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행정론』은 본래 우리나라 교육행정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행정의 과제를 검토하고, 문제를 제기해보자 하는 의도에서 집필하였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초판의 취지를 그대로 유지하되, 이후 발생한 교육현장의 요구와 학문적 발전 추세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보완 작업을 하였다.
먼저, 최신 교육정책과 법령을 반영하였다. 초판 이후 세 번의 정부 교체가 있었고, 이에 따라 교육정책과 법령도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들을 독자들이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최신 교육 관련 법령과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현재의 교육행정 환경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가급적 현장의 사례를 풍부하게 제시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초판 출간 이후 교육 현장에는 혁신학교, 미래학교, 디지털 교과서, 늘봄교육, RISE 체계 도입 등 학교와 교육체제 전반의 기존 운영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변화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장의 변화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현장 사례들을 풍부하게 제시하여 독자들이 변화된 교육행정 현상을 보다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셋째, 국제기구 등 해외의 교육행정 논의와 국내외 연구 동향을 이 책의 취지에 맞게 업데이트하였다. 예를 들어 OECD의 국제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비롯하여 지난 12년 동안 진행되고 있는 국제적 논의 동향을 반영하였다. 교육행정의 이해와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국내외 연구 동향도 추가로 업데이트하였다. 특히 마지막 장에서는 교육행정 체제를 둘러싸고 있는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변화와 다양성 증가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한국 교육행정의 과제에 대해 논의를 추가하였다.
넷째, 독자들이 이 책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부 장의 내용을 새롭게 기술하였다. 독자 친화적인 명확한 설명과 논리적인 구성을 통해 교육행정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Contents
PART 01 교육행정의 개념과 교육행정에 대한 이론적 관점 / 9
CHAPTER 01 교육행정의 개념구조 11
1. 우리나라 학교의 발달과정과 교육행정 현상 11
2. 교육행정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과 학설 13
3. 교육행정에 대한 관점, 맥락적 특성과 교육행정의 원칙 22
CHAPTER 02 교육행정에 대한 이론적 탐구 39
1. 한국교육행정의 학문적 발달과정과 과제 39
2. 교육행정학의 발달과정 46
3. 교육행정에 대한 이론적 관점의 틀 49
4. 고전적 조직이론의 관점(Classical Organizational theory) 53
5. 조직 내 개인: 인간관계론의 접근 55
6. 행동과학적 접근 57
7. 개방체제 관점 61
PART 02 교육행정의 법적 기초 / 75
CHAPTER 03 헌법과 교육행정 77
1. 교육행정과 헌법 77
2. 헌법의 주요 내용 81
3. 헌법상의 교육에 관한 조항의 변천 86
4. 헌법상 교육행정의 원칙 89
5. 헌법재판과 교육행정 102
6. 교육행정에서 헌법 운용의 현실과 발전 과제 104
CHAPTER 04 교육 관계 법률의 구조 107
1. 교육제도와 법 107
2. 교육법의 법원 108
3. 교육 관계 법률의 입법과정 111
4. 교육 관계 법률의 구조와 내용 115
5. 교육 관계 법률의 발전 과제 128
CHAPTER 05 교육법의 쟁점과 과제 131
1. 교육행정과 법의 현실 131
2. 교육 관계 법률의 내용 136
3. 교육 관계 법률의 형식 142
4. 교육법의 수호 148
