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에의 초대

$29.10
SKU
978892541819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9/05
Pages/Weight/Size 188*235*30mm
ISBN 9788925418193
Categories 대학교재 > 사범대 계열
Description
사실 교육학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의 필요성은 이미 오래전에 제기되었다. 특히 평생교육학계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교육을 ‘교육주의 교육’ 또는 ‘교수주의 교육’으로 규정하면서 그 대안으로 ‘학습주의 교육’을 주장하는 담론이 유통되기 시작했다. 교육의 언어를 학습의 언어로 대체하려는 이런 시도는 구성주의 학습이론, 교육의 종말을 함의하는 포스트모던 담론, 공급자의 판단보다 수요자의 선택을 중시하는 신자유주의 사상 등으로 인해 더욱 힘을 받고 있다. 교육보다 학습에 더 많은 관심이 있는 일부 교육학자는 ‘교육’을 ‘학습관리’로, ‘교육학’을 ‘학습학’으로 대체하자는 주장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가르치는 자 중심’의 교육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교육’이나 ‘교육학’이라는 개념 자체를 폐기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가르치는 자 중심’의 교육의 대안을 ‘배우는 자 중심’의 교육에서 찾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교육은 가르치는 주체(teaching agent)나 배우는 주체(learning agent) 어느 한쪽과 관련된 활동이라기보다는 이들 두 주체의 상호작용, 즉 상호주체성과 관련된 과업이기 때문이다. 교육철학자 게르트 비에스타(Gert Biesta)의 지적처럼, 교육은 (가르치는) 주체와 (배우는) 주체의 만남이라는 특성 때문에 본질적으로 어려운 활동이다. 제3판 개정 작업도 교육과 교육학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라는 문제의식을 놓지 않으려고 애를 썼다. 본 개정판에서는 교육과 관련된 본질적인 질문을 염두에 두고, 각 장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관련 내용을 최대한 수정·보완하고자 시도했다.
Contents
제3판 머리말 3
제2판 머리말 5
제1판 머리말 7

제1부/교육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변해왔나? 15

Chapter_ 1 교육의 필요성과 성격 17
제1절 교육의 필요성과 유형 19
제2절 교육의 기본 요소 28
제3절 교육학의 성격과 교육의 비전 38
Chapter_ 2 교육의 개념과 목적 53
제1절 교육의 의미와 교육관 55
제2절 교육의 여러 가지 정의 64
제3절 교육의 목적 77
Chapter_ 3 한국교육사 개관 89
제1절 전통 사회의 교육 91
제2절 일제 강점기의 교육 102
제3절 현대 사회의 교육 107

제2부/인간은 어떻게 발달하고 어떻게 배우나? 119

Chapter_ 4 인간발달과 교육 121
제1절 인간발달의 특징 123
제2절 유전과 환경 130
제3절 인지발달 135
제4절 정의적 발달 147
Chapter_ 5 학습이론 159
제1절 행동주의 학습이론 161
제2절 인지적 학습이론 170
제3절 정보처리이론 180
Chapter_ 6 수업이론과 수업매체 193
제1절 수업의 준비 195
제2절 수업의 과정 201
제3절 수업매체 220

제3부/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하나? 229

Chapter_ 7 교육과정의 이해 231
제1절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 이야기 233
제2절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교육과정의 세 가지 관점 239
제3절 교육과정의 다양한 의미 243
Chapter_ 8 교육평가의 이해 251
제1절 교육평가의 의미 253
제2절 교육평가에 대한 관점 255
제3절 교육평가의 유형 260

제4부/교육은 사회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나? 267

Chapter_ 9 교육평등의 관점 269
제1절 교육평등의 관점 271
제2절 교육과 사회평등의 관계 275
제3절 한국 산업화 과정에서 교육과 사회계층이동 285
Chapter_ 10 교육과 직업성취 293
제1절 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295
제2절 학력주의와 능력주의 304
Chapter_ 11 공교육제도의 태동과 전개, 그리고 미래 317
제1절 공교육의 개념 319
제2절 공교육제도 태동의 배경 321
제3절 공교육제도에 대한 도전과 대응 논리 325

제5부/교육을 어떻게 운영하고 관리하나? 337

Chapter_ 12 교육행정의 원리와 학교조직 운영 339
제1절 교육행정의 개념과 원리 341
제2절 교육행정의 접근 348
제3절 학교조직 운영의 최근 동향 359
Chapter_ 13 교육정책의 이해 371
제1절 교육정책의 개념 373
제2절 교육정책의 과정 374
제3절 교육정책과정의 참여자 388
제4절 교육정책과 법률 390
Chapter_ 14 교직과 교사 395
제1절 교사의 개념과 중요성 397
제2절 전문직의 특성에 비추어 본 교직의 특성 403
제3절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능력 407

찾아보기 421
Author
홍은숙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교육문화기초학과 박사
(Ph. D., 교육철학 전공)
前 성결대학교 교직부 교수, 교직부장
교육대학원장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現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명예교수

<주요 저서>
지식과 교육(1999)
현대사회와 교육의 이해(개정판)(2004, 공저)
교육의 개념: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2007)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교육문화기초학과 박사
(Ph. D., 교육철학 전공)
前 성결대학교 교직부 교수, 교직부장
교육대학원장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現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명예교수

<주요 저서>
지식과 교육(1999)
현대사회와 교육의 이해(개정판)(2004, 공저)
교육의 개념: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