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욱 박사 전집 세트 전6권

고급 북케이스 + 독송용 금강경 별책 포함 한정판
$165.60
SKU
97889349090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9/23
Pages/Weight/Size 152*215*80mm
ISBN 9788934909002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독립운동가이자 한국 최초의 독일 철학박사, 금강산 10년 수행 후 도통을 이룬
시대의 활불活佛, 건국 운동가이자 내무부장관, 동국대 총장이자
근현대 한국 불교의 선지식 백성욱 박사의 전집 드디어 출간!


《백성욱 박사 전집(전6권)》은 그동안 파편적으로 존재하던 백성욱 박사의 글과 말씀, 강의를 새롭게 수집·정리하여 출판하는 것이다. 말씀이 기록된 릴 테이프를 수차례 재청취하고 다듬어 강의와 법문을 정리하였고, 역사 자료와 도서관 문헌 등을 추적·발굴하여 오늘의 독자가 읽을 수 있도록 편집·수록하였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현장 강의에 없던 내용은 괄호와 주석 속에 추가·보강하여 완성하였다. 이외에도 기사·편지·메모·녹음·영상·출판물 등 풍부한 자료를 수집하고, 관련 인물들과의 인터뷰 및 취재를 통해 사실 확인 후 주제별로 나누어 정리했으며, 그동안 잘못 알려진 채 인용되고 있던 내용도 수정·보강하였다. 기록을 하나하나 대조하여 보다 정확하게 연보와 생애를 구성하고, 생생한 법문과 학인들의 수행기를 통해 백성욱의 깨달음과 가르침의 방향을 명확하고 풍성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여섯 권으로 이루어진 전집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백성욱 박사의 금강경 강화
- 독창적인 시각과 해석이 돋보이는 백성욱 박사의 《금강경》 해설
2. 불법佛法으로 본 인류문화사 강의
- 불교의 관점에서 인류와 세계, 문화와 역사를 파헤친 인문학 특강
3. 분별이 반가울 때가 해탈이다 : 백성욱 박사 법문집
- 백성욱 박사의 말씀과 핵심적인 가르침을 집약한 법문집
4. 백성욱 박사 문집
- 백성욱 박사가 직접 쓴 논문·시·에세이·편지·법문 등 글 모음집
5. 금강산 호랑이 : 내가 만난 백성욱 박사
- 스물둘 명사와 학인들이 백성욱 박사의 진면목을 밝힌 회고록
6. 응작여시관 : 백성욱 박사 전기
- 백성욱 박사에 대한 최초 본격 전기

이번 《백성욱 박사 전집》 출판으로,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백성욱 박사의 출생과 성장, 청년기의 독립운동, 유럽 유학 시절, 금강산 수도 시절, 동국대 진흥을 비롯한 사회활동, 소사 백성목장 시절 등 다양한 면모를 새롭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 광복을 전후로 세상과 수행 양쪽에 전무후무한 자취를 남긴 백성욱 박사의 강의와 말씀, 글과 일화, 나아가 그 삶의 일대기는 그 활발발한 기상이나 헌신의 깊이만큼 묵직한 여운을 남긴다. 한 사람의 삶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극적인 변화의 기록들, 비범한 통찰과 다채로운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전집은,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는 독자에게도 의미 있는 지침이 되어줄 것이다. 전6권 세트 구입 시, 자석 개폐식 고급 북케이스에 《독송용 금강반야바라밀경》을 별책부록으로 함께 담아 증정한다.
Contents
1. 백성욱 박사의 금강경 강화
2. 불법佛法으로 본 인류문화사 강의
3. 분별이 반가울 때가 해탈이다 : 백성욱 박사 법문집
4. 백성욱 박사 문집
5. 금강산 호랑이 : 내가 만난 백성욱 박사
6. 응작여시관 : 백성욱 박사 전기
Author
백성욱,김강유,이광옥,김원수
1897년 8월 19일(음력) 종로구 연건동에서 출생했다. 만 3세에 아버지를 여읜 데 이어, 9세에 어머니마저 세상을 떠났다. 정릉 봉국사에서 행자 생활을 시작, 13세에 최하옹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전국 주요 사찰의 불교전문강원에서 8년에 걸쳐 공부하다, 1917년(20세)에 서울로 올라와 동국대학교 전신인 불교중앙학림에 입학했다. 1919년 3월 1일, 한용운 스님의 명을 받아 중앙학림 학생들을 인솔하여 탑골공원에서 기미독립선언서를 배포했으며, 이후 남대문과 대한문에서 시위를 주도했다. 대대적인 검문과 체포가 시작되자 상해임시정부를 찾아가 독립운동을 했으며, 《독립신문》 제작에 참여했다.
