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국제 시민성 및 시민 의식 비교조사(ICCS) 개요
1. 연구 개요
2. NYPI의 청소년역량지표연구와의 관계
3. 연구문제
4. 조사틀의 구성
5. 조사방법과 데이터 수집
Ⅱ. 각국의 민주시민 교육환경
1. 민주시민교육의 국가적 환경
2. 교육의 자율성 수준
3. 민주시민 교육의 목표와 내용
4. 민주시민교육 관련 교사교육 현황
Ⅲ. 청소년들의 시민지식
1. 시민지식의 정의와 측정 도구
2. 시민지식 측정결과
Ⅳ. 청소년들의 시민참여
1. 개인적 수준에서의 시민참여
2. 청소년들의 정치적 자기효능감
3. 청소년들의 교내 시민참여
4. 청소년들의 학교밖 시민참여
5. 청소년들의 미래 시민참여
Ⅴ. 주요 사회이슈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1. 민주주의에 좋은 관행과 나쁜 관행에 대한 청소년들의 생각
2. 전통적 시민의식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
3. 진보적 시민의식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
4. 좋은 시민이 되기 위한 조건
5. 평등한 권리에 대한 태도
6. 세계 미래를 위협하는 요인에 대한 태도
7. 사회와 타인에 대한 신뢰
Ⅵ. 학교 공동체와 학교 환경
1. 학생들의 교내 투표 참여
2. 학교 구성원들의 학교운영 참여
3. 교실의 분위기
4. 학교내 폭력(집단 괴롭힘)
5. 학교에서 제공하는 시민참여의 실천기획
6. 환경보호와 관련된 교내 활동
7. 교실내 시민교육 실태 및 교사의 준비수준
Ⅶ. 결론
1. 시민역량 교육의 중요성
2. 본 연구의 결과와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utho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세종시에 위치한 청소년 분야 국내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 1989년 설립된 이래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학교 밖 청소년ㆍ이주배경 청소년ㆍ가출 청소년 등 취약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정책, 청소년 인권정책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 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지역 생태, 그리고 미래 사회 변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세종시에 위치한 청소년 분야 국내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 1989년 설립된 이래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학교 밖 청소년ㆍ이주배경 청소년ㆍ가출 청소년 등 취약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정책, 청소년 인권정책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 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지역 생태, 그리고 미래 사회 변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