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입시가 중요한 이유는 대학입학전형을 치르는 모든 학생, 그리고 그 학생의 가족 전체를 입시라는 블랙홀로 빨아들이기 때문이다. 이제 입시는 제도가 아니라 욕망이고 정체성이며, 정체성의 중심에는 가족이 있다. 과외비 압박에 시달리는 아빠, 헬리콥터맘이라는 감시자가 되어버린 엄마, 그리고 부모의 압박 속에서 하루하루를 견디는 아이들. 『입시는 우리를 어떻게 바꾸어놓았는가』는 이미 ‘구조’가 되어버린 대한민국 입시가족에 대해, 그 문화적 특성을 사회학적으로, 이어서 그 출구를 교육학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Contents
책 머리에
제1부 입시가족의 구조: 사회역사적 조명
1. 입시가족의 출발, 낭만적 사랑
낭만적 사랑
춘향이와 이 도령의 사랑에는 낭만이 없다?!
낭만적 사랑의 조건: 빠져드는 수동성
그러나 낭만적 사랑은 불안하다
부부는 서로 다른 환상의 액자를 가지고 있다
3. 자녀, 처음부터 소중한 존재는 아니었다
그저 ‘작은 어른’이었던 아이들
‘어린이의 탄생’
장난감도 없었다
‘교육대상’으로서의 어린이
거대한 전환: 다산다사에서 다산소사를 거쳐 소산소사로
“즐거운 나의 집”과 감정의 과부하
4. 대한민국 입시가족, 태풍 속의 조각배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출발하기
연대 없는 평등주의
무도덕적 가족주의
지위경쟁적 평등주의
5. 입시제도는 어떻게 가족을 변화시켰는가
인정 표준과 학력/학벌 경쟁
고교 평준화의 운명
대학정원의 변천
입시제도의 변화
황혼기의 평등주의?: 찬탈에서 상속으로
제2부 입시가족의 소통구조: 변화의 고리 찾기
1. 입시가족의 소통구조
교육적 존재로서의 부모와 자녀
입시가족의 소통방식: 닦달
닦달의 시작: 부모의 시간 강박과 인생 경험
닦달의 결과: 속 빈 강정
2. 입시가족의 유형
닦달의 두 가지 양상: 형식적 포섭과 실질적 포섭
부모에 의한 자녀의 실질적 포섭 _
닦달의 두 번째 버전, ‘희생
‘민주적’ 닦달, 이중구속
3. 입시가족의 파괴력
소통장애 혹은 인격장애
건강한 사회의 붕괴
4. 입시가족에서 벗어나기
부모의 자각: “닦달은 실패한다”는 깨달음
희생 코스프레 버리기
아이의 욕망과 부모의 욕망을 분리하기
메타 커뮤니케이션
반대로 말해보기
투사 거두기
5. 공부에 대한 의미 재규정
배움의 조건
공부의 능동적 수동성: “공부 잘되니?”
부모의 시작 지점
함께 거듭나기
Author
김종엽,정민승
1963년 경남 김해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위원 등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 『웃음의 해석학, 행복의 정치학』 『연대와 열광』 『시대유감』 『우리는 다시 디즈니의 주문에 걸리고』 『에밀 뒤르켐을 위하여』 『左충右돌』 『스포츠, 어떻게 읽을 것인가』 (공저) 『문화읽기』 (공저) 『촛불이 민주주의다』 (공저) 『21세기의 한반도 구상』 (공저) 『A4 두 장으로 한국사회 읽기 2006~2008』 (공저)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공저) 『변혁적 중도론』 (공저)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공저), 옮긴 책으로 『토템과 타부』, 엮은 책으로 『87년체제론』 등이 있다.
1963년 경남 김해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위원 등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 『웃음의 해석학, 행복의 정치학』 『연대와 열광』 『시대유감』 『우리는 다시 디즈니의 주문에 걸리고』 『에밀 뒤르켐을 위하여』 『左충右돌』 『스포츠, 어떻게 읽을 것인가』 (공저) 『문화읽기』 (공저) 『촛불이 민주주의다』 (공저) 『21세기의 한반도 구상』 (공저) 『A4 두 장으로 한국사회 읽기 2006~2008』 (공저)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공저) 『변혁적 중도론』 (공저)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공저), 옮긴 책으로 『토템과 타부』, 엮은 책으로 『87년체제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