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5.18, 두레양서조합 사건

$21.60
SKU
979119426334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Fri 04/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9 - Fri 04/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20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9426334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전두환 정권 시절인 1980년 9월, 계엄 당국이 대구에서 유인물을 제작하고 배포해 제2의 광주 민주화운동을 일으키려 했다는 명목으로 시민, 농민, 학생 100여 명을 영장 없이 강제로 연행하여 조사한 사건이 있었다. 당국은 두레서점을 대구 · 경북 지역의 학생운동과 사회운동의 본거지로 규정하고, 북한의 남파 간첩과 연계된 반국가단체로 몰았다. 그리고 두레서점 구성원으로 활동하던 가톨릭농민회 실무자와 회원들, 두레양서협동조합과 연결된 대구의 여러 대학 농촌(문제)연구회 선후배들과 지역 사회운동가들에게 국가 전복을 꾀했다는 혐의를 뒤집어씌웠다.

이 책은 이러한 ‘두레사건’의 전사(前史)부터 사건의 전개, 그리고 이후 당사자들의 삶과 명예회복 과정까지 두레사건의 전모를 밝힌다. 제1장은 두레양서조합이 만들어지기 전 영남지구 대학4-H연구회연합회 등 대학 농촌서클 운동의 역사를, 제2장은 두레양서조합 운동의 역사를 다룬다. 제3장은 1980년에 일어난 두레의 5 · 18 투쟁의 전말을, 제4장은 이에 대한 국가 폭력을 소상히 밝힌다. 제5장은 두레사건이 일어난 후 당사자들의 생애사와 피해 실태를, 제6장은 사건 진상규명과 사건 당사자들의 명예회복 과정을 다룬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들어가며
사건 당사자와 구술자 소개

제1장 두레양서조합의 전사(前史): 농촌운동에서 농민운동으로

1. 금요강좌와 대학4-H운동의 변화
2. 지역 농민운동과의 결합

제2장 두레양서조합 운동의 전개: 농민운동에서 민주화운동으로

1. 두레양서조합의 활동
2. 두레양서조합과 학생운동, 농민운동과의 관계

제3장 1980년 5월 두레양서조합 사건

1. 1980년 민주화의 봄과 두레양서조합
2. 두레양서조합 구성원들의 5 · 18 투쟁
3. 1980년 여름의 상황

제4장 두레양서조합 사건에 대한 국가 폭력

1. 연행, 압수수색
2. 합동수사본부의 고문 · 취조
3. 천주교의 구명활동과 이후의 사건 경과

제5장 두레사건 후의 국가 폭력과 관련자들의 생애

곽길영 | 권영조 | 김병일 | 김영석 | 김진덕 | 서원배 | 신중섭 | 이동렬 | 이상국 | 이석태 | 정동진 | 정상용 | 정재돈 | 황병윤 | 요약

제6장 두레사건 진상규명과 과거청산 노력

1. 5 · 18민주유공자 선정 과정
2. 재심 재판과 정신적 손해배상 청구 소송

나가며: 두레사건의 의의와 두레공동체의 오늘

부록 1 두레 정관
부록 2 두레 도서목록

참고문헌
Author
김상숙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 전 진실 ·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조사관.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사회학자로서 한국 사회의 사회운동과 과거청산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구술사 방법을 활용해 한국 현대사에서 사라지거나 숨겨진 이야기를 복원하는 한편, 국가폭력 피해자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사회적 치유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데 주력해왔다. 2016년 제10회 임종국상(학술 · 문화부문)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10월 항쟁: 1946년 10월 대구, 봉인된 시간 속으로》, 《한국 현대사와 국가폭력》(공저), 《민주노조, 노학연대 그리고 변혁: 1980년대 노동운동의 역사》(공저), 《대구경북 민주화운동사》(공저) 등이 있다.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 전 진실 ·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조사관.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사회학자로서 한국 사회의 사회운동과 과거청산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구술사 방법을 활용해 한국 현대사에서 사라지거나 숨겨진 이야기를 복원하는 한편, 국가폭력 피해자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사회적 치유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데 주력해왔다. 2016년 제10회 임종국상(학술 · 문화부문)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10월 항쟁: 1946년 10월 대구, 봉인된 시간 속으로》, 《한국 현대사와 국가폭력》(공저), 《민주노조, 노학연대 그리고 변혁: 1980년대 노동운동의 역사》(공저), 《대구경북 민주화운동사》(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