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양택 풍수지리

$30.24
SKU
9791157769278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7/24
Pages/Weight/Size 152*225*11mm
ISBN 9791157769278
Description
우리가 살아가는 집, 양택에 대해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해석한 풍수지리 서적이다. 양택 풍수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시간적 관점에서 공간을 선택하여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양택 풍수를 이해하고 접근하는 방법이 이미 정해져 있는 어느 한 이론만을 답습하거나 정형적인 틀에 얽매여 있다. 이에 따라 양택 풍수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개념과 입지, 조경과 실내 인테리어, 형태와 비보·엽승 등 양택 풍수지리에 대한 모든 것을 정리해 책으로 엮었다. 특히 잠자는 곳(안방)과 구들의 중요성을 풍수지리로 설명한 점이 다른 서적과의 차이점이다. 『양택 풍수지리』를 통해 좋은 땅에다 올바른 재료로 바른 형태의 의식주 문화를 통해 건강과 행복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Contents
머리글

제1장 음·양택의 개념과 비교
1. 양택의 개념
2. 음택의 개념
3. 음택과 양택의 비교

제2장 양택의 입지와 구조
1. 양택 입지의 3간법
2. 양택 입지의 고려 요소
3. 양택 구조의 3요소
4. 양택의 5실 5허
5. 양택의 음양, 4상, 5행, 8괘
6. 오행의 상생과 상극

제3장 양택의 조경과 관리
1. 가산 조성
2. 화초 심기
3. 나무 심기
4. 돌 놓기
5. 물길과 대문의 역수 배치
6. 스트레스성 징후 파악

제4장 양택의 실내 인테리어와 소재
1. 5색에 의한 벽지 선택
2. 식탁의 모형
3. 침실 인테리어
4. 책상의 크기나 형태
5. 초화 식물
6. 실내용 목재
7. 골동품 등 물건

제5장 양택의 형태와 가옥 형태별 식재
1. 양택의 형태
2. 가옥의 형태별 식재

제6장 양택의 비보와 엽승
1. 비보(裨補)
2. 엽승(厭勝)
3. 비보와 엽승의 활용 수단

제7장 양택의 영향력과 이해(利害) 요소
1. 양택의 효과와 발음
2. 양택의 이해(利害) 요소

제8장 양택의 6차 산업화
1. 양택의 6차 산업화
2. 양택의 1차 산업
3. 양택의 2차 산업
4. 양택의 3차 산업

제9장 양택과 건강
1. 암과 예방 식품
2. 양택과 건강 관리
3. 양택 거주자의 의식주

제10장 결론
1. 양택의 입지
2. 양택의 형태와 건축
3. 건강을 위한 생활 습관
4. 양택의 6차 산업
5. 양택과 건행

부록
부록 1 : 풍수오판(風水誤判) 바로잡기
부록 2 : 풍수지설(風水持說)

표 목차
그림 목차
Author
이재영,허영훈
경북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 대구한의대학교 풍수지리학 석사 과정을 거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풍수지리학(정혈학) 박사 1호다.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과정 및 경상대학교 법무학과, 동의대학교와 영산대학교 부동산학과에서 풍수지리학 강사로 있었으며, 이리스트대학교 풍수지리학과 부교수로, 동방대학원대학교 풍수지리학 석·박사 과정 강의교수로 활동했다. 논문으로는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산림경제의 사신사 수목 연구」, 「한국지형에서의 풍수 혈 사상 분석」, 「조선왕릉의 풍수적 해석에 관한 연구」, 「풍수비보의 적용 사례 연구」, 「풍수논리에 적용되는 용·수의 길흉 연구」가 있으며, 저서로는 『절터를 보면 풍수를 안다-5소를 알면 반풍수』, 『풍산록』, 『풍수지리학 원론』, 『8대 명당은 풍수를 훼절하다』, 『穴, 人子須智』, 『양택 풍수지리』, 『풍수답산의 기술』이 있다.
경북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 대구한의대학교 풍수지리학 석사 과정을 거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풍수지리학(정혈학) 박사 1호다.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과정 및 경상대학교 법무학과, 동의대학교와 영산대학교 부동산학과에서 풍수지리학 강사로 있었으며, 이리스트대학교 풍수지리학과 부교수로, 동방대학원대학교 풍수지리학 석·박사 과정 강의교수로 활동했다. 논문으로는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산림경제의 사신사 수목 연구」, 「한국지형에서의 풍수 혈 사상 분석」, 「조선왕릉의 풍수적 해석에 관한 연구」, 「풍수비보의 적용 사례 연구」, 「풍수논리에 적용되는 용·수의 길흉 연구」가 있으며, 저서로는 『절터를 보면 풍수를 안다-5소를 알면 반풍수』, 『풍산록』, 『풍수지리학 원론』, 『8대 명당은 풍수를 훼절하다』, 『穴, 人子須智』, 『양택 풍수지리』, 『풍수답산의 기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