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운동사에 대해 고찰한 책. 박정희 군부세력이 쿠데타로 집권하여 1963년 12월 기만적인 "민정이양"을 통해 제3공화국을 출범시킨지 얼마 안된 1964년 3월 24일부터 시작하여 1965년 9월까지 연인원 350여 만 명이 참여하여 1년 6개월여에 걸쳐 전개된 5·16군사정권에 항거한 민주화투쟁과 굴욕적 한일회담에 대한 반대투쟁을 총칭하는 <6·3학생운동> 전반에 대해 상세히 다루었다.
Contents
1. 6·3학생운동의 원인과 배경
6·3학생운동의 사회·정치적 배경
한·일굴욕회담의 경위
한·일회담의 내용과 쟁점
2. 6·3학생운동의 전개
1964년 6·3데모의 전말
1965년 한·일협정 비준반대운동
3. 대학별 6·3학생운동의 실상
건국대학교 6·3운동
경희대학교 6·3운동
고려대학교 6·3운동
국민대학교 6·3운동
단국대학교 6·3운동
동국대학교 6·3운동
동아대학교 6·3운동
명지대학교 6·3운동
서강대학교 6·3운동
서울대학교 6·3운동
성균관대학교 6·3운동
숙명여자대학교 6·3운동
숭실대학교 6·3운동
연세대학교 6·3운동
이화여자대학교 6·3운동
전남대학교 6·3운동
제주대학교 6·3운동
중앙대학교 6·3운동
한국외국어대학교 6·3운동
한양대학교 6·3운동
1964년 학생연합조직운동
1965년 한·일협정 비준반대 각 대학연합체운동
4. 6·3학생운동의 의의와 6·3세대의 임무
6·3학생운동의 성격과 의의
6·3학생운동의 역사적 계승
6·3세대의 시대적 사명
5. 6·3학생운동 관련자료
6·3학생운동 관련 성명서 및 선언문
6·3 당시의 사회여론과 학생들의 연구보고서
한·일협정 전문
6·3학생운동 관련일지
6. 6·3동지회 약사와 활동
6·3동지회의 발족과 정관
6·3동지회의 주요 활동(1989~2000)
6·3동지회의 성명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