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현재까지 출판된 『해심밀경소』 「지바라밀다품」의 모든 교감본을 문헌학적 원칙에 따라 종합하고 보완·검토한 재교감본을 우리말로 번역하고 역주한 것이다. 원측의 『해심밀경소』는 현장(玄?)이 번역한 『해심밀경』의 주석서로,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에서 매우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 저술이 찬술된 7세기 중후반의 중국은 국제적 문화의 융성이 절정에 다다랐고, 중국의 불교 사상계 또한 그 역량이 최고조에 달해 있었다. 『해심밀경소』는 이러한 시대에서야 비로소 탄생할 수 있는 인류 문명의 빛나는 사상적 업적이다. 지론학파, 섭론학파, 법상학파로 이어지며 변용·계승되어 온 중국 유식불교 사상의 역량이 이 저서에 총집결되어, 이후 동아시아 불교 사상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심밀경소』는 인도 유식사상이 한역 불전에 의해 동아시아 유식사상으로 변용·수용되는 사유의 치열한 분투 과정을 집약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문헌이다. 『해심밀경소』는 전체 8품으로, 대승의 가장 뛰어난 경계·수행·과보를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해심밀경소』 총 8품 중 제7 「지바라밀다품」을 역주한 것이다. 제7 「지바라밀다품」은 『해심밀경』 중 수행을 주제로 하는 품이다. 여타의 품들이 수행을 할 수 있는 확신에 이르도록, 즉 수행을 실천하기 위한 이지적(理智的) 믿음을 지니도록 하기 위한 교의(敎義)를 담고 있다면, 이 품은 부처님의 설법이 가리키는 깨달음을 향한 종국의 방편인 수행에 관해 직접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해심밀경』의 전체 내용을 기승전결의 구조에 대입해 볼 때, 「지바라밀다품」은 ‘전환의 국면’에 해당된다. 비로소 깨달음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확신을 지니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불교 본연의 장(場)인 수행으로 접어들게 되는 ‘하이라이트’인 셈이다. 결국 수행만이 본질적 목적인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유일한 길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번 역주는 원측이 찬술할 당시의 텍스트에 가장 근접한 교감본을 우리말로 번역해 주석한 것으로, 불교 수행론의 정수가 고스란히 응축된 「지바라밀다품」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
Contents
『해심밀경소』 제7 「지바라밀다품」
□『해심밀경소』 제8권
1. 품명을 해석함
2. 의의를 분별함
3. 경문을 바르게 해석함
가. 문답으로 바르게 말하는 부분
1) 장행으로 자세하게 해석함
가) 모든 지를 자세하게 밝힘
(1) 네 가지 청정과 열한 가지 분에 의거하여 모든 지를 분별함
(2) 지의 명칭의 의미를 해석함
(3) 스물두 가지 우치에 의거하여 모든 지를 분별함
(4) 여덟 가지 수승으로 모든 지를 분별함
(5) 수승한 생에 의거하여 모든 지를 분별함
(6) 세 가지 대원에 의거하여 모든 지를 분별함
나) 모든 도를 자세하게 해석함
(1) 수학해야 할 바 가짓수의 많고 적음에 관한 부문
(2) 삼학과 육도가 서로 포섭함을 분별하는 부문
(3) 복과 지의 자량을 분별하는 부문
(4) 다섯 가지 상으로 육도를 수학하는 부문
(5) 모든 도의 수에 증감 없음에 관한 부문
(6) 모든 도의 차례를 분별하는 부문
(7) 육도의 품류 차별에 관한 부문
□『해심밀경소』 제9권
(8) 바라밀다가 명칭을 획득함에 관한 부문
(9) 도의 청정상
(10) 다섯 가지 상의 다섯 가지 업을 분별하는 부문
(11) 최고의 광대함 등 다섯 가지 상에 관한 부문
(12) 육도의 인과가 다함이 없음에 관한 부문
