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직론

$25.30
SKU
978892541645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25416458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직도(直道)는 4,500여 년 전 요·순(堯·舜) 임금시대로부터 내려와서, 3,000여 년 전 공자(孔子)에게 이어져 인간존재의 본질로 전승된 유교인문정신(儒敎人文精神)의 정수(精髓)이다. 이를 증자(曾子)와 맹자(孟子)가 이어가고, 정명도(程明道)와 주희(朱熹)에 이르러 유가(儒家)학문의 요결(要訣)로 집대성되었으며, 성인(聖人)이 만사(萬事)에 응하고 성현(聖賢)이 서로 상전(相傳)한 심법(心法)으로 전승되었다.

이를 조선에서는 처음으로 구봉 송익필이 「김은자직백설(金?字直伯說)」을 지어서 자설(字說)의 학문적 수수형식을 갖춘 문장으로써 제자인 김장생에게 전승하였다. 이후 송시열과 권상하 등에게 이어져 근·현대의 한국 유학자들에게까지, 직(直) 자를 넣은 이름과 자(字)나 호(號), 그리고 서재명(書齋名) 등을 통해 심법으로 계승되고 있다. 이러한 직도(直道)는 동서(東西)의 학파를 초월하여 당면한 시대적 현실에서 외세의 침략과 불의에 항거하는 의병과 독립운동의 선비정신이자 시대정신으로 구현되었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현대 한국인들의 일상 속에서, “정직(正直)하게 살아라.”, “솔직(率直)해야 한다.”는 부모님이 항상 하는 잔소리로 이어지고 있으며, 사회에서는 위정자나 공직자 등의 민주시민이 갖추어야 하는 바람직한 인간 덕성의 준거로서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학교에서는 인성교육의 핵심가치덕목인 “정직(正直)함”으로 교육되고 있다.

이로 볼 때 직도(直道)는 요·순(堯·舜)으로부터 4,500여 년 동안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전승되어 오고 있는, 소중한 “한국인문정신문화(韓國人文精神文化)의 정수(精髓)”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전통적인 한국정신문화유산으로서의 직(直)사상은 향후 21세기를 선도해 나아갈 한국 미래세대의 정신문화적 핵심역량이 될 수 있으며, covid-19 이후 팬데믹 세계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으로서의 “정직론(正直論)”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동양인문정신과학의 근본적 근거논리로서 하나의 접근 방법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Contents
CHAPTER 01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인간다운 삶인가 9

1. 인간의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9
2. 정직(正直)은 왜 현대 인간의 삶에 필요한 덕목인가 12
3. 동양 유가(儒家)철학에서의 인간존재에 대한 이해 19
4. 존재의 원리는 하나 34
5. 인간답게 살아가는 방법, 어떻게 살 것인가? 56

CHAPTER 02 정직(正直)이란 무엇인가 63

1. 직(直)의 사전적 의미 63
2. 직(直)은 선(善)과 불선(不善)을 결정하는 성의(誠意)의 원리 69
3. 정직(正直)과 솔직(率直)의 개념 85

CHAPTER 03 유가(儒家) 학문에서의 직(直)사상 이해 97

1. 유교 경전(經傳)에서의 직(直)사상 이해 97
2. 선진(先秦) 유학자들의 직(直)사상 이해 111
3. 직(直)의 개념 종합 정의(定義) 127

CHAPTER 04 조선 유학에서의 직(直)의 전승 고찰 137

1. 고려 말 조선 초 유학자들의 직(直)사상 이해 137
2. 직(直)을 통한 기호유학, 근현대까지의 전승 관계 147
3. 영남유학에서의 직설(直說) 고찰 195
4. 조선유학에서의 직(直)사상 계승 연대별 도표(圖表) 198

CHAPTER 05 조선유학의 직(直)사상 전승 가치와 문제점 203

1. 직(直)사상의 조선유학 전승에 관한 가치와 현대적 의의 203
2. 조선유학에서의 직(直)사상 계승에 관한 문제점과 과제 211
3. 조선유학 직(直)사상 전승 학풍에 따른 현대 학문에서의 영향 226

CHAPTER 06 인성교육의 핵심 가치덕목, 정직(正直) 231

1. 인성(도덕윤리)교육의 이해 231
2. 한국 인성교육에서 정직(正直)의 필요성 236
3. 인성교육 덕목 인(仁)과 직(直)의 관계 239
4. 인성교육(도덕윤리교육)에서의 정직(正直) 258
5. 정의(正義)로운 사회 소통원리의 정직(正直) 282
6. 환경윤리, 책임(責任)덕목 함양방법의 정직(正直) 293
7. 공학윤리(工學倫理)에서의 정직(正直) 298
8. 공직윤리(公職倫理)에서의 정직(正直) 303
9. 팬데믹 이후의 21C 글로벌 세계를 선도할 한국정신문화의 정수(精髓), 정직(正直) 309

CHAPTER 07 맺음말 315

부 록 참고문헌 320
Author
김창경
동양철학 박사. 20여 년 전,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떠한 존재인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바이칼에서 시작된 우리 민족의 시원과 대흥안령산맥을 넘어 만주 지역으로 이동하는 여정에 나섰다. 이 글이 분단된 작은 공간 속에서 정체성을 잃고 있는 우리의 역사와 정신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게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 현재 충남대학교와 서원대학교에서 철학과 윤리교육을 강의하고 있으며, 구봉문화학술원(龜峯文化學術院)의 부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구봉 송익필의 도학사상』, 『바이칼에서 북만주까지』(2021) 있다.
동양철학 박사. 20여 년 전,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떠한 존재인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바이칼에서 시작된 우리 민족의 시원과 대흥안령산맥을 넘어 만주 지역으로 이동하는 여정에 나섰다. 이 글이 분단된 작은 공간 속에서 정체성을 잃고 있는 우리의 역사와 정신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게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 현재 충남대학교와 서원대학교에서 철학과 윤리교육을 강의하고 있으며, 구봉문화학술원(龜峯文化學術院)의 부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구봉 송익필의 도학사상』, 『바이칼에서 북만주까지』(2021)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