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과 미국 선교사

$37.80
SKU
978896324342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25
Pages/Weight/Size 174*245*35mm
ISBN 9788963243429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 책은 카이 인 앨리슨 헤이가(Kai Yin Allison Haga, 중국명 希家玹) 교수의 박사학위 논문, “6·25전쟁의 간과된 측면: 한국의 민족주의 발흥과 반식민주의, 그리고 마침내 발생한 내전에서 기독교와 미국 선교사들의 역할, 1884-1953”(An Overlooked Dimension of the Korean War: The Role of Christianity and American Missionaries in the Rise of Korean Nationalism, Anti-Colonialism, and Eventual Civil War, 1884-1953)을 번역한 것으로서, 6·25전쟁 기간 동안 활약한 미국 선교사들의 이야기를 주된 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미국 기독교가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 내내 한국 사회 전반에 미쳤던 영향력이 해방 이후 남북한 정세 급변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을 밝히고 있으며, 특히 미군정 시기 선교사들의 핵심 역할을 예리하게 꼬집었다.
Contents
발간사
추천 및 감수의 말
역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한국 독자들에게 밝히는 한국 기독교와 나의 특별한 인연
감사의 글
서언: ‘잊힌 전쟁’의 잊힌 영웅들

제1부 한국 기독교와 6·25전쟁 이전의 한미관계

제1장 기독교와 한국 근대 민족주의의 발흥
한국과 동아시아의 인접 국가들
일본에 의한 조선의 문호 개방
개신교 선교사들의 초기 한국 활동
국내의 불만과 외세의 개입
기독교와 한국의 독립투쟁

제2장 북한의 종교적인 요소들
식민지 시대의 가장 암울한 시기(1931~1945)
북한의 해방
해방 후 북한에서 종교 단체와 공산주의가 벌인 정치 경쟁
공산 혁명에 대한 종교계의 저항

제3장 남한의 종교적인 요소들
미군정의 구성에 기여한 조지 Z. 윌리엄스의 역할
미국 선교사와 그들의 미군정 내 영향력
남한 교회들의 상황
이승만과 단독 정부 구성

제4장 종교적 반공주의와 미국의 외교 정책
미국의 승리 1945-1948
핵 공포와 종교 부흥
남한에 대한 미국의 정책

제2부 6·25전쟁 중 한국 기독교와 한미관계

제5장 6·25전쟁의 발발
남한에 대한 비밀 군사 공격 계획
전쟁 직전 남한의 부흥
전쟁의 발발과 초기 대응

제6장 전쟁터의 선교사들과 기독교인들
전장에 남은 선교사들
피난민 문제와 기독교 구호 활동
서울의 함락과 수복

제7장 점령과 철수
북한 점령
선교사들과 하트브레이크 작전
철수 작전을 통한 역설적 승리

제8장 휴전 회담과 전쟁 포로 논란
휴전 협정 테이블로 가는 길
전쟁 포로 문제에 관여하는 기독교
휴전 협정의 최종 결론

결언
참고문헌
Author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카이 인 앨리슨 헤이가,박상명,박명수
1972년 중국 광저우 태생
1995년 홍콩대학교(The University of Hong Kong) 미국학(American Studies) B. A. 졸업
1997년 윌리엄 앤 메리대학교(College of William and Mary) 미국학(American studies) M. A. 졸업
2007년 동 대학교 미국역사학(US History) Ph. D. 졸업
2008년 타이완의 국립순얏센대학교(National Sun Yat-Sen University, 國立中山大學) 겸임교수(Adjunct Professor)
2014년 동 대학교 사회과학대 부교수(full-time Assistant Professor)
1972년 중국 광저우 태생
1995년 홍콩대학교(The University of Hong Kong) 미국학(American Studies) B. A. 졸업
1997년 윌리엄 앤 메리대학교(College of William and Mary) 미국학(American studies) M. A. 졸업
2007년 동 대학교 미국역사학(US History) Ph. D. 졸업
2008년 타이완의 국립순얏센대학교(National Sun Yat-Sen University, 國立中山大學) 겸임교수(Adjunct Professor)
2014년 동 대학교 사회과학대 부교수(full-time Assistant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