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입고 자는 것의 규모를 줄이는 대신 자유의 규모를 늘리기로 한, 아파트와 도시를 떠나 멀고 불편함을 선택한 이들이 있다. 물질적 풍요와 소비가 개인적 성취능력의 표본으로 간주되는 현실에서 돈에 일희일비하는 삶을 ‘자발적으로’ 멈추기란 쉽지 않다. 그럼에도 ‘기본으로 돌아가자’는 움직임이 하나의 흐름이 된 것처럼 삶을 축소하고 적게 일하기, 느리게 살기, 전원에서 자급자족하기, 내면의 가치에 집중하기 등 단순한 삶의 가치와 양식을 동경하는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대부분의 언론 매체도 이에 긍정적으로 대응한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박함보다는 고급스러움에서, 비움보다는 채움을 통해 더 큰 행복을 얻는다.
현대는 그야말로 방향상실의 시대다. 소유의 욕망이 풍요롭고 안락한 삶에 필요한 요소로 인정받는 동시에 인간성과 도덕성을 타락시키는 요소로 작용하며, 그 간극 사이에서 현대인들이 느끼는 피로감은 누적되어간다. 이런 상황에서 누군가에게는 단순한 삶이 언젠가 자신도 추구하고픈 삶의 목표가 되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있는 자의 여유쯤으로, 때로는 과시적 행동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단순함의 가치가 경제를 위축시키는 위험요소이다. 다양한 삶의 가치와 무게가 혼재하는 상황에서 단순한 삶이 과연 삶의 모범이 될 수 있을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겠다.
『단순한 삶의 철학』은 단순한 삶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숙고하며 오늘날 바람직한 삶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책이다. 소크라테스부터 헨리 데이비드 소로에 이르기까지 역사 속 수많은 사상가와 현인 들이 단순한 삶의 가치를 칭송하고 설파했지만, 이들의 사상이 대중을 설득하는 데 왜 실패했는지, 풍요로운 생활을 저버리고 검소하게 사는 것만이 여전히 올바른 삶인지, 현대 사회가 어떻게 모순된 교훈을 장려했는지 등 단순한 삶과 부의 추구라는 상반된 두 가치 사이에서 치열한 논쟁을 이끌며 무엇이 올바른 삶인지, 어떤 선택이 더 행복한지 끊임없이 우리의 생각을 자극한다.
저자 엠리스 웨스타콧Emrys Westacott은 뉴욕 알프레드대학의 철학과 교수로, 다양한 전통과 학파를 대표하는 대부분의 지성들이 그러했듯이 그도 삶의 궁극적 가치와 미덕을 소박함과 단순함에 두고 있다. 『구두쇠 신문』의 열혈 독자로 빈 우유팩으로 변기 청소솔 거치대를 만들어 사용할 만큼 지독한 구두쇠로 통한다. 그런 그도 도덕과 욕망 사이에서 어떠한 삶에 가치를 두어야 하는지 신중한 입장을 취하며, 최근 이상적으로만 조명되어온 단순한 삶의 실천적 가능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점검한다.
사람들마다 형편과 사정이 다르고, 어떤 삶을 사느냐는 개개인의 선택이자 가치의 문제이다. 다만, 철학, 종교학, 문학, 예술,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등의 분야를 교차하며 단순한 삶에 관한 견해가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2000여 년간의 지적 변혁의 흐름을 추적하는 저자의 논조를 함께 따라가다 보면,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의 방향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적정한 삶의 대안을 스스로 생각해볼 수 있는 통찰과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로, 저자가 2002년부터 진행해온 ‘1달러로 만드는 하루의 행복Tightwaddery: The Good Life on a Dollar a Day’이라는 강의가 이 책의 모태가 되었다. 단순한 삶의 가치를 두고 첨예한 철학적 논쟁을 이끄는 토론수업과 더불어 학생들끼리 서로 머리를 잘라주게 하는 등 검약의 의미를 직접 실행해보도록 하는 실습수업을 병행하고 있다. 이 강의는 2008년 스탠퍼드대학교가 선정한 ‘가장 기발한 강의 25’에서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Contents
들어가는 글
1 단순함이란 무엇인가
경제적 분별
수수한 삶
자급자족
자연을 가까이하는 삶
단순한 쾌락을 누리기
금욕주의
육체와 영혼의 순수
규율에 따르는 삶
미적 단순
2 단순한 삶은 어떻게 우리를 고양시키는가
도덕적 입장과 실용적 입장의 구분
단순한 삶은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단순한 삶은 올바른 성품을 갖게 한다
단순한 삶은 우월한 가치를 추구하게 한다
단순한 삶은 도덕성의 상징이다
욕심과 낭비는 천박함의 증표이다
3 단순한 삶은 어떻게 행복이 되는가
단순한 삶은 덕을 키우고, 덕은 행복을 키운다
단순한 삶은 일을 줄이고 여가를 늘린다
삶의 기본 욕구만 충족되면 행복할 수 있다
단순한 삶은 마음의 평온을 가져온다
소박하게 살면 힘든 시간을 대비할 수 있다
소박하게 살면 작은 일에도 기뻐하게 된다
단순한 삶은 삶을 독립적으로 이끈다
단순한 삶은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게 한다
단순한 삶은 건강에 도움이 된다
4 소박함의 철학은 왜 오늘날의 삶에 어려운 것인가
소박함의 비판적 측면
부의 긍정적 측면
욕망의 긍정적 측면
5 소박함이 늘 미덕은 아니다
무분별한 사치
감당할 수 있는 사치
적당한 사치를 긍정하는 입장들
사치를 의무로 규정해야 하는가
6 현대 경제에서 소박함의 철학은 어떤 의미인가
단순함을 그리워하다
경제성장, 삶의 질도 나아졌는가
모든 이들이 검소하게 산다면
소박함은 왜 재앙을 불러오지 않았는가
우리는 왜 이토록 열심히 일하는가
7 환경의 관점에서 단순한 삶을 바라보다
역사적 배경
환경론자들의 주장
환경론자들의 주장에 대한 반론, 그리고 재반론
맺는 글
감사의 글
주
Author
엠리스 웨스타콧,노윤기
영국 노팅엄에서 태어나 체스터필드에서 자랐다. 셰필드대학교를 졸업했고 맥길대학교와 오스틴의 텍사스대학교에서 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미국 뉴욕의 알프레드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근대철학과 사회?정치철학, 윤리학, 논리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필로소피 나우Philosophy Now》《더 휴머니스트The Humanist》《국제응용철학회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Philosophy》《철학 포럼The Philosophical Forum》《철학매거진The Philosopher’s Magazine》등의 저널에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기고하고 있으며, 《뉴욕 타임스》와 《월스트리트널》등 여러 매체의 철학 칼럼니스트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악이라는 덕The Virtues of Our Vices》《철학적 사유Thinking through Philosophy》등이 있다.
영국 노팅엄에서 태어나 체스터필드에서 자랐다. 셰필드대학교를 졸업했고 맥길대학교와 오스틴의 텍사스대학교에서 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미국 뉴욕의 알프레드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근대철학과 사회?정치철학, 윤리학, 논리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필로소피 나우Philosophy Now》《더 휴머니스트The Humanist》《국제응용철학회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Philosophy》《철학 포럼The Philosophical Forum》《철학매거진The Philosopher’s Magazine》등의 저널에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기고하고 있으며, 《뉴욕 타임스》와 《월스트리트널》등 여러 매체의 철학 칼럼니스트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악이라는 덕The Virtues of Our Vices》《철학적 사유Thinking through Philosophy》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