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인류의 숫자가 대략 70억 명을 넘어선 현재 시점에서 인류가 공동으로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저자의 오랜 관심을 담은 책이다. 70억이 사는 지구는 이제 그야말로 하나의 지구촌이 되었고, 그곳에는 너무나 많은 복잡한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당히 심각한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문제의식이었다. 인류는 산업혁명 이후 대량 생산체제를 실현하고 성장을 거듭해왔지만, 지금은 그 반작용 내지 부작용으로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를 비롯해 경제, 사회 전반에 심각한 문제를 안게 되었다. 이 책은 역사적 맥락에서 인류사회의 발전과정을 짚어보고 현시점의 주요한 문제들을 진단한 다음, 인류가 미래의 후손들과 지구촌에 함께 사는 모든 생명체를 고려하며 공존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를 고민해보고자 했다.
Contents
머리말
추천사
제1장 서론: 위기의 인류
1. 70억의 별
2. 인구포화와 인구절벽
3. 지구의 부양능력과 시장의 한계
4. 환경 파괴, 그리고 설국열차
5. 이 책의 구성
1. 산업혁명의 확산
(1) 영국의 산업혁명
(2) 유럽대륙, 미국, 세계의 산업화
2. 생산과 소비의 비약
(1) 대량생산
(2) 대량소비
(3) 인류의 발자취 확대
3. 사회와 제도 변화
(1) 자본주의 출현
(2) 민족국가 성립
(3) 공산주의 출현
4. 산업혁명, 그 후
제4장 성장의 한계에 부딪히다
1. 왜 성장이 문제인가?
(1) 성장의 중요성
(2) 지속될 수 없는 성장
2. 지구의 부양능력 한계
(1) 맬서스: 인구와 식량문제
(2) 로마클럽의 세계 모델
3. 성장의 한계론에 대한 현실 수용
4. 인류에게 드리운 고민
제5장 자본주의라는 운영체제의 오작동
1. 자본주의, 인류가 탄 배
(1)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2) 자유경쟁의 원칙과 한계
2. 과잉공급, 그리고 불황
(1) 넘쳐서 문제가 되는 사회
(2) 공황의 도래
(3) 대량생산체제의 한계
3. 파국을 초래하는 투기경제
(1) 투기경제의 정의와 속성
(2) 투기경제의 진화
(3) 공룡이 된 투기경제
4. 불평등과 빈곤
(1) 불평등의 속성과 측정
(2) 선진국의 불평등
(3) 한국의 소득 불평등
(4) 국제사회의 불평등과 빈곤
5. 역사를 바꾸어온 자본주의의 힘
제6장 환경 파괴, 자연과 인간의 갈등
1. 환경문제의 양상 변화
(1) 국지적 문제에서 지구촌의 문제로
(2) 선진국 문제에서 개도국의 문제로
(3) 인간의 문제에서 생명체의 문제로
2. 환경문제의 성격과 주요 이슈
(1) 공동자원의 관리 문제
(2) 지속 가능한 개발
(3) 남북문제
3. 환경문제의 주요 분야별 양상
(1) 하늘
(2) 땅
(3) 바다
4. 생물 다양성 위협
(1) 생물 다양성의 개념
(2) 생물 다양성 파괴 원인
(3) 생물의 멸종 상황
(4) 국제사회의 생물 다양성 보호 노력
(5) 생물 다양성이 왜 필요한가?
5.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야 할 때
제7장 세계정부가 없는 세계
1. 나누어진 세계
(1) 국민국가로 이루어진 현대 국제사회
(2) 국민국가의 형성과정
(3) 더욱 복잡해진 세계
2. 세계화, 하나의 지구촌을 만드는 힘
(1) 세계화의 양상
(2) 세계화의 주요 동력
(3) 세계화가 가져오는 기회와 위기
3. 글로벌 거버넌스의 진전과 한계
(1) 글로벌 거버넌스란 무엇인가?
(2) 국제기구의 역할
4. 세계정부에 대한 논의
제8장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제언
1. 공존하자
2. 성장의 한계를 넘어서자면
(1) 인구포화와 인구절벽
(2) 산업의 공급과잉
(3) 기후변화
3. 따뜻한 자본주의를 향하여
(1) 신자유주의를 넘어
(2) 불평등 해소
(3) 고용 안정
(4) 투기경제 억제
4.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5. 민주적인 세계정부 구성
6. 사회주의의 비현실성에 대하여
7. 인류의 역사는 어디로 향하는가?
에필로그
영문약어목록
참고문헌
Author
주동주
주동주(朱東柱)는 한국외국어대와 영국 맨체스터대학에서 공부했고, 국책경제연구소인 산업연구원(KIET)에서 개발도상국 발전 문제와 한국의 경제협력 문제를 오랫동안 연구하였다. 세계 많은 나라를 방문하면서 저개발국가들의 경제, 사회적 위기를 관찰하고 국제회의에 참여해온 저자의 경험과 학습이 인류의 위기에 대한 고민을 키워왔다.
주요 저서
2016. 『70억의 별 : 위기의 인류』
2017. 『아프리카 산업개발 지원을 위한 개발협력전략 연구』(공저)
2018. 『수메르 문명과 역사』
2019.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Ethiopia』(공저)
주동주(朱東柱)는 한국외국어대와 영국 맨체스터대학에서 공부했고, 국책경제연구소인 산업연구원(KIET)에서 개발도상국 발전 문제와 한국의 경제협력 문제를 오랫동안 연구하였다. 세계 많은 나라를 방문하면서 저개발국가들의 경제, 사회적 위기를 관찰하고 국제회의에 참여해온 저자의 경험과 학습이 인류의 위기에 대한 고민을 키워왔다.
주요 저서
2016. 『70억의 별 : 위기의 인류』
2017. 『아프리카 산업개발 지원을 위한 개발협력전략 연구』(공저)
2018. 『수메르 문명과 역사』
2019.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Ethiopia』(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