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권: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를 통해 본 2021년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
요약 i
제1장 서론: 2021년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의 변화 1
제1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제2절 2021년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 수정·보완 내용 2
제2장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 진단 1: 기업가/기업 7
제1절 기업가/창업 부문 7
1. 기업가정신 7
2. 창업활동 9
3. 창업의 질 11
4. 창업의향 13
〈(기업가/창업)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15
제2절 기업 부문 17
1. 기업생존율 17
2. 신규고용 19
3. 고성장기업 21
4. 유니콘기업 23
〈(기업)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25
제3장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 진단 2: 창업환경 27
제1절 자금 부문 27
1. 벤처캐피탈 27
2. 엔젤투자 29
3. 크라우드펀딩 31
4. EXIT 33
〈(자금)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35
제2절 지원조직 부문 37
1. 액셀러레이터 37
2. 창업보육센터 39
3. 코워킹스페이스 41
4. 사내벤처 43
〈(지원조직)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45
제3절 기술/지식 인프라 부문 47
1. 공공기술이전 47
2. 연구소기업 49
3. 공공기술기반 창업 51
4. 기업 연구개발 역량 53
〈(기술/지식 인프라)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55
제4절 정책/규제 부문 57
1. 창업지원 57
2. 정책금융 59
3. 모태펀드 61
4. 창업규제 63
〈(정책/규제)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65
제4장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 진단 3: 교육/인식 67
제1절 교육 부문 67
1. 창업교육 경험 67
2. 대학 창업교육 69
3. 창업친화 학사제도 71
4. 대학발 창업 73
〈(교육)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75
제2절 문화/인식 부문 77
1. 기회/역량 인식 77
2. 사회적 인식 79
3. 실패 두려움 81
4. 생태계 인식 83
〈(문화/인식)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85
제5장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대시보드 진단 4: 생태계 다양성 87
제1절 기업가적 다양성 부문 87
1. 여성 기업가정신 87
2. 세대별 기업가정신 89
3. 지역별 기업가정신 91
4. 소셜벤처/사회적기업 93
〈(기업가적 다양성)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95
제2절 글로벌화 부문 97
1. 해외진출 97
2. 외국인창업 99
〈(글로벌화) 부문의 전문가 이슈 진단〉 101
제6장 결론: 2021년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종합성과 진단 및 정책제언 103
제1절 2021년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종합성과 진단 103
제2절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 112
1.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부문별 정책 시사점 112
2.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 114
3.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안) 116
참고문헌 123
Summary 127
Contents 129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링 사업(7차년도)
- 제2권: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현황 진단 및 발전 방안 -
요약 i
제1장 서론: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1
제1절 스타트업 글로벌화의 개념 및 필요성 1
1. 스타트업 글로벌화의 개념 및 범위 1
제2절 스타트업 글로벌화 관련 선행연구 리뷰 7
제2장 스타트업 글로벌화 지원 관련 정부 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14
제1절 스타트업 글로벌화를 위한 주요 대책 14
제2절 스타트업 글로벌화를 위한 주요 사업 16
제3장 해외 주요국의 스타트업 글로벌화 지원 정책 리뷰 24
제1절 프랑스 24
1. 스타트업 글로벌화 수준 현황 진단 24
2. 스타트업 글로벌화 지원 정책 사례 27
3. 한국 스타트업 글로벌화를 위한 벤치마킹 시사점 38
제2절 대만 42
1. 스타트업 글로벌화 수준 현황 진단 42
2. 스타트업 글로벌화 지원 정책 사례 45
3. 한국 스타트업 글로벌화를 위한 벤치마킹 시사점 57
제3절 영국 59
1. 스타트업 글로벌화 수준 현황 진단 59
2. 스타트업 글로벌화 지원 정책 사례 63
제4절 캐나다 79
1. 스타트업 글로벌화 수준 현황 진단 79
2. 스타트업 글로벌화 지원 정책 사례 82
3. 한국 스타트업 글로벌화를 위한 벤치마킹 시사점 94
제5절 핀란드 96
1. 스타트업 글로벌화 수준 현황 진단 96
2. 스타트업 글로벌화 지원 정책 사례 97
3. 한국 스타트업 글로벌화를 위한 벤치마킹 시사점 101
제4장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현황 및 특성 분석 104
제1절 스타트업 글로벌화 조사 분석 104
1. 스타트업 글로벌화 관련 조사 현황 104
3. 스타트업 글로벌화 현황 및 진단 111
제2절 창업기업실태조사를 통해 본 글로벌 스타트업 특성 분석 134
1. 창업자 및 기업 특성 135
제3절 스타트업 글로벌화 관련 설문조사 144
1. 설문개요 144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64
제5장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성공사례 분석 168
제1절 하이퍼커넥트 168
제2절 버즈빌 179
1. 시장 관점 180
제3절 토스랩 189
1. 시장 관점 192
2. 자금/투자 관점 194
3. 인력 및 지원 인프라 관점 196
제4절 밸런스히어로 199
1. 시장 관점 201
2. 자금/투자 관점 204
3. 인력 및 지원 인프라 관점 207
제5절 쓰리빌리언 211
1. 시장 관점 212
제6절 소결 및 시사점 223
제6장 결론: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증진을 위한 제언 224
제1절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핵심 애로 및 문제점 요약 224
제2절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증진을 위한 정책방향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