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헌법학에 관한 논저 31편을 번역, 편집한 『독일 헌법학의 원천』이 출간됐다. 1184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이 책은 총 여섯 편으로 구성되어 헌법이론, 국가이론, 헌법사, 비교헌법론, 헌법의 보장 등을 다룬다. 바이마르공화국 헌법부터 현재 독일의 실정헌법에 이르기까지, 독일의 헌법학 관련 이론은 제헌헌법부터 지금까지 대한민국 헌법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따라서 독일 기본권의 일반이론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로부터 독자적인 한국 기본권의 일반이론에 대한 정립노력이 필요하다. 독일 헌법학 이론을 정독함으로써 우리 헌법학의 특수성과 입헌민주주의의 발전을 되짚어볼 수 있다. 이 책은 본격적인 학술 논문에서부터 강연 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헌들을 수록하고 있으며, 독일 헌법학의 시기 또한 바이마르 헌법 시대에서부터 기본법을 거쳐 통일된 독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이는 김효전 동아대 명예교수가 1970년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독일 헌법을 중심으로 연구한 내용을 집대성한 것으로, 50여 년간의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 카를 슈미트 연구의 권위자로 알려진 김효전 교수는 평생을 헌법학 연구에 매진하여 저서 15권, 논문 게재 200여 편으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법치국가의 이론적 토대 마련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3월 ‘대한민국 법률 대상(학술부문)’을 수상한 바 있다.
Contents
역자 서문
제1편 헌법이론
1. 헌법의 개념··························카를 슈미트
2. 헌법의 우위····························라이너 발
3. 법학적 체계형성의 예시로서의 ≫독일 일반 국법≪······························카를 슈미트
4. 법학적 문헌장르의 종합으로서의 헌법론 ··········································페터 해벌레
5. 헌법해석의 방법 - 재고와 비판
························에른스트 볼프강 뵈켄회르데
6. 헌법과 정당····················하인리히 트리펠·
7. 바이마르 헌법체계에서의 정당
································구스타프 라드브루흐
8. 헌법개정과 헌법변천······게오르크 옐리네크
제2편 국가이론
1. 세속화과정으로서의 국가의 성립
························에른스트 볼프강 뵈켄회르데
2. 현대의 국가이론과 법이론의 문제성에 대한 논평····························헤르만 헬러
3. 통합이론에서의 생명으로서의 국가
····································볼프강 슐루흐터
4. 카를 슈미트의 『로마 가톨릭주의와 정치형태』에 대한 논평·······클라우스 크뢰거
5. 문화과학으로서의 헌법학········페터 해벌레
제3편 헌법사
1. 독일 헌법사 서설················프리츠 하르퉁
2. 19세기 독일에서의 정부와 의회
···································게오르크 옐리네크
3. 오스트리아의 헌법발전 (1804-1867) ········································프리츠 하르퉁
제4편 기본권이론
1. 기본권의 해석과 효과···크리스티안 슈타르크
2. 기본권의 보호의무·······크리스티안 슈타르크
3. 헌법보장으로서의 인간의 존엄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4. 급부국가에 있어서의 기본권····페터 해벌레
5. 교회와 국가의 긴장 속의 종교의 자유 ························에른스트 볼프강 뵈켄회르데
6. 크리스천의 과제로서의 종교의 자유
························에른스트 볼프강 뵈켄회르데
7. 공용수용과 사회화·············한스 페터 입센
8. 방어권으로서의 기본권과 보호의무로서의 기본권··························요제프 이젠제
제5편 비교헌법론
1. 비교헌법론 서설···············카를 뢰벤슈타인
2. 대통령제의 비교법적 연구
······································카를 뢰벤슈타인
3. 현대 혁명시대에 있어서 헌법의 가치
······································카를 뢰벤슈타인
4. 정치권력과 통치과정: 후기
······································카를 뢰벤슈타인
제6편 헌법의 보장
1. 헌법의 수호자·······················카를 슈미트
2. 누가 헌법의 수호자이어야 하는가?
·············································한스 켈젠
3. 정의란 무엇인가?·····················한스 켈젠
[부 록]
역자의 주
인명색인
사항색인
1945년 서울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77년부터 2010년까지 동아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법대학장, 법학전문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그동안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 초청교수, 미국 버클리대학 방문학자, 한국공법학회 회장 등을 지냈으며, 현재는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자 동아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자는 근대 한국 헌법의 발전을 수용사와 개념사라는 시각에서 천착하여 한국법학의 연속성과 정체성의 확립에 주력하였다. 또한 독일 공법이론의 주요 문헌들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헌법의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주요 저작으로는 『서양헌법이론의 초기수용』, 『근대한국의 국가사상』, 『근대 한국의 법제와 법학』, 『헌법』 등이 있으며, 번역으로는 G. 옐리네크의 『일반 국가학』, C. 슈미트의 『정치신학』, 『헌법의 수호자』, E.-W. 뵈켄회르데의 『헌법·국가·자유』, 『헌법과 민주주의』, G. 옐리네크외, 『독일기본권이론 이해』, H. 헬러의 『주권론』, 헤르만 헬러의 『바이마르 헌법과 정치사상』등 30여 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