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표적인 색정소설! 정작 내용은 도외시한 채 제목만으로, 그 위상만으로 설왕설래가 지극한 책이 『금병매』다. 『삼국지』 『서유기』 『수호전』과 함께 중국 4대 기서로 손꼽히는 『금병매』는 ‘천하제일기서’라는 별칭으로도 유명한데, 그만큼 4대 기서 중에서도 은밀하고도 기이한 서사가 매혹적임을 의미한다.
다른 3대 기서가 기존에 전승되어온 설화나 이야기를 바탕으로 영웅호한이나 초인적인 인간의 삶을 그려낸 것과 달리, 『금병매』는 평범한 인간의 욕망과 날것의 삶을 세태 속에 녹여내는 현실 드라마다. 그렇듯 너무도 생생한 인물 묘사와 생활상 묘사 등 탁월한 문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당시 부패한 정치인의 적나라하고 변태적인 성생활을 풍자한 것으로 인해 『금병매』는 출간된 이후 청대에는 민간의 풍속을 해치는 음서로 낙인찍혀 출판과 유포가 금지되기도 했다.
하지만 『금병매』가 단순히 ‘성’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이기만 하다면 그 생명력이 오래가지는 않았을 것이다. 『금병매』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그 속에 ‘중국 명나라 시대의 사회사’가 들어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위로는 황제에서부터 밑으로는 하인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의 사람들이 등장하고 그들의 생활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을 통해 당시의 생활상을 마치 한 편의 기록영화를 보듯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에게 『아큐정전』으로 잘 알려진 루쉰(魯迅)은 『금병매』를 두고 명나라 때의 소설 가운데 인간의 세태를 가장 잘 표현한 ‘인정소설(人情小說)’이라고 평을 하였다.
이렇듯 음란(淫亂)과 인정(人情) 사이에서 극단의 평을 받는 『금병매』는 그간 노골적인 부분이 삭제된 축약본으로만 국내에 소개되어 왔다. 이번에 국내 최초 완역본으로 출간되는 『금병매』는 최고의 『금병매』 연구자로 꼽히는 강태권 교수의 노력의 결실이다. 역자는 그동안 삭제되었던 내용과 작품 속의 시詩와 사詞도 빠짐없이 번역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온전하게 작품을 감상하도록 했다. 비로소 천하제일기서의 진면목이 빛을 발하게 된 것이다.
Contents
제79화 죽음은 이 세상 모든 것과의 이별 009
서문경은 탐욕으로 병에 걸리고,
오월랑은 유복자를 얻다
제80화 호랑이를 그려도 뼈를 그리기는 힘든 법 064
진경제는 몰래 미녀를 취하고,
이교아는 재물을 훔쳐 기원으로 돌아가다
제81화 마음을 속이는 것은 하늘을 속이는 것 089
한도국은 재물을 빼앗아 권세가에 의지하고,
내보는 주인을 속이고 은혜를 배반하다
제82화 세상일은 모두 뿌리 없이 생겨났으니 110
반금련은 달밤에 몰래 밀회를 하여
진경제와 누각에서 재미를 본다네
제83화 솜처럼 가볍고 실처럼 어지러운 마음이여 135
추국이 앙심 품어 밀회를 폭로하고,
춘매는 편지 전해 밀회를 약속하다
제84화 그래도 하늘은 사람을 배려하나니 161
오월랑은 벽하궁을 시끄럽게 만들고,
송명공은 청풍채에서 의리를 베풀다
제85화 오늘날 은혜와 사랑이 나뉘었구나 187
월랑은 금련이 놀아나는 것을 알아차리고,
중매쟁이 설수는 밤에 춘매를 팔아넘기다
제86화 무엇이 길하고 흉한지 알 수 없네 211
손설아가 진경제를 때려주라 부추기고,
왕노파는 금련을 팔아넘기려 하다
제87화 평생이 선했다면 그 무엇이 두려우랴 242
왕노파는 재물을 탐하다 복수를 당하고,
무송은 형수를 죽이고 형에게 제사 지내다
제88화 세상만사가 모두 전생에 정해진 것 265
반금련이 수비부의 꿈에 나타나고,
오월랑이 행랑승에게 보시하다
제89화 오늘이 과연 운수 좋은 날이런가 290
청명절에 과부가 새 묘소를 찾고,
오월랑이 영복사에 잘못 가네
제90화 운명의 변화란 참으로 무상한 것 323
내왕이 손설아를 꾀어 달아나고,
관청에서 손설아를 수비부에 팔다
Author
소소생,강태권
극단적으로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는 이 작품의 작 가는 표현의 음란함으로 인해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아 후세의 문학 연구자들에게 많은 논란을 던져주 고 있다. 다만 작품에 산동 지역 방언이 등장하는 점으로 봐서 명나라 중기의 산동 지역 문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극단적으로 칭찬과 비판을 동시에 받는 이 작품의 작 가는 표현의 음란함으로 인해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아 후세의 문학 연구자들에게 많은 논란을 던져주 고 있다. 다만 작품에 산동 지역 방언이 등장하는 점으로 봐서 명나라 중기의 산동 지역 문인으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