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육을 들여다보면 몇 가지 이상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을 한국교육의 모순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첫째, 한국의 교육체제에 대한 평가가 국내와 국외가 정반대다. 외국에서는 한국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배경에 교육의 기여가 컸다고 보기도 하고, 한국의 교육발전 모델을 벤치마킹하려고도 한다. 반면에 국내에서는 지독한 입시경쟁, 사교육비 부담, 성인의 노동시간보다 많은 공부시간 등으로 인해 기존 교육체제에 대한 불만이 높다. 둘째,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높은데 행복도는 낮다.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을 국제적으로 비교한 PISA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은 OECD 국가들 중에서도 최상위에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는 꼴찌 수준이다. 공부가 즐겁지 않지만 이런저런 압력에 눌려 억지로 하고 있다는 얘기다. 셋째, 교사의 질은 높은데 교육의 질은 낮다. 우수인재가 교대와 사대로 진학해서 매우 엄격한 임용시험을 통과한 후에 교사가 된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그러나 그들이 교사가 되어 일하는 학교의 교육의 질은 높지 않고, 오히려 학생과 학부모의 불만이 높다. 많은 학생들이 사교육 시장으로 흘러들어간다. 넷째, 학부모의 높은 교육열을 공교육이 잘 활용하지 못한다. 반대로 사교육은 그것을 잘 활용한다. 같은 맥락에서, 학부모의 요구가 사교육 시장에서는 잘 반영되지만 공교육기관인 학교에서는 잘 반영되지 않는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사교육은 날로 진화하는 데 반해 공교육은 상당히 정체되어 있다.
Contents
◆ 머리말 _ 3
◆ 일러두기 _ 11
제1부 교육주체로서 학부모
제1장 학부모의 교육주체성_오재길… ………………………21
1. 왜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세워야 할까? _ 21
2. 학부모 교육주체성의 개념은 무엇일까? _ 22
3. 학부모의 학교 참여 모습은 어떠할까? _ 24
4. 학부모는 교육의 주체로 대우받고 있을까? _ 26
5. 학부모 관련 법적 근거는 어떠할까? _ 29
6. 학부모를 교육의 주체로 세우는 방안은 무엇일까? _ 31
제2장 학부모의 교육권_강인수…………………………………37
1. 공교육체제에서의 교육당사자의 교육권의 개념과 구조 _ 37
2. 현행 법제에서의 교육권의 규정 _ 42
3. 외국의 학부모 교육권의 법제와 학교교육참여제도 _ 44
4. 헌법재판소의 학부모 등 교육당사자 간의 교육권 구조에 대한 판례 _ 47
제2부 학부모 다시 보기
제3장 한국 학부모의 유형_이수광… …………………………57
1. 학부모의 니치(Niche) _ 57
2. 학부모 유형 _ 59
3. 학부모의 리더십의 중요성 _ 67
제4장 학교와 학원: 중산층 어머니가 본 한국교육_황성희… …………………………………73
1. 학부모의 교육인식은 교육현실에 대한 반응 _ 73
2. 학교: “특별히 기대하지 않아요.” _ 74
3. 사교육: “일상화된 현실이에요.” _ 81
4. 학교교육과 사교육 사이, 학부모의 대안과 선택 _ 84
5. 학부모의 교육인식과 교육적 시사점 _ 87
제5장 여성잡지에 투영된 어머니·학부모_김현정… ………91
1. 현모양처라는 학부모상 _ 91
2. 여성잡지의 학부모 기사 _ 94
3. 정권에 따른 학부모상의 인식 변화 _ 100
4. 자식농사 잘 지은 학부모 프로슈머 _ 101
5. 2000년대 학부모의 현주소 _ 103
6. 학부모의 손에 잡히는 학부모 연구 _ 104
제6장 초등학교 학부모 되기: 서울 거주 중산층 엄마들의 경험_강문정, 강대중…………107
1. 한국 사회의 학부모 _ 107
2. 학부모가 되기 위한 학습 _ 108
3. 초등학교 학부모는 무엇을 어떻게 학습하는가 _ 110
4. 초등학교 학부모 되기의 특성은 무엇인가 _ 118
제7장 교육주체로서 나의 ‘학부모-되기’_서덕희… ……125
1. 들어가는 이야기 _ 125
2. 학부모가 교육의 질을 결정한다? _ 129
3. 학부모운동의 변천 과정 _ 130
4. 학부모 되기: 체제에 식민화된 생활세계의 교육적 원리와 가치 복원의 주체-되기 _ 137
5. 나오는 이야기 _ 139
제8장 학부모 교육열 다시 보기_이종각……………………145
1. 한국교육 새롭게 읽고 보기 _ 145
2. 학부모와 교육열 새롭게 보기 _ 149
3. 학부모정책의 진화는 필수 _ 156
제3부 학부모의 교육참여
제9장 외국의 학부모 교육참여_박성희, 정선아, 이가형………163
1. 독일의 학부모 활동 _ 163
2. 독일의 학교와 학부모의 상생적 활동 _ 166
3. 뉴질랜드 플레이센터(Playcenter)와 네덜란드 보잉크(BOink) _ 170
4. 정리 _ 175
제10장 한국의 학부모 교육참여_김승보……………………179
1. 학교 참여인가 교육 참여인가? _ 179
2. 학부모 학교 참여의 쟁점과 정책 과제 _ 183
제11장 학부모의 교육참여 활성화 방안_김봉제, 강소연………195
1. 학부모 교육참여의 필요성 _ 195
2. 학부모 교육참여의 현실 _ 197
3. 학부모의 육아 및 교육참여를 위한 외국의 제도 운영 사례 _ 199
4. 우리나라 교육참여 휴가제 운영을 위한 논의 _ 201
5. 학부모 교육참여 지원방법 _ 204
제4부 학부모의 권한 신장
제12장 학부모 관련 입법활동과 개선 방안_김장중………217
1. 들어가는 말 _ 217
2. 국회의 입법활동과 교육위원회 보기 _ 219
3. 학부모 관련 법안의 발의와 처리 실태 _ 222
4. 학부모 관련 법안의 입법 사례 분석 _ 227
5. 나가는 말 _ 230
제13장 학부모의 날 제정_이종각, 황성희………………………237
1. 기념일로서 ‘학부모 날’의 필요성, 의미, 의의 _ 238
2. ‘학부모의 날’ 행사의 기능과 효과 _ 245
3. 교육민주화를 위한 미래과제 _ 251
제14장 학부모 교육 개선 방안_김기수………………………257
1. 학부모가 교육의 주체로 당당하게 서려면 _ 257
2. 학부모 교육 실태 _ 261
3. 학부모의 교육주체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틀 구상 _ 263
4. 학부모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과제 _ 269
제15장 학부모 연구의 필요성_이종각… ……………………271
1. 학부모의 지적 무장 해제 상황, 이래도 괜찮은가? _ 274
2. 학부모에게도 담론적(이론적) 지위가 필요하다 _ 277
3. 교육주체별 교육연구와 담론의 불균형은 얼마나 심각한가? _ 280
4. 교육민주화 담론의 소멸과 미완성 교육민주화 _ 281
5. 학부모 담론의 편파성과 구조적 비판불가능성 _ 283
6. 비판불가구조로부터의 탈출과 교육시민으로의 성숙이 과제다 _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