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다시 쓰기

인권의 관점에서 본 5·18 집단트라우마와 사회적 치유
$20.52
SKU
979116873042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12
Pages/Weight/Size 140*210*18mm
ISBN 9791168730427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인권의 관점에서 5.18을 다시 보고 다시 쓰다”

직접적 피해자, 유가족 1세대?2세대, 일선대응인, 목격자, 사후노출자
5.18 피해자의 유형학을 새롭게 그리다

5.18을 다시 쓰다


5·18은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잔혹했던 국가폭력이자 중대한 인권침해 사건이었다. 또 한국사회를 뒤흔든 거대한 사건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그동안 5·18이 야기한 피해자는 누구로 설정되어 있었는가? 기존의 5·18 관련 법제와 조사 관행은 5·18 피해자의 범위를 직접적 피해 당사자나 그 (유)가족에 한정하고 있었다. 당연히 5·18과 관련한 증언도 그들 중심으로 서술될 수밖에 없었다.

이 책은 5·18을 새로운 관점에서 다시 쓴다. 5·18은 국가가 자행한 ‘중대한 인권침해’ 사건이자, 동시에 중대한 인권침해에 저항한 시민들의 직접행동임을 명시하고 인권의 관점에서 5·18의 집단트라우마를 분석한다. 기존 5·18 연구는 사건사적 진실이나 저항의 측면에서 논의를 진행했지만, 이 책은 5·18과 함께 살아가야 했던 수많은 사람들의 고통의 현재성과 생애사적 진실을 담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들은 5·18 피해의 실상에 맞는 피해자 유형학을 새롭게 구축했다. 그동안 중심이 되었던 직접적 피해자와 그 유가족(유가족 2세대 포함)뿐만 아니라 일선대응인(의사, 간호사, 수습위원, 시신 수습인 등), 목격자(항쟁에 참여한 목격자, 우연히 참상을 목격한 목격자, 당시 광주 지역 거주자), 사후노출자(5·18 당시 광주?전남 지역 바깥에 있었거나 그곳에 거주하고 있었더라도 항쟁을 직접 목격하지 못한 사람들)를 피해자 범주로 포함해 연구한 것이다. “무엇보다 5·18 피해의 실상 자체가 직접적·물리적 폭력의 당사자·가족만이 아니라 무차별 살상·죽음을 목격하고 가두방송과 유언비어 등을 청취함으로써 집합적 공포와 무력감·죄책감, 집단적 오명의 상징적·문화적 폭력을 겪었던 목격자와 지역사회 거주자의 범위에 중층적이고 동심원적으로 걸쳐 있다는 점을 직시한다면, 직접적 피해자 중심의 협의의 피해자 담론에서 벗어나 좀 더 광의의 집단적 시민 피해자 범주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5·18 집단트라우마와 피해자의 재유형화 작업은 이러한 인권법적·의학적 근거를 참조하여 시작된다.”(29쪽)
Contents
서문
다시 쓰는 5·18

프롤로그
인권의 관점에서 본 5·18

1부 | 5·18 피해자학의 재구성

1. 5·18 ‘피해자’의 재구성: 인권법적 고찰
2. 5·18 집단트라우마와 피해자 재유형화
3. 연구방법론 및 인권기반 트라우마 진단기준

2부 | 피해자 유형별 집단트라우마

허울 좋은 보상과 훼손된 과거청산:
5·18 직접적 피해자의 인권침해 경험과 트라우마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5·18의 굴레:
5·18 유가족 1세대 및 2세대의 집단트라우마

혼돈의 틈에서:
5·18 일선대응인의 활동과 트라우마

오월과 함께 살아가기:
5·18 목격자의 인권침해 경험과 집단트라우마

진실을 전달하고 부정의에 맞서 싸우다:
5·18 사후노출자의 트라우마

맺으며
국가범죄의 피해자학을 향하여

에필로그
모모를 꿈꾸다 | ‘삶’을 들여다보는 것 |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과 차별을 넘어

부록
연구참여자 유형 및 특성 | 5·18 집단트라우마 구술 녹취록 작성 지침
Author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김명희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 사회학과 교수. 사회학(사회이론/사회과학방법론)을 전공했다. 뒤르케임의 연대이론 및 사회병인학의 이론적/방법론적 통찰을 현대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사회적 고통의 진단과 처방에 생산적으로 접목하는 작업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2015), 「한국 사회 자살 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2012)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 한국전쟁에서 쌍용차까지』(공저, 2014)가 있다.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 사회학과 교수. 사회학(사회이론/사회과학방법론)을 전공했다. 뒤르케임의 연대이론 및 사회병인학의 이론적/방법론적 통찰을 현대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사회적 고통의 진단과 처방에 생산적으로 접목하는 작업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2015), 「한국 사회 자살 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2012)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 한국전쟁에서 쌍용차까지』(공저, 2014)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