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희롱 : 법과 분쟁처리사례

$33.35
SKU
97889209336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5/01
Pages/Weight/Size 176*248*30mm
ISBN 9788920933608
Categories 사회 정치 > 법
Description
성희롱, 무엇으로 판결되는가!
법률용어로 등장하게 된 ‘성희롱’의 유래부터 국내 성희롱 관련 법의 30년 동향,
25건의 성희롱재판 판결문 평석을 통해 법적 쟁점의 변화를 들여다본다.


1993년, 관련 법도 없이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성희롱 소송이 벌어졌다! 이 재판을 시작으로 성희롱 관련 법이 제정되었고 일부 조항은 소멸과 보완의 과정을 거쳐 정비되었다. ‘성희롱법’에 따라 수많은 성희롱사건이 유죄와 무죄로 나뉘었으며, 때로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기도 했다. 30년이 흘렀지만, 성희롱은 여전히 만연하고 있으며 재판의 쟁점은 더욱 다양해졌고 그 전개 양상은 더더욱 복잡해졌다. 그렇다면 성희롱은 무엇으로 판결되는가?

이 책은 ‘성희롱’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생겨났으며 언제부터 법률용어로 사용되었고 어떤 논란이 있어왔는지, ‘성희롱법’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떻게 바뀌었는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25건의 성희롱재판 판결문 평석을 통해 성희롱은 무엇으로 판결되는지 법적 쟁점의 변화도 보여준다. 저자인 김엘림 방송대 명예교수는 노동법·법여성학·젠더법학 전문가로서 지난 40여 년간 연구한 내용을 집대성하여 남녀평등과 여성인권 향상을 위해 이 책을 저술했다.
Contents
발간사 · iv

제1편 성희롱의 어원과 의의 및 유형

제1부 성희롱의 어원과 의의 및 유형
제2부 성희롱의 정체와 특성

제2편 성희롱의 문제와 피해

제1부 성희롱의 문제
제2부 성희롱의 피해

제3편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의 법리와 동향

제1부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의 쟁점과 법리
제2부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의 동향

제4편 우리나라 성희롱 관련 현행법과 분쟁처리제도

제1부 성희롱 관련 현행법의 개관
제2부 직장 내 성희롱 관련 현행법
제3부 대학 내 성희롱 관련 현행법
제4부 성희롱 관련 현행 분쟁처리제도

제5편 성희롱 관련 분쟁처리 사례와 쟁점

제1부 성희롱 관련 분쟁처리 사례
제2부 성희롱 관련 분쟁처리 사례의 쟁점과 평석

부록
Author
김엘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명예교수. 저자는 40여 년간 노동법, 법여성학과 젠더법학을 연구한 법학자다. 이화여자대학교 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9월부터 한국여성개발원(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약 19년간 여성인권과 남녀평등에 관한 법제 연구를 수행했고 2002년부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남녀평등과 법』, 『성차별 관련 판례와 결정례 연구』 등을 저술하였고 한국젠더법학회 초대회장을 지냈다. 노동정책평가에 기여한 공로로 노동부장관상(2001), '남녀고용평등 법제 발전' 그리고 '여성인권과 사법발전'을 이끌어 각각 국민포상(2002)과 국민훈장 모란장(2018) 등을 받았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명예교수. 저자는 40여 년간 노동법, 법여성학과 젠더법학을 연구한 법학자다. 이화여자대학교 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9월부터 한국여성개발원(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약 19년간 여성인권과 남녀평등에 관한 법제 연구를 수행했고 2002년부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남녀평등과 법』, 『성차별 관련 판례와 결정례 연구』 등을 저술하였고 한국젠더법학회 초대회장을 지냈다. 노동정책평가에 기여한 공로로 노동부장관상(2001), '남녀고용평등 법제 발전' 그리고 '여성인권과 사법발전'을 이끌어 각각 국민포상(2002)과 국민훈장 모란장(2018) 등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