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 나의 5.18]은 5.18기념재단이 2016년부터 준비해 만든 일반인과 대학생을 위한 교양서이다. 5.18 당시 광주 시민들은 목숨을 바쳐 부당한 권력과 싸우며 한국 사회에 커다란 질문을 던졌다. [너와 나의 5.18] 필자들은 그 질문들이 무엇이며,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5.18이 지금 우리에게 던지는 진실은 무엇인지를 말하고 있다. 5.18이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그 정신이 인권과 평화의 인류 보편적 가치로 승화, 발전되고 있지만 정작 피해 당사자들이 겪고 있는 고통은 왜 조금도 달라지지 않는지도 파헤친다.
이 책은 4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5.18, 배경과 진행]에서는 5.18 이전의 역사와 배경, 5.18의 전개 과정, 5.18 이후 6월항쟁까지의 과정을 서술했다. 2부 [5.18 이후의 5.18]에서는 5.18이 남긴 상처와 그 치유의 문제, 5.18 진실의 왜곡과 조작, 5.18의 고통에 대한 공감을 어떻게 이룰 것인지를 서술했다. 3부 [해석과 실천]에서는 5.18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그리고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에서의 변혁운동을 5.18과 비교했다. 더불어 5.18의 주체인 평범한 사람들의 저항 윤리, 5.18 공동체의 특징과 의미도 살펴보았다. 4부 [기억, 증언, 예술]에서는 5.18이 문화예술을 통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를 서술했다.
Contents
서문
5·18, 우리 역사의 위대한 질문 _은우근
1부. 5·18, 배경과 진행
1장 5·18, 왜 일어났을까? _김정인
1. 긴 독재, 불굴의 민주화투쟁 | 2. 반공의 이름으로 국가폭력에 희생되다 | 3. 서울에서 광주로, 민주화의 꿈이 살아나다
2장 5·18민주화운동, 열흘간의 드라마 _정문영
1. 5월 18일부터 5월 21일까지 | 2. 5월 22일부터 5월 25일까지 | 3. 5월 26일부터 5월 27일까지
3장 진실을 향한 투쟁 _정문영
1. 1980년 5월 광주항쟁에서 1987년 6월 국민항쟁에 이르는 길 | 2. 1987년 6월항쟁과 광주청문회 | 3. 특별법 제정과 책임자 처벌 | 4. 에필로그: 국제적인 운동으로서 5월운동
2부. 5·18 이후의 5·18
4장 상처 입은 자, 그들의 부서진 삶 _김정인
1. 살았으되, 죽은 삶들 | 2. 여성, 무너지고 부서진 삶 | 3. 치유 가능한 삶을 위하여
5장 5·18, 진실과 거짓말: 그들은 왜 5·18을 왜곡·조작하는가? _은우근
1. 5·18 왜곡의 영향 | 2. 5·18 왜곡의 양상 | 3. 5·18 진압 이후 왜곡의 추이와 배경 | 4. 왜곡에 어떻게 대처할까?
6장 ‘모두의 5·18’로 가는 길 _김정인
1. 공감 없는 비극, 5·18 | 2. 세계인이 공감하는 역사, 홀로코스트 | 3. 5·18, 공감을 위한 문화적 여정 | 4. 5·18, 아직도 머나먼 공감의 길
3부. 해석과 실천
7장 5·18 학살의 애도와 민주주의 _김정한
1. 오월의 바람 | 2. 추모투쟁과 사회적 애도 | 3. 제5공화국의 공포정치와 5·18의 민중운동 | 4. 5·18의 학살자와 살아남은 사람들
8장 평범한 사람들은 어떻게 봉기하는가? _김정한
1. 4·19와 5·18 | 2. 5·18의 세계적 보편성 | 3. 국경을 횡단하는 봉기의 계승 | 4. 5·18의 세계 유산
9장 저항하는 사람들의 윤리 _김정한
1. 광주 시민이 국군에게 보낸 편지 | 2. 왜 총을 들었는가? | 3. 5·18의 반폭력 정치 | 4. 저항의 윤리
10장 5·18 공동체: 부끄러운 자들을 위한 연대 _은우근
1. 부끄러움의 의미 | 2. 5·18 공동체와 집단 정서의 형성 | 3. 부끄러움의 힘 | 4. 질문은 계속되어야 한다
4부 기억, 증언, 예술
11장 공감과 연대: “내 속의 이 큰 슬픔을 누구에게 말할까?” _한순미
1. 분노와 저항의 물결 | 2. 불꽃처럼 살다간 사람들: 사라지지 않는 기억 | 3. 말을 잃어버린 도시: 소문과 유언비어 | 4. 산 자여 따르라 | 5. 평범한 위대함의 순간들
12장. 물음과 선택: “우리는 왜 총을 들 수밖에 없었는가?” _한순미
1. 어쩌다 총을 들게 되었을까? | 2. 명령의 꼭두각시: 무엇이 우리를 이렇게 만든 것일까? | 3. 가해자이면서 피해자: 똑같이 아픈 사람들 | 4. 부끄러움과 죄의식 | 5. 발언과 실천: 너는 결코 죽지 않았다
13장. 인간의 존엄성과 공동체: “인간이 무엇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_한순미
1. 누구에게 말할 것인가? | 2. 유령들의 증언 | 3. 인간이란 무엇인가? | 4. 거대하고 숭고한 심장 | 5. 또 다른 질문의 시작: May, 18th
Author
김정인,김정한,은우근,정문영,한순미,5·18기념재단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 근현대 민주주의 역사와 현대 대학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등이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어려워하면서도 궁금해하는 역사를 어떻게 하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이 책을 썼습니다.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 근현대 민주주의 역사와 현대 대학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등이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어려워하면서도 궁금해하는 역사를 어떻게 하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이 책을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