1921년, 24세에 충정공 민영환의 아들 범식·장식 형제의 지원을 받아 그들과 함께 1년 동안 프랑스 북부 보베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프랑스어, 독일어, 라틴어를 공부했다. 이듬해,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의대에서 공부하던 이미륵을 만나 철학과 한스 마이어 교수를 소개받았다. 시험에 통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 입학하여 1923년 가을부터 마이어 교수를 지도교수로 <불교순전철학佛敎純全哲學> 박사학위 논문 작성에 매진했고, 이듬해 5월에 초고 완성, 9월에 인준받았다.
1925년 9월, 28세에 귀국하여 신문과 잡지에 시와 논문, 에세이 등을 기고하고, 각종 토론회와 법회에 나서는 등 불교 혁신운동에 참여하다, 1929년(32세) 늦여름, 불교전수학교(구 불교중앙학림) 교수직 등 모든 걸 내려놓고 금강산에 입산, 장안사 보덕암에서 수행을 시작했다. 수행 중 혜정 손석재 선생의 권유로 오대산 상원사 적멸보궁에 함께 가서 100일 기도 정진했으며, 1930년부터 장안사 안양암에서 1일 1식 하며 ‘대방광불화엄경’ 염송 수행을 시작했다. 안양암 3년 정진 중 얻은 바가 있어, 장안사 지장암에서 손혜정 선생과 함께 근대 최초의 수행공동체 운동을 전개하며 회중수도會衆修道를 시작했다. 조국 독립을 기도하고, ‘대방광불화엄경’을 염송하면서 7년여 동안 500여 명의 제자를 지도했다. 1938년(41세) 4월, 지장암 수도 중에 불령선인不逞鮮人으로 지목되어 경남 의령경찰서로 연행, 50여 일간 취조받다가 석방되었으나, 일제의 압력으로 하산하게 되었다.
이후 서울 돈암동과 치악산 상원사 동굴에서 정진 수도하다가, 1945년 해방이 되자 애국단체인 중앙공작대를 조직하고 민중 계몽운동을 시작했다. 상해임시정부 시절 인연이 있던 이승만 박사를 중심으로 한 건국운동에 참여했으며, 1950년(53세) 제4대 내무부장관, 1951년 한국광업진흥주식회사 사장에 취임했다. 1953년 7월, 부산 피난 중 동국대학교 제2대 총장에 취임했으며, 이후 5·16 군사정변으로 동국대학교에서 물러나게 된 1961년 7월까지 중구 필동에 대학교 교사를 건립하고 시설·학사·교수 등 다방면에 걸쳐 동국대 중흥의 기틀을 마련했다. 《금강삼매경론》 《화엄경》 ‘인류 문화사’ 등을 강의했으며, 《고려대장경》 영인 작업에 착수, 총 48권의 현대식 영인본을 출간하기도 했다.
1962년, 65세에 경기도 부천군 소사읍 소사리의 야트막한 산을 개간, ‘백성목장白性牧場’을 경영하면서 《금강경》을 쉽게 강의하고, 인연 있는 후학을 지도했다. 1981년 8월 19일(음력), 출생일과 같은 날, 84세를 일기로 입적했다. 후학들이 금강경독송회, 청우불교원 금강경독송회, 바른법연구원, 백성욱 박사 교육문화재단, 백성욱연구원, 여시관如是觀 등을 세워 가르침을 잇고 있다.
