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프리즘(prism)에 비유될 수 있다. 학생들은 학교에 입학할 때 투명한 빛처럼 들어가지만 졸업할 때는 확연히 구별되는 색깔로 나누어진다. 학교의 분류 기능은 은밀하게 이루어지지만 강력하다. 우리는 학교생활을 통해서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였다. 학교는 학생들의 열망을 높이지만 포부를 접게 만들기도 한다. 학교는, 프리즘처럼 기능함으로써, 세대를 이어가며 불평등을 재생산한다.
계단은 높이가 적합해야 한다. 계단의 단계가 너무 높으면 계단(stairs)으로서의 기능은 상실되고 장벽(wall)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되면 계단 아래에 있는 사람은 오를 수 없고 위에 있는 사람은 계단을 절벽(cliff)으로 인식하게 된다. 장벽을 마주한 사람들은 오를 수 없어 절망하고 절벽 위에서 내려다보는 사람들은 떨어질까 두려워 안절부절못한다. 장벽과 절벽으로 인식되는 계단이 만들어지는 사회는 분열될 수밖에 없다. 한국에서는 모두의 희망이었던 교육 계단이 장벽으로 그리고 절벽으로 변질하고 있다. 교육 불평등이 구조화되면서 재생산되고 있다.
학교교육은 사적 출세의 도구로만 이용되면서 생산성, 창조성, 활력의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학교교육이 공익성을 상실함으로써 학교가 시장(市場)처럼 변하고 심지어 난장(亂場)으로 변질하고 있다. 학교교육이 생산성, 창조성, 활력의 원천으로 작동하려면, 우리가 교육 불평등의 구조화와 재생산을 저지해야 한다. 충분하지는 않더라도 필요한 조건은 현실을 직시하고 불공정, 부정의, 불평등 현상을 간파하고 비판하는 일이다. 그리고 나 자신 속에 움츠리고 있는 이기주의와 기회주의를 항상 경계하는 일이다.
Contents
서론 교육 평등화: 한국 사회의 긴박한 과제 … 3
감사문 신뢰에 대한 감사 … 21
1. 교육 불평등의 구조화: 교육망국론의 전조 … 27
1-1. 한국 사회의 교육열: 교육출세론의 작용 / 29
1-2. 교육상속론의 출현: 부모주의의 필연 / 40
2. 양육과 보육의 불평등: 불평등의 묘판 … 59
2-1. 출생의 운명적 작용: 우연이 필연으로 / 62
2-2. 양육에 첨가된 교육: 때 이른 교육 경쟁 / 81
2-3. 보육의 학교교육 체제화: 가정 밖 보육의 양극화 / 95
4. 학습 기회의 불평등: 학업성취 격차의 동인 … 169
4-1. 지식과 학교 지식: 보편타당성에 대한 회의 / 174
4-2. 교과과정의 다양한 기능: 공식적, 잠재적, 은폐된, 배제된 교과과정 / 195
4-3. 능력별 집단화와 계열화: 효율화를 내세운 분절화 / 216
4-4. 교수-학습 상황에 작용하는 불평등: 지배집단 문화의 정통화 / 230
5. 대학 교육의 불평등: 교육격차의 공인 … 259
5-1. 엘리트 교육의 대중화: 학력 인플레이션의 공유지 비극 / 261
5-2. 대학 교육의 취업 효과: 일자리경쟁론의 지배 / 291
5-3. 대졸 청년의 실업과 하향취업: 공급 과잉에 의한 필연 / 309
6. 고등교육 보편화의 부작용: 공교육 체제의 파탄 … 341
6-1. 대학 교육의 부실화: 취업 준비 학원으로 격하 / 343
6-2. 초·중·고등학교의 대입 준비 학원화: 정체성 회복의 절실 / 369
7. 교육 평등화: 공허한 화제 또는 필수적 과제? … 395
참고문헌 / 419
찾아보기 / 467
Author
오욱환
오욱환은 1971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7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행정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가을학기부터 1983년 여름까지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UIUC)에서 교육사회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4년 3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는 교육학을 종합학문과 실천학문으로 규정하고 교육학의 통합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2004년도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우수교수로 선정되었으며, 2004년에 한국교육학회 ‘학술상’을 그리고 2010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상’을 수상하였다. 그의 주요 저서는 아래와 같으며 홈페이지에는 출판된 도서, 논문, 칼럼 그리고 수업계획안이 소개되어 있다.
오욱환은 1971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7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행정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가을학기부터 1983년 여름까지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UIUC)에서 교육사회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4년 3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는 교육학을 종합학문과 실천학문으로 규정하고 교육학의 통합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2004년도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우수교수로 선정되었으며, 2004년에 한국교육학회 ‘학술상’을 그리고 2010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상’을 수상하였다. 그의 주요 저서는 아래와 같으며 홈페이지에는 출판된 도서, 논문, 칼럼 그리고 수업계획안이 소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