백자 비교 감상하기 _ 328
제13장 백자… …………………………………………………… 333
1. 백자의 의미 _ 334
가. 개념 _ 334
나. 종류 _ 335
2. 역사적 배경 _ 339
가. 사회 문화적 배경 _ 339
나. 변천 과정 _ 341
3. 조형성 _ 343
가. 선의 미 _ 343
나. 수묵미 _ 344
다. 해학미 _ 345
4. 백자 교수-학습 _ 345
가. 감상을 통한 백자 이해 _ 345
나. 백자의 종류 및 명칭 이해 _ 347
다. 청자와 백자 비교 감상하기 _ 349
라. 백자 카드 만들기 _ 351
마. 백자 신문 만들기 _ 353
제14장 옹기… …………………………………………………… 357
1. 옹기의 의미 _ 358
가. 개념 _ 358
나. 종류 _ 359
다. 옹기의 특성 _ 361
라. 옹기의 유약 _ 363
2. 역사적 배경 _ 363
가. 변천 과정 _ 363
나. 의의 _ 364
3. 조형성 _ 368
가. 소박미 _ 368
나. 간결미 _ 369
다. 선의 미 _ 369
4. 옹기 교수-학습 _ 370
가. 옹기 감상하기 _ 370
나. 옹기 제작 체험하기 _ 372
다. 옹기 미니북 제작하기 _ 374
라. 옹기 신문 제작하기 _ 375
[출처] _ 379
찾아보기 _ 381
Author
류재만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에서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사로 19년 10개월을 근무하면서 초등학교 현장 경험을 쌓았고 미술교육 관련 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그동안 초등 미술 국정교과서, 검인정 초등 미술 교과서, 중등 미술 교과서를 집필했다. 『미술교육학』, 『초등 미술과 교수법』, 『미술교육이론과 사상』, 『재미있는 미술 감상 수업』, 『명화로 도덕수업을 바꾸다』, 『선생님, 오늘 미술 뭐 해요?』,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회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앙교육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교수이고 국립민속박물관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에서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사로 19년 10개월을 근무하면서 초등학교 현장 경험을 쌓았고 미술교육 관련 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그동안 초등 미술 국정교과서, 검인정 초등 미술 교과서, 중등 미술 교과서를 집필했다. 『미술교육학』, 『초등 미술과 교수법』, 『미술교육이론과 사상』, 『재미있는 미술 감상 수업』, 『명화로 도덕수업을 바꾸다』, 『선생님, 오늘 미술 뭐 해요?』,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회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앙교육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교수이고 국립민속박물관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