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생을 아십니까? 변부자를 아십니까?

$11.88
SKU
978892540620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09/01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88925406206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허생과 변부자는 연암 박지원이 1873년에 쓴 한문 소설 '허생전'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지금으로부터 200년이 훨씬 넘는 이야기들이지만 '고전'이 고전인 이유가 있는만큼 우리가 처한 현실이 그 때 상황과 유사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연암이 허생전을 통하여 당시의 혼탁한 사회에 전하고자 했던 강한 메시지가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저자는 허생전을 통하여 조선 후기의 상황과 그에 대한 연암의 사상과 정신을 되돌아보고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려 한다. 소설의 부분 부분의 내용을 추론하고 설명을 덧붙이면서 저자는 '허생전 다시 보기'를 저술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미래 비전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1. 허생은 남촌(南村)인 묵적동에 살았다.
2. 허생은 10년 목표로 글공부를 하였으나 7년 만에 책을 덮는다.
3. 허생은 한양 제일의 시장 운종가(雲從街)에 나타나 한양에서 제일가는 부자를 찾는다.
4. 허생은 변부자에게 1만 냥(兩)을 청한다.
5. 변부자는 1만 냥을 아무런 조건 없이 빌려준다.
6. 허생은 ‘사간이시오(辭簡而視傲)’하고 ‘용무작색(容無?色)’하다.- 1만 냥의 거금을 조건 없이 빌려주는 이유
7. 변부자는 지인지감(知人之鑑)의 통 큰 결단력을 과시한다.
8. 허생과 변부자는 연리지(連理枝)와 같은 상생(相生)의 거래를 한다.
9. 당시의 경제 구조
10. 허생이 펼칠 사업 - ‘소소시(所小試)’
11. 허생은 빌린 돈 1만 냥을 갖고 곧장 사업 현장인 안성(安城)으로 간다.
12. 허생의 첫 번째 사업 - 안성에서 각종 과일을 사재기한다.
13. 허생의 두 번째 사업 - 제주(濟州)에서 모든 말총을 매점매석한다.
14. 허생은 왜 "과일"과 "말총"만을 매점매석하였을까?
15. 허생의 세 번째 사업 - 도적들을 데리고 무인도(無人島)를 개발한다.
16. 허생은 무인도를 곡물의 생산 기지로 만든다. 그리고 잉여생산물로 상업자본을 만든다.
17. 허생의 네 번째 사업 - 생산한 곡물을 일본 장기(長崎)에 판다. 곧 해외 수출 사업으로 은(銀) 100만 냥을 번다.
18. 허생은 변부자보다도 더 큰 부자가 된다.
19. 허생은 무인도를 떠난다.
20. 허생의 다섯 번째 사업 - 온 나라 백성을 구제한다.
21. 허생은 변부자로부터 빌린 돈을 갚는다.
22. 허생은 다시금 초라한 선비의 옛 모습으로 되돌아간다.
23. 전반부(前半部)의 축재에 대한 이야기
24. 허생의 사업가 정신과 사회 개혁 정신
25. 후반부(後半部)에 대한 이야기
26. 허생의 첫 번째 계책 - 인물 등용에 관한 문제
27. 허생의 두 번째 계책 - 명(明)의 망명자에 대한 처우 문제
28. 허생의 세 번째 계책 - 성공적인 북벌(北伐)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29. 허생의 격분과 통탄
30. 허생은 종적을 감춘다 - 대단원(大團圓) [Climax]

마무리 하는 말 : 허생과 변부자에게 드리는 글
Author
김신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