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한국 복식과 한복의 역사

$27.29
SKU
9788920046049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Wed 12/1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2 - Wed 1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25
Pages/Weight/Size 188*254*30mm
ISBN 9788920046049
Categories 대학교재 > 방송통신대학교
Description
한국복식은 한반도에서 한국인이 착용해 온 복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여자의 치마와 저고리, 남자의 바지와 저고리처럼 전형적인 한복만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개화기 이후 양복과 혼용되면서 변화한 한복, 현재 우리가 일상적으로 입는 옷은 물론 머리에 쓰는 것, 손과 발에 착용한 것, 장신구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국의 의복은 평면구성으로 만들어지고 앞이 트인 카프탄 형식으로서, 이는 동아시아 의복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이와 동시에 문양, 색상, 형태, 구조에서 각 시대의 가치관과 선호도, 철학적 상징성이 풍부하게 나타난 복식이다. 따라서 『한국복식과 한복의 역사』의 학습목표는 선사 및 역사 전반에 걸친 한국복식의 변천과정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함으로써 복식에 투영되어 있는 각 시대의 사회상과 문화, 가치관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국복식과 복식을 둘러싼 문화를 설명하기 위해 이 교재는 개관, 학습목표, 주요용어, 본문, 요약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은 시대적 배경과 복식의 특징으로 구분되며,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복식과 관련된 정치·사회적 배경, 역사적 자료, 연표 순으로 정리하였고, 복식의 특징은 머리모양과 관모, 의복, 대, 신발, 장신구 순으로 정리하였다. 직물은 별도의 장을 구성하여 종류, 염색, 문양을 살펴보았다. 각 장은 시대와 국가, 성별과 착용 상황으로 구분하였고 가능하면 대등한 분류와 순서로 복식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나 시대나 자료의 특성에 따라 분량과 깊이는 다소 조절하였다.
Contents
제1장 한국복식 개설과 삼국시대 이전 복식
한국복식을 향한 탄탄한 첫걸음
1.1. 한국복식 개설
1.2. 한국복식의 기본구조
1.3. 선사시대 복식
1.4. 부족국가 복식

제2장 고구려 복식
한반도 만주 벌판, 말달리던 고구려의 복식
2.1. 시대적 배경
2.2. 복식의 특징

제3장 백제, 신라, 가야 복식
닮기도 하고 다르기도 한 삼국시대 복식
3.1. 시대적 배경
3.2. 백제 복식의 특징
3.3. 신라 복식의 특징
3.4. 가야 복식의 특징

제4장 통일신라, 발해 복식
국제적인 스타일을 입다, 남북국 시대 복식
4.1. 시대적 배경
4.2. 통일신라 남자 복식
4.3. 통일신라 여자 복식
4.4. 발해 남자 복식
4.5. 발해 여자 복식

제5장 고려시대 남자 복식
눈부시도록 화려한 불교와 귀족의 복식
5.1. 시대적 배경
5.2. 남자 관복
5.3. 남자 평상복

제6장 고려시대 여자 복식
사신이 전해 주는 고려 여인의 옷 이야기
6.1. 여자 예복
6.2. 여자 평상복

제7장 조선시대 남자 관복
조선 왕실의 법도, 왕과 관리들의 패션
7.1. 시대적 배경
7.2. 남자 관복

제8장 조선시대 남자 평상복
유교 문화와 조선의 선비 복식
8.1. 남자 편복관
8.2. 남자 편복포
8.3. 남자 기본복식
8.4. 남자 신발

제9장 조선시대 여자 예복
특별한 순간, 품격을 높여 주는 왕실 여인의 예복
9.1. 여자 예복
9.2. 여자 머리모양과 관모
9.3. 여자 장신구

제10장 조선시대 여자 평상복
트렌드를 반영하는 저고리와 치마의 비율
10.1. 여자 저고리와 치마
10.2. 여자 속옷
10.3. 여자 신발

제11장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직물
옷감이 속삭이는 그때 그 시절
11.1. 고려시대의 직물
11.2. 조선시대의 직물

제12장 근대 복식의 변화
문을 열고 마음을 열기까지의 시간
12.1. 시대적 배경
12.2. 개항 이후 대한제국기 복식
12.3. 일제강점기 복식

제13장 일생의례 복식
삶과 죽음 사이, 기쁨과 슬픔을 담은 복식
13.1. 시대적 배경
13.2. 조선 후기 일생의례 복식
13.3. 개항 이후 일생의례 복식의 변화

제14장 20세기 한복
한강의 기적과 함께한 한복의 성장
14.1. 시대적 배경
14.2. 광복 이후 1950년대 한복
14.3. 1960~1970년대 한복
14.4. 1980~1990년대 한복

제15장 21세기 한복
소통과 융합으로 거듭나는 현대 한복
15.1. 시대적 배경
15.2. 2000년대 한복
15.3. 2010년대 한복
15.4. 2020년대 한복

부록
[표 1] 흥덕왕 복식금제령의 남자 복식
[표 2] 흥덕왕 복식금제령의 여자 복식
[표 3] 『경국대전』에 기록된 관복
[표 4] 문화재로 지정된 한국복식
Author
박가영,이경미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박사)

경력: 호남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전임강사
문화재청 동산문화재분과 문화재위원
현재: 숭의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조교수
연구: 『복식』, 『한복문화』 등에 학술논문 게재, KOSCO전 등의 디자인 전시에 작품 발표
특허: 10-2022-0065782 복수의 단위 탄소섬유강화 패널을 포함하는 방호복(공동발명)
저서: 『조선왕조의궤 현황과 전망』(공저), 『한눈에 보는 침선(針線)』(공저), 『조선왕릉석물조각사 I』(공저), 『조선시대 궁중 패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 1: 왕실 전례 편』(공저), 『미국 뉴어크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공저), Dress History of Korea(공저)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박사)

경력: 호남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전임강사
문화재청 동산문화재분과 문화재위원
현재: 숭의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조교수
연구: 『복식』, 『한복문화』 등에 학술논문 게재, KOSCO전 등의 디자인 전시에 작품 발표
특허: 10-2022-0065782 복수의 단위 탄소섬유강화 패널을 포함하는 방호복(공동발명)
저서: 『조선왕조의궤 현황과 전망』(공저), 『한눈에 보는 침선(針線)』(공저), 『조선왕릉석물조각사 I』(공저), 『조선시대 궁중 패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 1: 왕실 전례 편』(공저), 『미국 뉴어크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공저), Dress History of Korea(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