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공공행정의 핵심은 각종 사회문제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한 다음, 이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실행함으로써 사회와 국가를 보다 바람직한 상태로 나아가게 하려는 데 있다. 나아가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행정학은 이러한 공공행정 활동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연구함으로써 국정운영에 기여한다는 목적을 가진 학문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공공행정 실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나 행정현상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공공영역에서의 각종 현상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과 그에 대한 원인분석 능력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 교재는 정책결정자나 행정관리자들이 공공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분석방법을 적절히 선택하고 스스로 분석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목적하에서 대표적인 행정계량분석 방법들의 기본용어 및 개념과 원리를 소개한다. 또한 장차 행정가나 분석가가 될 사람들이 실제로 계량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기회로서 다양한 예제와 실제 분석사례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Contents
제1부 행정계량분석의 시작
제1장 연구문제와 기초개념
1. 행정계량분석의 의의 및 범위
2. 연구문제의 설정
3. 행정계량분석의 기본용어
서울대학교(정치학 학사), University of Akron(행정학 석사), Ohio State University(정책학 박사).
행정고등고시·입법고등고시 출제위원, 행정자치부 정책자문위원,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고문, 한국이민정책학회 회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무처장·기획처장 외 다수.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저서 『콤무니타스 이코노미:모두를 위한 경제는 어떻게 가능한가』(공역), 『신 지방의회론』(공저) 외 다수
서울대학교(정치학 학사), University of Akron(행정학 석사), Ohio State University(정책학 박사).
행정고등고시·입법고등고시 출제위원, 행정자치부 정책자문위원,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고문, 한국이민정책학회 회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무처장·기획처장 외 다수.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저서 『콤무니타스 이코노미:모두를 위한 경제는 어떻게 가능한가』(공역), 『신 지방의회론』(공저)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