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의 교육을 말하다

관계 본질 변화
$18.14
SKU
978892004060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1/27 - Fri 01/3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1/22 - Fri 01/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6/30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88920040603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코로나19와 함께 갑자기 찾아온 미래교육
미리 겪어 본 미래교육에서 우리는 무엇을 깨달아야 했을까
관계, 본질, 변화. 세 가지 키워드로 코로나 이후의 미래교육을 만나 본다

공상과학영화에서나 그려지던 미래교육이 어느 날 갑자기 우리 곁으로 찾아왔다.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화상으로 수업을 듣고, 온라인으로 과제를 제출하면 곧바로 선생님의 피드백을 받는다. 친구들과는 언제든지 화상으로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를 나눈다. 디지털 매체가 중심이 되어 사람과 사람이 접촉할 일은 많지 않아 보이는 예정된 미래. 코로나19로 우리는 미래교육을, 디지털 연결 사회로의 전환을 본의 아니게 미리 경험해 보아야 했다. 그런데 미리 겪어 본 미래교육은 정말 영화에서 그렸던 것처럼 아름다웠을까.

교육이란 과연 무엇일까. 우리가 상상했던 미래교육에서 놓치고 있었던 것은 없었을까. 교육의 본질을 지키는 가운데 그럼에도 변화해야 할 것은 또 무엇일까. 이 책에서 저자들은 코로나19가 우리 사회에 던진 정해진 숙제의 답을 찾는 길로 우리들을 안내한다.
Contents
머리말 / 5
여는 글 교육기본권과 출석, 돌봄, 그리고 격차
―코로나19 전과 후의 한국 교육 (김 용) / 11

제1장 ‘관계’에서 일어나는 배움
―코로나19가 일깨워 준 교육의 본질 (김민성) / 39
제2장 ‘언택트’ 사회에서 다시 짚어 보는 교육의 본질과 교사의 역할
―새로운 학교교육의 방향을 찾아서 (곽덕주) / 81
제3장 대학교육의 위기와 변화 가능성
―코로나19가 드러낸 현실과 변화의 기회 (이승은) / 141
제4장 더 넓은 공동체, 더 깊은 민주주의
―코로나19와 교육행정의 과제 (김 용) / 183

끝맺음 대담 코로나 이후의 미래교육을 말하다 / 221
참고문헌 / 262
Author
김용,곽덕주,김민성,이승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 청주교육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충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신자유주의 교육개혁과 교육정책 수립, 집행의 법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와 역서로 『교육개혁의 논리와 현실』(2012), 『교육의사사화와 공교육의 해체』(2013),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계보와 그 너머-세계화 · 시민성 · 민주주의』(2015) 등이 있다.「교육규제완화의 한계와 통제」, 「법화사회의 진전과 학교생활세계의 변용」, 「책무성을 위한 자율성과 자율성의 위축」, 「Tracing the Discourse of Autonomy around theEducation Reform of the 1990s in Korea: A CriticalDiscourse Analysis」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 청주교육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충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신자유주의 교육개혁과 교육정책 수립, 집행의 법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와 역서로 『교육개혁의 논리와 현실』(2012), 『교육의사사화와 공교육의 해체』(2013),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계보와 그 너머-세계화 · 시민성 · 민주주의』(2015) 등이 있다.「교육규제완화의 한계와 통제」, 「법화사회의 진전과 학교생활세계의 변용」, 「책무성을 위한 자율성과 자율성의 위축」, 「Tracing the Discourse of Autonomy around theEducation Reform of the 1990s in Korea: A CriticalDiscourse Analysis」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