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교육의 등장과 성장

$27.22
SKU
978892541898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7/12 - Thu 07/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7/9 - Thu 07/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6/10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88925418988
Categories 대학교재 > 사범대 계열
Description
1894년에서 1945년에 이르는 50년은 이 땅에 근대교육이 등장하고 성장하며 현재 우리나라 교육의 원형이 형성된 시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주지하다시피 이 시기 학교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갈등과 협력, 혹은 경쟁이 첨예하게 전개되면서 이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교육적 특질이 학교 현장에 단단히 뿌리내리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이 반세기에 걸친 근대교육의 등장과 성장, 그리고 굴절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별히 이 책에서는 우리에게 근대교육은 무엇이며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를 드러내고자 했다. 기존에 근대교육은 전통교육과의 불철저한 단절, 열악한 교육재정과 교육여건, 일반인들의 인식 부족, 외세의 간섭과 통제 등으로 폄하되는 경우가 많았다. 과연 근대교육은 우리에게 많은 좌절과 실패와 상처만을 남긴 구시대 유물인가? 필자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갑오개혁 이후 한말에 등장한 새로운 학교, 학교행사(비교과 활동), 교원양성제도 등에 주목하였다. 이것들이 등장해서 운영됨으로써 어떤 성과가 나타났는지 혹은 전국에 확산하면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당시 근대교육의 역사적 위상을 가늠해 보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온갖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역경을 이겨내고 성장하던 근대교육이 일제시기에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를 학생 군사교육 정책과 운영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알아보려고 했다.
Contents
제1편 새로운 학교의 등장과 운영

제1장. 한말 강화지역 사립 보창학교의 등장과 성장 15
Ⅰ. 머리말 15
Ⅱ. 강화 보창학교 본교의 등장과 성장 18
1. 강화 육영학교의 설립과 운영 18
2. 강화 보창학교로의 전환 27
3. 강화 보창학교 본교의 성장 29
4. 일본군의 탄압과 재건, 그리고 의무교육시행안 35
Ⅲ. 강화 보창학교 본교의 이전 과정 41
Ⅳ. 강화지역 보창학교 지교의 등장과 성장 48
1. 강화지역 지교의 등장과 확산 48
2. 강화지역 지교의 지리적 분포 54
3. 강화지역 지교 설립자의 사회적 배경 56
4. 강화지역 지교의 학과체제와 운영 61
Ⅴ. 맺음말 63

제2장. 강화 사립 보창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과 성과 69
Ⅰ. 머리말 69
Ⅱ. 강화 보창학교 교과과정의 운영 73
1. 교과목 편성과 운영 73
2. 교원의 구성과 특징 80
3. 교육방법 및 평가 89
Ⅲ. 강화 보창학교의 비교과과정 운영 92
1. 학교운동회의 활성화 92
2. 웅변·연설회의 운영과 교가 99
Ⅳ. 강화 보창학교 졸업생의 진로 및 사회활동 101
1. 상급학교 진학 상황 106
2. 졸업 후 사회활동 및 경력 108
Ⅴ. 맺음말 112

제3장. 강화 사립 보창학교의 재정수입 분석 117
Ⅰ. 머리말 117
Ⅱ. 보조금의 규모와 추이 119
Ⅲ. 사찰 토지의 이속 과정과 도조수입 추정 123
1. 전등사와 적석사의 토지 이속 과정 123
2. 도조 수입액의 추정 126
Ⅳ. 기부금 수입 분석 131
Ⅴ. 전체 재정수입 규모와 구성 133
Ⅵ. 맺음말 136

제2편 새로운 비교과 활동의 성장과 성격

제4장. 한말 한성의 관공사립학교 연합 운동회와 통합, 그리고 문명화 141
Ⅰ. 머리말 141
Ⅱ. 학부주관 연합운동회의 재등장 144
Ⅲ. 학부주관 연합운동회, 그리고 통합 147
Ⅳ. 일제의 관여와 문명화 153
1. 일제의 관여와 통제 153
2. 관공사립학교 연합운동회 종목의 변화 158
3. 관공사립학교 연합운동회와 ‘문명화’의 사명 162
Ⅴ. 맺음말 169

