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공공기관 지방을 살린다

$21.60
SKU
9791196886813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5/18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96886813
Description
이 책은 ‘지방살리기’에 공공기관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풀어냈다. 저자인 이종재 PSR(공공기관사회책임연구원) 대표는 그동안 전국 주요 혁신도시의 실상을 파악하는 혁신도시포럼을 진행하면서 지역주민의 희망과 공공기관의 자원을 연결하는 작업을 시도해왔다. 전국을 발로 뛰며 포럼과 토론회 등을 주도하면서 혁신도시의 명암과 정책 현장을 파악한 점이 책 속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지역기여 활동을 공유하고, 공공기관을 통한 지방살리기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자는 다양하고도 획기적인 제안을 두루 담고 있어 정책 입안자들에게도 하나의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ntents
004 발간사
010 들어가며

PART 1 지방소멸, 우려 수준 넘었다

017 1. 인구감소와 고령사회
021 2. 도래하는 극점사회

PART 2 해법 찾기, 공공기관을 내세운다

027 1. 정부 정책과 공공기관 본사이전
027 1) 지방살리기 정책의 변화
030 2)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034 3) 이전 10년의 현실
037 2. 주요 부처의 지방살리기 경쟁
037 1) 국토교통부 ‘혁신도시 시즌2’
044 2) 산업 부처 ‘기업 클러스터’
045 3) 행정안전부 ‘지역혁신포럼’
051 4) 기획재정부 ‘경영평가’

PART 3 지방살리기, 공공기관의 가능성을 본다

065 1. 혁신도시의 정주여건 개선
065 1) 입주기업 증가
068 2) 편의시설 확충
070 2. 지역혁신 플랫폼
071 1) 행사지역의 순차적 확대
075 2) 참여기관의 증가
078 3. 평가로 본 우수사례
079 1) 돋보이는 지역밀착 활동
081 2) 두드러진 일자리 창출과 협업
085 4. 공공기관의 성공적인 지역기여 활동
085 1) 폐광지역 청소년의 진로를 제시한다 강원랜드
093 2) 쪽방 어르신이 열효율을 높인다 한국가스공사
101 3) 휴게소 식당의 낮밤 주인을 바꾼다 한국도로공사
109 4) 동네 복지와 치안의 격을 높인다 한국수력원자력
116 5) 도시 전체를 손금 보듯 스마트시티 한국전력공사
122 6) 과잉 농산물, 판로를 연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129 7) 폐조선소로 통영 앞바다를 밝힌다 한국토지주택공사
137 8) 산골에 세계적 승강기가 오른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
140 9) 걸음걸음 기부로 발전소를 세운다 한국동서발전
149 10) 공동기금이 사회적 경제를 살린다 한국자산관리공사
153 11) 안부전화로 사랑을 잇는다 국민연금공단
159 12) 숲길에서 마음을 치유한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
165 13) 굴 껍데기로 미세먼지를 없앤다 한국서부발전
174 14) 목숨을 살리는 수돗물 검침 한국수자원공사
181 15) 택시와 기차를 한 장의 티켓으로 한국철도공사
190 16) 삼다수로 사업가를 키운다 JPDC
201 17) 항만의 가치를 태양광이 높인다 인천항만공사
207 18) 세계로 향하는 지역살리기 코트라

PART 4 지방소멸 댐, 협업으로 구축한다

221 1. 정부, 컨트롤타워를 찾는다
223 1) 중복에 등 터지는 공공기관
225 2) 지방살리기 플랫폼의 진전
232 3) 지역기여도 평가의 강화
234 2. 공공기관, 정관을 바꾼다
236 1) 사회적 가치, 오래 입어야 할 옷
238 2) 지역기여에 절실한 간판 사업
244 3. 지방살리기, 연대와 동행에 있다
244 1) 한수원과 손잡은 코레일과 산림복지원
245 2) 지역대학에 공동 개설한 취업 프로그램
247 3) 터줏대감과의 동행
248 4) 풀뿌리 네트워크, 사회적 경제조직
250 5) 지자체와 함께하는 시민의 날

256 찾아보기
Author
이종재
1959년 충남 서산, 전기도 안 들어오는 시골에서 태어났다. 충남고등학교에서 유학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를 나와 대부분의 사회생활을 기자로 지냈다.

