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신 경제를 뜻하는 ‘싱글 이코노미(Single Economy)’는 이제 많은 이들에게 익숙한 용어가 됐다. 아울러 ‘싱글족’이라는 표현이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혼자 사는 사람들도 크게 늘었다. 시중에선 벌써 싱글족들을 겨냥한 각종 상품까지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다양한 주거 상품은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아파트 공화국’이라는 말이 암시하듯 여전히 아파트가 우리나라의 가장 지배적인 주거 형태다. 그렇지만 아파트는 획일적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1~2인 가구 유형을 수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여러 계층을 수용할 수 있는 상품 개발을 위해선 ‘주택’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할 수 있는 ‘공간’의 개념을 정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 책은 소형주택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그 투자 가치를 알기 쉽게 총 8부를 통해 전달하고 있다. 1부에서는 일본, 홍콩, 싱가포르 등 기자들이 직접 방문했던 해외 현장의 실태를 전한다. 해외의 사례를 분석해 미래 대한민국의 트렌드를 예측해보려는 것이다. 2~3부에서는 1~2인 가구의 증가 등 인구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주거 문화 변화를 짚었다. 4~5부는 도시형생활주택이나 준주택 등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소형주택 현황과 보완해야 할 점을 점검했다. 6~7부는 소형주택의 부상과 함께 투자 대상으로서 떠오르고 있는 수익형부동산 등에 대한 투자 전략을 제시한다. 8부는 실전 사례를 분석했다.
Contents
책을 쓰며
이 책을 읽는 독자를 위해
PART 1 해외 소형주택 시장 현장을 가보다
1. 소형주택의 천국 일본을 가다
2. 좁은 땅을 넓게 활용하는 똑똑한 홍콩
3. 싱가포르 사람들은 공공소형주택에 살고 있다
4. 미국의 소형주택 양극화 기로에 서다
5. 정부가 나서서 주택 건설 지원을 확대하는 영국
PART 2 인구구조가 집을 바꾸다
1.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는 1인 가구
2. 우리나라 1인 가구 그들은 누구인가
3. 새로운 주거 문화 트렌드 3가지
PART 3 콤팩트 시티(Compact City) 부상
1. 수명을 다한 신도시 정책
2. 대형 아파트 지고, 소형 아파트 뜨고
3. 오피스텔 디자인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다
4. 거래 방식도 바뀐다
PART 4 대한민국 소형주택 대해부
1. 새로운 유형의 도시형생활주택
2. 1인 가구 주거공간으로 활용되는 준주택
3. 서울시 2020년까지 소형주택 30만 가구 공급
PART 5 우리나라 소형주택 시장 전망과 과제
1. 원룸형에 치우진 소형주택 시장
2. 저소득층 위한 다양한 주거공간 마련 시급
3. 도시형생활주택, 과밀 개발은 피해야 한다
4. 대중교통 활성화도 필요
5. 다양한 소형주택 위해선 ‘작은 정부’가 적격
6. 2010 대한민국 주거실태조사
7. 지역별로 다른 주택 수요
8. 무분별한 사업 확대는 경계해야
PART 6 수익형부동산 부상
1. 아파트의 변신! 임대 가능한 아파트 등장
2. 오피스텔 ‘매머드급’ 시대
3. 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결합 상품 등장
PART 7 1~2인 가구 주거공간 투자 전략
1. 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전방위 확산
2. 같은 듯 다른 수익형부동산
3. 두 얼굴의 오피스텔, 백조로 거듭나다
4. 분양가 올라 수익률 떨어져
5. 오피스텔 수익률 높은 곳! 따로 있다
6. 환금성 고려해 입지 따져야
PART 8 실전투자 사례 분석
1. 도시형생활주택 1호 임대수익률
2. 내 집 살면서 도시형생활주택 사업한 사례
3. 수익률 높이기 위해 건물을 리모델링한 사례
4. 원룸텔 이름의 고시원 투자수익률
5. 고시원 1개 층 구분등기 분양 사례
6. 1인 기업 전용 오피스 투자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