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5 (상)

1636년 조선 통신사 기록
$24.84
SKU
978896187800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30
Pages/Weight/Size 190*270*30mm
ISBN 9788961878005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 책은 1636년 조선통신사 기록인 『관영병자신사기록(寬永丙子信使記錄)』을 수록했다. 『관영병자신사기록』은 에도 막부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치세기인 1636년에 ‘태평 축하’라는 명목으로 일본에 간 통신사에 관해 기록한 일본 고문서로, 도쿄국립박물관에 소장된 ‘쓰시마 종가기록(宗家記錄)’이다. 이 책은 『관영병자신사기록』의 역주서 상권으로, 원문 14권 중 1~4권을 수록했다.

일본에서 통신사 초빙을 준비하는 과정, 즉 야나가와 잇켄의 경과, 쓰시마에서 진행된 막부의 조사 내용, 막부가 쓰시마 번주에게 통신사 초빙을 지시한 경위, 쇼군 이에미쓰가 요청하여 에도에 온 조선 ‘마상재’의 공연, 사절단 접대 분담에 관한 막부와 쓰시마의 논의 등이 기록되어 있다. 역주서 하권에서 사료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5~14권을 수록하여 본격적인 통신사의 여정을 소개할 예정이다. 1636년 통신사 기록은 예조 전객사(典客司)에서 편찬한 『통신사등록(通信使謄錄)』에도 수록되어 있지 않아, 『관영병자신사기록』은 조선의 문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일본에서의 사행 실태를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사료이다.
Contents
서문
일러두기
1636년 조선통신사 기록『관영병자신사기록(寬永丙子信使記錄)』 해제
1636년 조선통신사 기록 탈초문·역주문
『관영병자신사기록』 1
『관영병자신사기록』 2
『관영병자신사기록』 3
『관영병자신사기록』 4
1636년 조선통신사 기록 사료 원문
『관영병자신사기록』 1
『관영병자신사기록』 2
『관영병자신사기록』 3
『관영병자신사기록』 4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윤유숙
1967년생. 1990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졸업, 2002년 일본 와세다(早稻田)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일본사 전공) 문학박사학위 취득. 일본사학회.한일관계사학회 회원,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으로 재직. 일본근세사, 근세한일관계사 전공. 2014년 우호(于湖) 동양사학 논문상 수상.

<近世日朝通交と倭館>(岩田書院, 2011)과 「근세초 西日本 지역 ‘조선인집단거주지’」(2009), 「年中行事와 儀式으로 본 근세 왜관」(2011), 「17세기 朝日間 日本製 武器類의 교역과 밀매」(2008), 「근세 돗토리번(鳥取藩) 町人의 울릉도 도해」(2012), 「1693년 조선인의 돗토리번(鳥取藩) 연행사건과 쓰시마 번(對馬藩)」(2013) 등의 논문이 있다.
1967년생. 1990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졸업, 2002년 일본 와세다(早稻田) 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일본사 전공) 문학박사학위 취득. 일본사학회.한일관계사학회 회원,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으로 재직. 일본근세사, 근세한일관계사 전공. 2014년 우호(于湖) 동양사학 논문상 수상.

<近世日朝通交と倭館>(岩田書院, 2011)과 「근세초 西日本 지역 ‘조선인집단거주지’」(2009), 「年中行事와 儀式으로 본 근세 왜관」(2011), 「17세기 朝日間 日本製 武器類의 교역과 밀매」(2008), 「근세 돗토리번(鳥取藩) 町人의 울릉도 도해」(2012), 「1693년 조선인의 돗토리번(鳥取藩) 연행사건과 쓰시마 번(對馬藩)」(2013) 등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