서울경제에서 시작한 기자생활은 한국일보, 동아일보, 머니투데이, 그리고 다시 한국일보를 거치며 30년 남짓 경제 분야에 일관했다. 특히 주요 그룹과 경제부처를 취재하면서 산업과 경제 현장을 깊이 있게 살펴볼 기회를 가졌고, 1998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가 몰고 온 양극화의 현장도 체감했다.

한국일보 편집국장으로 있을 때 ‘양극화 이대로는 안 된다’는 제목의 시리즈 기사를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문제, 빈부격차의 실태를 전하면서 기업 간 동반성장과 소외된 계층과의 동행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현안으로 인식하게 됐다. 기업의 사회책임활동(CSR)을 확산하기 위한 한국SR전략연구소(KOSRI)를 창업한 이유다.

경제신문 이투데이 경영자로 언론 현장에 다시 나서면서도 CSR 확산 활동을 계속했다. 언론과 연구소 겸영 5년 가까운 기간에 CSR 국제포럼과 우수 현장 소개, 칼럼, 저술 등으로 연구와 활동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었다. 양극화 문제를 CSR과 지속가능성 제고로 풀어보자는 주제로 연구 내용을 정리해 많이 늦은 학위도 받았다.

현재 운영 중인 (사)PSR은 공공기관의 사회책임 활동을 지원하고 가치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연구소다. 특히 지방으로 본사를 옮긴 공공기관에 지역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의 방향과 방법을 지원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CSR 방향을 제시한 번역서 ‘책임의 시대’(2013), ‘그동안의 CSR은 왜 실패했을까’(2014)와 지속가능성 연구를 정리한 ‘건강한 기업의 장수 이야기’(2016) 등이 있다. 건강한 기부문화 조성과 사회적 책임활동을 전문으로 다루는 언론, 미디어SR에 ‘이종재의 가치여행’이란 문패를 달고 공공기관과 사회적 가치를 주제로 한 칼럼을 연재 중이다.
1959년 충남 서산, 전기도 안 들어오는 시골에서 태어났다. 충남고등학교에서 유학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를 나와 대부분의 사회생활을 기자로 지냈다.

서울경제에서 시작한 기자생활은 한국일보, 동아일보, 머니투데이, 그리고 다시 한국일보를 거치며 30년 남짓 경제 분야에 일관했다. 특히 주요 그룹과 경제부처를 취재하면서 산업과 경제 현장을 깊이 있게 살펴볼 기회를 가졌고, 1998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가 몰고 온 양극화의 현장도 체감했다.

한국일보 편집국장으로 있을 때 ‘양극화 이대로는 안 된다’는 제목의 시리즈 기사를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문제, 빈부격차의 실태를 전하면서 기업 간 동반성장과 소외된 계층과의 동행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현안으로 인식하게 됐다. 기업의 사회책임활동(CSR)을 확산하기 위한 한국SR전략연구소(KOSRI)를 창업한 이유다.

경제신문 이투데이 경영자로 언론 현장에 다시 나서면서도 CSR 확산 활동을 계속했다. 언론과 연구소 겸영 5년 가까운 기간에 CSR 국제포럼과 우수 현장 소개, 칼럼, 저술 등으로 연구와 활동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었다. 양극화 문제를 CSR과 지속가능성 제고로 풀어보자는 주제로 연구 내용을 정리해 많이 늦은 학위도 받았다.

현재 운영 중인 (사)PSR은 공공기관의 사회책임 활동을 지원하고 가치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연구소다. 특히 지방으로 본사를 옮긴 공공기관에 지역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의 방향과 방법을 지원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CSR 방향을 제시한 번역서 ‘책임의 시대’(2013), ‘그동안의 CSR은 왜 실패했을까’(2014)와 지속가능성 연구를 정리한 ‘건강한 기업의 장수 이야기’(2016) 등이 있다. 건강한 기부문화 조성과 사회적 책임활동을 전문으로 다루는 언론, 미디어SR에 ‘이종재의 가치여행’이란 문패를 달고 공공기관과 사회적 가치를 주제로 한 칼럼을 연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