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역량지수의 개념 및 구성체계
2.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의 현황 및 실태
3. 청소년 역량지수 관련 행동지표 변인 분석
Ⅲ. 연구방법
1. 2018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ICCS 2016 분석 개요
2. 2018 청소년 역량지수 본조사 개요
3. ICCS (국제청소년시민역량비교연구) 개요
Ⅳ. 2018 청소년 역량 지수의 현황 및 실태분석
1. 2018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 정규성 분석
2. 2018 청소년 역량지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3. 2018 청소년 역량지수의 현황 및 실태 종합분석
Ⅴ. 2018 청소년 역량 지수의 행동지표 특성 분석
1.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지수의 행동지표 특성 분석
2. 청소년 생활관리역량지수의 행동지표 특성 분석
3. 청소년 진료개발역량지수의 행동지표 특성 분석
4. 청소년 대인관계역량지수의 행동지표 특성 분석
5. 청소년 사회참여역량지수의 행동지표 특성 분석
Ⅶ. 논의 및 정책 제언
1. 논의 : 2018 청소년 역량지수 연구결과 논의 및 행동지표 특성 분석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
2. 정책적 제언 : 청소년 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및 지원체계 구축
참고문헌
ABSTRACT
Autho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세종시에 위치한 청소년 분야 국내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 1989년 설립된 이래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학교 밖 청소년ㆍ이주배경 청소년ㆍ가출 청소년 등 취약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정책, 청소년 인권정책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 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지역 생태, 그리고 미래 사회 변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세종시에 위치한 청소년 분야 국내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 1989년 설립된 이래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학교 밖 청소년ㆍ이주배경 청소년ㆍ가출 청소년 등 취약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정책, 청소년 인권정책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 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지역 생태, 그리고 미래 사회 변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