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 또 하나의 오래된 미래

$23.76
SKU
978892004068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Fri 05/3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2 - Fri 05/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7/0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20040689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오래된 그러나 새로운 평생학습의 개념과 쟁점들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잠재력은 상당하다. 철학이 계속 고민해 왔던 삶의 문제를 배움의 관점에서 명쾌하게 해명하고, 사회학의 난제인 행위와 구조를 연계하는 개념으로 학습을 제안하며, 공동체의 생성과 발전을 생활정치적 차원에서 드러낼 수 있다. ‘개인과 사회’, ‘너와 나’라는 이분화된 개념들은 관계나 활동이라는 매개적 개념을 통해 재규정된다. 인문학의 중심 개념이 평생학습이고, 그 평생학습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실천이 평생교육이다. 평생학습을 통해 시민적 주체성이 가능하고 생애설계의 방향이 결정되지만 이런 넓고 깊은 이론의 틀거리는 그간 충분하게 논의되거나 진중하게 공유되지 못했다.

이 책은 20여 년간 평생교육 분야를 연구해 온 저자가 그간의 연구물을 정리한 것으로 세상을 보는 평생교육학적 관점을 제안하고 있다. 평생교육에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공공성과 집단성 등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평생교육 현장과 관련된 쟁점들-평생교육사의 정체성, 다문화, 입시, 온라인교육 등-을 다루며, 평생교육학의 복잡성을 고찰하기 위해 평등과 맥락과 같은 교실 밖의 개념을 재정위하며 평생교육학의 관점에서 페미니스트 실천과 온라인 상호작용 등을 조명한다.
Contents
서문 · 5

1부 평생교육의 핵심 개념 다시 찾기 · 15
1장 평생교육과 공공성 · 16
2장 학습주체로서의 집단: 학습조직과 학습공동체 · 41
3장 평생학습의 성장판: 교육자-학습자의 위치전환 · 70
4장 ‘참여동기’에서 ‘학습욕망’으로: 교육의 출발점에 대한 재고 · 96
5장 미디어와 교육적 소통 · 118

2부 평생교육, 딜레마와 실천들 · 149
6장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의 교육자: 위상과 역할 · 150
7장 평생교육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조건 · 175
8장 ‘다문화여성’의 세계시민적 주체화 경험 · 198
9장 입시는 정체성이다: 입시사슬의 기제와 평생교육 · 229
10장 전환학습의 한국적 재해석: ‘386세대’를 중심으로 · 253

3부 경계를 넘어, 비판적 재구성 · 279
11장 학습주의 준거로서의 평등 · 280
12장 평생학습의 맥락과 주체의 변형: 신자유주의적 자기개발인가 해방적 자기배려인가 · 295
13장 온라인 평생학습: 위상과 제안 · 318
14장 평생학습의 지향성,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354
15장 평생교육의 생명성: 경계 넘기 · 381

에필로그: 호모 에루디티오, 그리고 학습의 콩나무 · 405
원문 출처 · 413
미주 · 415
Author
정민승
연세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평생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방송통신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체성과 젠더, 사회제도와 문화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평생교육학적 접근이 우리 사회의 변화에 필요하며 유용하다고 믿는다. 한국여성평생교육회 회장, 방송대원격교육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와 한국다문화 교육학회 부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생애발달과 교육』, 『여성교육론』, 『입시는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성인학습의 이해』, 『학 습사회의 교육학』(공저),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 명』(공저)등이 있고 「촛불집회에 대한 교육학적 말걸기」, 「디지털 시대의 교육학의 자기변모:그 특징과 한계」, 「평생학습 지향성으로서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다수의 논문이 있다.
연세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평생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방송통신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체성과 젠더, 사회제도와 문화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평생교육학적 접근이 우리 사회의 변화에 필요하며 유용하다고 믿는다. 한국여성평생교육회 회장, 방송대원격교육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평생교육학회와 한국다문화 교육학회 부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생애발달과 교육』, 『여성교육론』, 『입시는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성인학습의 이해』, 『학 습사회의 교육학』(공저),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 명』(공저)등이 있고 「촛불집회에 대한 교육학적 말걸기」, 「디지털 시대의 교육학의 자기변모:그 특징과 한계」, 「평생학습 지향성으로서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