(13) 도는 애락하고 도의 과는 애락하지 않음에 관한 부문
(14) 모든 도의 위덕의 가짓수에 관한 부문
(15) 도의 인·과·의리에 관한 부문
(16) 중생 자업의 과실에 관한 부문
(17) 반야가 법의 무성을 취함에 관한 부문
(18) 세 종류의 바라밀다에 관한 부문
다) 지에 의지하여 도를 일으켜서 대치되어야 할 바인 장애
(1) 수면의 가짓수를 분별함
(2) 추중의 단멸로 현시되는 바를 분별함
(3) 추중 단멸의 시절을 분별함
(4) 보살 번뇌의 덕과 실을 분별함
라) 여래가 말한 일승의 의취를 밝힘
(1) 청문함
(2) 여래가 바르게 말함
2) 게송으로 간략하게 말함
가) 게송의 문장을 일으킴
나) 게송을 들어 바르게 말함
(1) 처음의 한 가지 게송: 이상의 지와 도를 읊음
(2) 뒤의 두 가지 게송: 이상의 일승을 읊음
나. 가르침에 의거하여 받들어 지님의 부분
1) 청문함
2) 바르게 답함
Author
원측,김성은
스님의 휘諱는 문아文雅이고 자字는 원측圓測이며, 신라 국왕의 자손이다. 3세에 출가해서 15세(627)에 입당하였다. 처음에는 경사京師의 법상法常과 승변僧? 등에게 강론을 들으면서 중국 구舊유식의 주요 경론들 을 배웠다. 정관 연간正觀年間(627~649)에 대종문황 제大宗文皇帝가 도첩을 내려 승려로 삼았다. 장안의 원법사元法寺에 머물면서 「비담론?曇論」, 「성실론成實論」 「구사론俱舍論」, 「대비바사론大昆婆沙論」 등 고금 의 장소章疏를 열람하였다. 현장호?이 귀국한 이후에 는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성유식론成唯識論」 등을 통해 신新유식에도 두루 통달하였다. 서명사西明寺의 대덕이 된 이후부터 본격적 저술 활동에 들어가서 「성 유식론소成唯識論疏」,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인왕경소仁王經疏」 및 「관소연론觀所綠論」, 「반야심경般若心經」, 「무량의경無量義經」 등의 소疏를 찬술하였다. 지금은 「인왕경소」 3권과 「반야바라밀다심경찬般若波羅 蜜多心經?」 1권, 그리고 「해심밀경소」 10권만 전해진다. 말년에 역경에 종사하다 낙양洛陽의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84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후대에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서명파西明派를 탄생 시킨 장본인으로 추앙받았다.
스님의 휘諱는 문아文雅이고 자字는 원측圓測이며, 신라 국왕의 자손이다. 3세에 출가해서 15세(627)에 입당하였다. 처음에는 경사京師의 법상法常과 승변僧? 등에게 강론을 들으면서 중국 구舊유식의 주요 경론들 을 배웠다. 정관 연간正觀年間(627~649)에 대종문황 제大宗文皇帝가 도첩을 내려 승려로 삼았다. 장안의 원법사元法寺에 머물면서 「비담론?曇論」, 「성실론成實論」 「구사론俱舍論」, 「대비바사론大昆婆沙論」 등 고금 의 장소章疏를 열람하였다. 현장호?이 귀국한 이후에 는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성유식론成唯識論」 등을 통해 신新유식에도 두루 통달하였다. 서명사西明寺의 대덕이 된 이후부터 본격적 저술 활동에 들어가서 「성 유식론소成唯識論疏」,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인왕경소仁王經疏」 및 「관소연론觀所綠論」, 「반야심경般若心經」, 「무량의경無量義經」 등의 소疏를 찬술하였다. 지금은 「인왕경소」 3권과 「반야바라밀다심경찬般若波羅 蜜多心經?」 1권, 그리고 「해심밀경소」 10권만 전해진다. 말년에 역경에 종사하다 낙양洛陽의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84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후대에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서명파西明派를 탄생 시킨 장본인으로 추앙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