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 이용이 대중화되면서 이를 이용한 청소년 사이의 폭력이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이버폭력이라 불리는 이러한 현상은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 보급이 확산되면서 더욱더 증가하고 폐해 또한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사이버폭력이라는 현상이 학계에 보고된 지 불과 10여 년 사이에 청소년들 사이에 심각한 위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청소년들은 사이버폭력을 사회적 죽음이라 부르기도 한다.
사이버폭력은 단순히 언어적 폭력 또는 관계적 폭력의 차원만으로 한정할 수 없다. 사이버폭력은 사회적 지위에 대한 폭력으로 신체적 상흔을 남기지 않으나 정서적으로 심각한 위해요소로 작용한다.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의 개방성은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폭력이 행해지는지 확인하기 어렵게 만든다. 잠재적 폭력에 대한 두려움은 청소년의 행동을 제약하고 잠재력이 발현되는 것을 억제한다. 가끔씩 사이버폭력을 견디지 못해 자살하는 안타까운 사례가 발생하는 것도 사이버폭력의 독특한 구조적 차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학교폭력 예방 및 생활지도 전반에 대한 단행본은 다수 출간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폭력의 첫 단초를 제공하는 사이버폭력에 대해 집중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한 단행본은 그리 많지 않다. 이처럼 학교폭력의 첫 단추로 여겨지는 사이버폭력이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지만, 학계나 학교현장의 관심과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서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커뮤니케이션학, 교육사회학, 교육공학, 상담심리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사이버폭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해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Contents
3 머리말
11 Chapter 1. 사이버폭력의 정의
11 Ⅰ. 배경
13 Ⅱ. 학술적 정의
18 Ⅲ. 법률적 정의
139 Chapter 6. 사이버폭력과 상담개입
141 Ⅰ. 사이버폭력 상담과정
148 Ⅱ. 사이버폭력에 대한 부모의 역할
150 Ⅲ. 사이버폭력에 대한 학교의 역할
153 Ⅳ. 사이버폭력 상담 및 신고방법
159 Chapter 7. 사이버폭력 법적 규제
159 Ⅰ. 개요
160 Ⅱ. 사이버 공간에서의 언어폭력
170 Ⅲ. 사이버 성범죄
174 Ⅳ. 사이버 스토킹
176 Ⅴ. 학교폭력의 정의와 징계처분
181 Chapter 8. 사이버폭력 법적 이슈
183 Ⅰ. 사이버폭력규제와 학생인권의 충돌 가능성
191 Ⅱ. 학생들 사이에 발생한 사이버폭력에 대한 학교의 책임
195 Chapter 9. 학교 현장의 사이버폭력 발생 요인 및 예방 교육방안
197 Ⅰ. 현장에서의 사이버폭력 발생 요인 이해
207 Ⅱ. 학교 현장의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접근 방안
212 Ⅲ. 예방교육을 위한 정보통신윤리 교육방안 및 수업전략
227 Ⅳ. 현장 사례 및 대상별 예방교육의 중점
245 부록1_ 언론 노출된 사이버폭력 사례 및 시사점
263 부록2_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숲치유프로그램
278 찾아보기
Author
김봉섭,김세진,김의성,김혜영,박선아,서미,신주식,천미아,허혜정,최성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이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한국정보문화센터(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 입사한 이후 줄곧 정보 문화, 정보 윤리, 인터넷 중독, 정보 격차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정책 개발과 사업을 담당했다. 저서로는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2020, 공저), 『디지털 디바이드』(2016),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대책』(2013, 공저) 등이 있다. 논문은 「성인의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2021), 「고령층 디지털 사회 자본에 대한 디지털 조력자 영향 연구」(2020),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효과 연구」(2015) 등 다수가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이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한국정보문화센터(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 입사한 이후 줄곧 정보 문화, 정보 윤리, 인터넷 중독, 정보 격차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정책 개발과 사업을 담당했다. 저서로는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2020, 공저), 『디지털 디바이드』(2016),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대책』(2013, 공저) 등이 있다. 논문은 「성인의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2021), 「고령층 디지털 사회 자본에 대한 디지털 조력자 영향 연구」(2020),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효과 연구」(2015)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