제5장. 한말 지방 학교운동회의 성격 형성과 중층성 173
Ⅰ. 머리말 173
Ⅱ. 지방 학교운동회, 그리고 계몽과 저항 174
1. 계몽적 경기의 확산과 지역주민의 계몽 175
2. 전투적 학교운동회의 등장과 저항 179
Ⅲ. 경쟁으로서의 학교운동회의 정착 188
Ⅳ. 맺음말-학교운동회의 중층성 196

제3편 근대적 교원양성제도의 형성과 운영 성과

제6장. 관립 사범학교의 등장과 교원양성제도의 형성 207
Ⅰ. 관립 교원양성기관의 등장, 1894년 207
Ⅱ. 국가적 교원양성제도의 등장과 개혁관료 211
Ⅲ. 국가적 교원양성제도의 변천과 특질 형성 218
1. 교원양성교육의 목표 성립과 변천 218
2. 학생선발 및 임용 제도의 형성 220
3. 학과편제 및 교과과정의 형성 224

제7장. 국가적 교원양성제도의 운영 성과 229
Ⅰ. 제1세대 근대적 교원집단의 창출 229
Ⅱ. 졸업생 분석-문명개화와 사회변화의 선도자 배출 234
Ⅲ. 근대 교육학의 수용과 발전 241
Ⅳ. 근대적 교원양성제도 형성의 의의 249

제4편 한국 근대교육의 굴절

제8장. 일제시기 학생 군사교육 정책의 성립과 전개 259
Ⅰ. 한말 병식체조의 소멸과 ‘교련’의 등장 259
Ⅱ. 육군현역장교학교배속령과 군사교련실시안의 성립 과정 261
Ⅲ. 조선인 군사교련의 확대와 군사교련의 목적 267
Ⅳ. 군사교련의 목적 변화와 전면적 확대 강화 277
Ⅴ. 학생 군사교육 정책 변동의 동인 284

제9장. 일제시기 학생 군사교육의 내용과 운영 287
Ⅰ. 군사교육의 내용 변천: 교련교수요목을 중심으로 287
Ⅱ. 학생 군사교육의 담당자: 배속장교의 특징과 역할 293
1. 배속장교의 특징 297
2. 배속장교의 역할 및 조선인 배속장교 299
Ⅲ. 학생 군사교육의 유형과 운영 상황 305
1. 교내 교련수업의 운영 실태 306
2. 야외연습의 종류 및 실시 상황 308
3. 군사강습(병영숙박)의 운영 실태 316
4. 교련사열의 절차와 운영 실태 320
Ⅳ. 군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 저항과 동화의 이중주 324
1. 저항의 양상과 적극적 참여 324
2. 동화의 양상과 폭력의 기제 328
Ⅴ. 학생 군사교육의 성격과 영향 335

참고문헌 341
부록 357
찾아보기 375
Author
김성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교육학 박사). 현재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RC융합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한국 근ㆍ현대교육의 형성, 서구교육학 수용 과정 등이다. 주요 저ㆍ역서로 『서구교육학 도입의 기원과 전개』, 『한국 근대교육의 탄생』, 『현대 한국교육의 인식』(공저), 『신찬교육학: 한국 최초의 교육학 교과서 1895』(역주), 『졸업장열병』(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근대 학교운동회의 탄생-화류에서 훈련과 경쟁으로」, 「군대식 학교규율의 등장 과정과 사회적 기능」, 「경성사범학교 학생 훈육의 성격」, 「일제시기 관변 교원단체의 형성과정과 그 사회적 기능」, 「한말 강화지역 사립보창학교의 등장과 성장」 등 다수가 있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술상(1996년), 한국교육사학회 학술상(2009년)을 수상한 바 있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교육학 박사). 현재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RC융합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한국 근ㆍ현대교육의 형성, 서구교육학 수용 과정 등이다. 주요 저ㆍ역서로 『서구교육학 도입의 기원과 전개』, 『한국 근대교육의 탄생』, 『현대 한국교육의 인식』(공저), 『신찬교육학: 한국 최초의 교육학 교과서 1895』(역주), 『졸업장열병』(공역)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근대 학교운동회의 탄생-화류에서 훈련과 경쟁으로」, 「군대식 학교규율의 등장 과정과 사회적 기능」, 「경성사범학교 학생 훈육의 성격」, 「일제시기 관변 교원단체의 형성과정과 그 사회적 기능」, 「한말 강화지역 사립보창학교의 등장과 성장」 등 다수가 있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술상(1996년), 한국교육사학회 학술상(2009년)을 수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