1897년 8월 19일(음력) 종로구 연건동에서 출생했다. 만 3세에 아버지를 여읜 데 이어, 9세에 어머니마저 세상을 떠났다. 정릉 봉국사에서 행자 생활을 시작, 13세에 최하옹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전국 주요 사찰의 불교전문강원에서 8년에 걸쳐 공부하다, 1917년(20세)에 서울로 올라와 동국대학교 전신인 불교중앙학림에 입학했다. 1919년 3월 1일, 한용운 스님의 명을 받아 중앙학림 학생들을 인솔하여 탑골공원에서 기미독립선언서를 배포했으며, 이후 남대문과 대한문에서 시위를 주도했다. 대대적인 검문과 체포가 시작되자 상해임시정부를 찾아가 독립운동을 했으며, 《독립신문》 제작에 참여했다.
1921년, 24세에 충정공 민영환의 아들 범식·장식 형제의 지원을 받아 그들과 함께 1년 동안 프랑스 북부 보베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프랑스어, 독일어, 라틴어를 공부했다. 이듬해,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의대에서 공부하던 이미륵을 만나 철학과 한스 마이어 교수를 소개받았다. 시험에 통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 입학하여 1923년 가을부터 마이어 교수를 지도교수로 <불교순전철학佛敎純全哲學> 박사학위 논문 작성에 매진했고, 이듬해 5월에 초고 완성, 9월에 인준받았다.
1925년 9월, 28세에 귀국하여 신문과 잡지에 시와 논문, 에세이 등을 기고하고, 각종 토론회와 법회에 나서는 등 불교 혁신운동에 참여하다, 1929년(32세) 늦여름, 불교전수학교(구 불교중앙학림) 교수직 등 모든 걸 내려놓고 금강산에 입산, 장안사 보덕암에서 수행을 시작했다. 수행 중 혜정 손석재 선생의 권유로 오대산 상원사 적멸보궁에 함께 가서 100일 기도 정진했으며, 1930년부터 장안사 안양암에서 1일 1식 하며 ‘대방광불화엄경’ 염송 수행을 시작했다. 안양암 3년 정진 중 얻은 바가 있어, 장안사 지장암에서 손혜정 선생과 함께 근대 최초의 수행공동체 운동을 전개하며 회중수도會衆修道를 시작했다. 조국 독립을 기도하고, ‘대방광불화엄경’을 염송하면서 7년여 동안 500여 명의 제자를 지도했다. 1938년(41세) 4월, 지장암 수도 중에 불령선인不逞鮮人으로 지목되어 경남 의령경찰서로 연행, 50여 일간 취조받다가 석방되었으나, 일제의 압력으로 하산하게 되었다.
이후 서울 돈암동과 치악산 상원사 동굴에서 정진 수도하다가, 1945년 해방이 되자 애국단체인 중앙공작대를 조직하고 민중 계몽운동을 시작했다. 상해임시정부 시절 인연이 있던 이승만 박사를 중심으로 한 건국운동에 참여했으며, 1950년(53세) 제4대 내무부장관, 1951년 한국광업진흥주식회사 사장에 취임했다. 1953년 7월, 부산 피난 중 동국대학교 제2대 총장에 취임했으며, 이후 5·16 군사정변으로 동국대학교에서 물러나게 된 1961년 7월까지 중구 필동에 대학교 교사를 건립하고 시설·학사·교수 등 다방면에 걸쳐 동국대 중흥의 기틀을 마련했다. 《금강삼매경론》 《화엄경》 ‘인류 문화사’ 등을 강의했으며, 《고려대장경》 영인 작업에 착수, 총 48권의 현대식 영인본을 출간하기도 했다.
1962년, 65세에 경기도 부천군 소사읍 소사리의 야트막한 산을 개간, ‘백성목장白性牧場’을 경영하면서 《금강경》을 쉽게 강의하고, 인연 있는 후학을 지도했다. 1981년 8월 19일(음력), 출생일과 같은 날, 84세를 일기로 입적했다. 후학들이 금강경독송회, 청우불교원 금강경독송회, 바른법연구원, 백성욱 박사 교육문화재단, 백성욱연구원, 여시관如是觀 등을 세워 가르침을 잇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