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2012년)로 탄신 300주년이 되는 순암 안정복은 성호 이익의 경세치용학을 이어받아 근기실학의 지평을 넓힌 철학자다. 우리에겐 『동사강목』의 저자로 잘 알려진 순암은 18세기 실학의 대가이며 민족사학의 연원을 이룬 선진적 학자로서 우리나라 학술 문화사에 큰 빛을 남긴 인물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창립된 ‘순암선생 탄신 300주년 기념사업회’는 지금까지 출판되었던 2권의 단독 저서와 학계에 발표되었던 논문들 중 63편을 엄선하여 이번에 정돈된 ‘순암연구총서’의 모습으로 새롭게 상재한다. 총서는 『순암 안정복의 동사강목 연구』(강세구 지음), 『순암 안정복의 사상과 학문세계』(강세구 지음), 『순암 안정복의 역사학』(이우성·이기백 외 지음), 『순암 안정복의 경학과 사회사상』(김태영·이동환 외 지음), 『순암 안정복의 서학인식과 교육사상』(금장태·정순우 외 지음), 이렇게 1차분 총5권으로 구성된다.
『동사강목』에 대한 해제 | 김사억
안정복의 역사관과 그의 조국 역사 편사에 대하여 | 김사억
이조후기 근기학파 있어서의 정통론의 전개―역사파악에 있어서 체계성과 현실성 | 이우성
『동사강목』 | 이우성
안정복의 역사의식 | 변원림
『순암전집』 | 김사억
『동사강목』― 정리된 유교사관 | 김철준
『동사강목』 해제 | 윤남한
『동사강목』 관규 | 천관우
조선 후기 신라인식―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 조광
안정복의 『열조통기』에 대한 일고찰 | 김세윤
순암 안정복의 사학사상―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 정구복
안정복 | 이병도
안정복의 사상과 『동사강목』 | 한영우
한국의 역사가 안정복 | 황원구
『동사강목』 연구 | 강광원
안정복의 역사관과 『동사강목』| 차장섭
『동사강목』고려편 검토― 안정복의 수택본을 중심으로 | 박종기
안정복― 삼한정통론으로 역사의 자주성을 밝힌 실학자 | 이이화
안정복 | 배우성
순암 안정복의 합리주의적 사실고증| 이기백
근기학파에 있어서의 순암의 위치 | 이우성
순암 안정복의 기자 인식 | 김문식
순암 안정복의 하학관과 동사 이해 | 원재린
영정조대 안정복의 학문과 『동사강목』 편찬 | 최성환
이조 후기 근기학파에 있어서 사학의 형성과 『동사강목』―반계 유형원, 성호 이익, 순암 안정복 | 이우성
안정복과 『동사강목』― 고려 무신정권에 관한 그의 견해에 대한 비평 | 에드워드 슐츠
원문 수록 서지
찾아보기
순암 안정복의 경학과 사회사상
간행사
제1부 경학성리학 분야
순암 안정복의 성리론 연구 | 최봉영
순암 안정복의 유교관과 경학사상 | 이봉규
순암 안정복의 사단칠정설―성호학파 내부 논쟁을 중심으로 | 안영상
도학과 실학 그 이분법의 극복―순암 안정복은 실학자인가 | 이동환
순암 안정복의 학문적 연원과 그 특징 | 김인규
순암 안정복의 학문적 지향과 『맹자의의m?su』 | 함영대
순암 안정복의 주역 인식과 상수의리론 | 엄연석
제2부 사회사상 분야
순암 안정복의 향촌자위론 연구 | 반윤홍
안정복의 『대록지』| 김수태
순암 안정복의 사회사상― 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한상권
안정복의 지방자치사상 | 김유혁
순암 안정복의 사창에 대한 연구 | 오환일
순암 안정복 향정론 | 김태영
순암 안정복의 토지론 | 최윤오
순암 안정복의 여성관 | 강명관
순암 안정복의 여성인식―18세기 여성 인식사의 한 보수적 얼굴 | 김보경
순암 안정복의 형법관과 향정론 | 원재린
18세기 지방자치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고찰―순암의 경기도 광주부 『이리동약』을 중심으로| 이명희
순암 안정복의 향정방략『임관정요』「시조」분석을 중심으로 | 원재린
18세기 향촌사회와 유교공동체―순암 안정복을 중심으로 | 김보경
원문 수록 서지
찾아보기
순암 안정복의 서학인식과 교육사상
간행사
제1부 서학 분야
안정복의 서학비판에 관한 연구 | 최동희
정조시대의 천주학 비판 | 김홍우
안정복의 천학논고 | 이원순
안정복의 서교비판 | 강재언
안정복의 서학비판이론 | 금장태
18세기 조선 유학자들의 『천주실의』비판―성호 이익, 하빈 신후담, 순암 안정복을 중심으로 | 한자경
순암 안정복의 서학인식과 『천학문답』 | 함영대
제2부 교육문학 기타 분야
『하학지남』사본―순암 안정복 저 | 윤남한
순암 안정복의 일본인식 | 하우봉
안정복의 『하학지남』 | 이채구
순암 안정복의 초등교육사상―「하학지남」을 중심으로 | 정낙찬
순암 안정복의 공부론과 그 의미 | 정순우
순암 안정복 문학의 일고찰―시와 전 중심으로 | 최준하
18세기 광주와 문학―순암 안정복의 「영장산객전」을 중심으로 | 윤재민
순암의 편지에 나타난 글쓰기 방식 연구 | 허순우
순암 안정복의 상례제구상례 복식관 | 이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