PART 03 교육 거버넌스 / 155
CHAPTER 06 교육행정과 거버넌스 개념의 등장 157
1. 거버넌스의 의미 157
2. 거버넌스 개념의 등장 배경 165
3. 거버넌스의 유형 168
4. ‘교육 거버넌스’의 현실과 발전 과제 178
CHAPTER 07 국제 및 국가 수준의 교육 거버넌스 185
1. 국제 수준의 교육 거버넌스 185
2. 국가 수준의 교육 거버넌스 195
3. 국제 및 국가 수준 거버넌스의 발전 과제 206
CHAPTER 08 지방 및 학교 수준의 교육 거버넌스 213
1. 지방 수준의 교육 거버넌스 213
2. 학교 수준의 교육 거버넌스 231
3. 지방 및 학교 수준 교육 거버넌스의 발전 과제 237
PART 04 교육정책 / 241
CHAPTER 09 교육정책의 과정 243
1. 교육정책이란 무엇인가 243
2. 교육정책의 과정 246
3. 교육정책 과정의 제이론 261
4. 한국의 교육정책 과정: 일반적 논의 275
5. 교육정책의 합리성 회복을 위한 과제 281
CHAPTER 10 한국교육정책의 전개과정 287
1. 한국교육의 발전단계 287
2. 새로운 과제를 제기하는 맥락 307
3. 새로운 대응: 학생중심, 협치(Governance), 수평적 다양화와 공동체 접근 310
PART 05 학교운영 / 317
CHAPTER 11 학교의 특성-학교란 무엇인가? 319
1. 학교의 의미 319
2. 학교조직을 바라보는 관점 324
3. 학교에 대한 변화된 관점 330
CHAPTER 12 교육 리더십 341
1. 교육 리더십의 의의 341
2. 교육적 리더십의 연구 342
3. 교육 리더십의 새로운 동향 349
4. 교육 리더십의 개념과 구성 요소 357
5. 한국의 교육 현실과 교육 리더십 전망 362
CHAPTER 13 학교혁신모형 369
1. 학교혁신의 의의 369
2. 학교혁신의 다양한 접근 371
3. 학교혁신의 딜레마: 변화의 어려움과 극복 방안 382
4. 학교혁신의 국내 사례 385
PART 06 교육행정의 주요 과제 / 395
CHAPTER 14 학생의 학업 성취 397
1. 한국 학생의 학업성취 실태 397
2. 학업성취에 대한 국제 비교 시사점 401
3.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3
4. 학생 학업성취에 대한 새로운 접근 407
CHAPTER 15 교원의 역량개발 417
1. 교원 역량개발의 개념과 중요성 417
2. 교원 역량개발을 위한 국내외 사례 421
3. 교원 역량개발의 주요 유형 425
4. 교원역량개발의 도전과제 430
5. 미래 지향적인 교원 역량개발의 방향 432
CHAPTER 16 교육과정 운영과 교육행정 437
1. 교육과정행정의 개념과 의의 437
2. 교육과정 행정의 구조와 조직 439
3. 학교제도 설계와 교육과정 449
4. 학교 조직과 교육과정 운영의 표준 운영 절차 451
5. 교육과정정책의 전개와 현황 454
6. 교육과정행정의 과제 458
CHAPTER 17 학생 복지와 교육행정 465
1. 교육행정에서 학생의 위치 465
2. 학생의 현실 469
3. 학생 인사 행정의 현황 472
4. 위기 학생과 학생 복지 475
5. 학생 인권 현실과 과제 478
6. 학생의 학교 운영 참여의 현실과 과제 483
CHAPTER 18 교육재정 운영의 효율화 491
1. 교육재정의 의미 491
2. 교육재정의 효율화 494
3. 교육재정의 실제적 흐름: 확보, 배분, 집행, 평가 502
4. 교육재정의 발전 과제 518
CHAPTER 19 교육의 책무성과 교육행정 525
1. 교육 책무성의 개념과 유형 525
2. 교육 책무성의 확보 기제 533
3. 교육 책무성의 발전 과제 547
4. 고등교육 책무성 기제에 대한 성찰과 향후 과제 550
CHAPTER 20 한국교육행정의 과제 557
1. 새로운 상황 557
2. 교육행정의 과제 565
3. 결론 572
찾아보기 577
Author
이종재,이차영,김용,송경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석사과정(교육행정전공)을 수료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교육 60년』(2010, 공저), 『사교육: 현상과 대응』(2010, 공저), 『한국교육행정론』(2012, 공저), 『교육정책론』(2015, 공저) 외 다수가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석사과정(교육행정전공)을 수료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교육 60년』(2010, 공저), 『사교육: 현상과 대응』(2010, 공저), 『한국교육행정론』(2012, 공저), 『교육정책론』(2015, 공저)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