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사회진출이 늘면서 그동안 모르더라도 불편하지 않았던 지식들이 점점 필수적 교양 사항이 되어 가고 있다. 법 또한 그런 사항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과거 문제해결에 있어 타인에게 의존했던 것에서 벗어나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면서 법에 대한 무지는 생활의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 책은 저자가 ‘여성과 법률’이라는 대학 교양강의에 초점을 두고 저술하였으나 남녀노소 누구나 알아야 할 기초적인 법에 대해 서술함으로써 법률분쟁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준다.
Contents
법의 기초이론
머리말
제1장 법의 본질
제1절 사회질서와 법
제2절 법의 개념
Ⅰ. 법은 ‘행위의 준칙’이다
Ⅱ. 법은 ‘사회규범’이다
Ⅲ. 법은 국가권력에 의하여 ‘강행되는 규범’이다
제3절 법의 구조
Ⅰ. 명령규범(행위규범)과 제재규범(강제규범)
Ⅱ. 조직규범
제2장 법과 다른 사회규범
제1절 서설
제2절 법과 도덕
Ⅰ. 법과 도덕과의 차이점
1. 법의 외면성과 도덕의 내면성
2. 법의 타율성과 도덕의 자율성
3. 법의 현실성과 도덕의 이상성
4. 법의 양면성과 도덕의 편면성
5. 법의 강제성과 도덕의 비강제성
Ⅱ. 법과 도덕과의 관계
제3절 법과 관습
제4절 법과 종교
제1절 법의 체계
Ⅰ. 법
Ⅱ. 국내법
Ⅲ. 국제법
제2절 법의 분류
Ⅰ. 국내법과 국제법
1. 국내법
2. 국제사법
3. 국제법(국제공법)
Ⅱ. 공법, 사법 및 사회법
1. 공법과 사법
(1) 공법과 사법 구별기준에 관한 학설
(2) 공법?사법의 구별실익
(3) 공법
(4) 사법
2. 사회법(社會法)
Ⅲ. 실체법과 절차법
Ⅳ. 일반법과 특별법
Ⅴ. 고유법과 계수법
Ⅵ. 조직법과 행위법
Ⅶ. 강행법과 임의법
Ⅷ. 원칙법과 예외법
제9장 법의 효력
제1절 의의
제2절 법의 실질적 효력
Ⅰ. 법의 사실적 실효성
Ⅱ. 법의 규범적 타당성
Ⅲ. 법의 실효성
Ⅳ. 법의 타당성과 실효성과의 관계
제3절 법의 형식적 효력
Ⅰ. 법의 시간적 효력
1. 법의 효력
2. 법의 시행
3. 법의 주지기간
4. 법의 폐지
(1) 명시적(明示的) 폐지
(2) 묵시적(?示的) 폐지
5. 경과법(經過法)
6. 한시법(限時法)
7. 법률불소급(法律不遡及)의 원칙
(1) 의의
(2) 예외
Ⅱ. 법의 장소적 효력
1. 원칙
2. 예외
Ⅲ. 법의 대인적 효력
1. 법의 대인적 효력
(1) 속지주의(영토기준)
(2) 속인주의(국적기준)
(3) 속지주의와 속인주의 조화
(4) 속지주의의 예외
Ⅳ. 법의 형식적 효력에서의 경합관계
1. 상위법 우선의 원칙
2. 특별법 우선의 원칙
3. 신법 우선의 원칙
제10장 법의 적용과 해석
제1절 법의 적용
Ⅰ. 의의
Ⅱ. 법의 적용절차
제2절 사실의 확정
Ⅰ. 사실 확정에 관한 원칙-사실의 입증
Ⅱ. 예외
1. 사실의 추정
2. 사실의 의제(간주)
제3절 법의 해석의 의의와 방법
Ⅰ. 법의 해석의 의의
1. 의의
2. 법해석의 필요성
3. 법해석의 기준
4. 법해석의 방법
(1) 유권해석
(2) 학리해석
제11장 권리와 의무
제1절 의의
Ⅰ. 권리와 의무의 개념
Ⅱ. 법률관계
1. 법률관계의 의미
2. 법의 규율
3. 법률관계의 구분
Ⅲ. 법률관계의 주체
1. 자연인
2. 법인
제2절 권리와 의무
Ⅰ. 권리의 본질과 개념
1. 권리의 본질에 관한 학설
Ⅱ. 권리의 분류
1. 공권(公權)
(1) 국내법상의 공권
(2) 국제법상의 공권
2. 사권(私權)
(1) 권리의 내용에 의한 분류
(2) 권리의 작용에 의한 분류
(3) 권리의 효력범위에 의한 분류
(4) 권리의 이전성에 의한 분류
(5) 권리의 독립성 유무에 의한 분류
3. 사회권(社會權)
Ⅲ. 권리의 행사와 한계
1. 권리의 행사
2. 권리의 한계
(1) 신의성실의 원칙
(2)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3. 법의 반사적 이익
Ⅳ. 의무의 개념 및 분류
1. 의무의 개념
2. 의무의 분류
(1) 공의무(公義務)
(2) 사의무(私義務)
(3) 사회법상 의무
제3절 권리와 의무의 주체, 객체 및 변동
Ⅰ. 권리ㆍ의무의 주체
Ⅱ. 권리ㆍ의무의 객체(권리ㆍ의무의 목적)
1. 유체물-유형적인 것(부동산과 동산)
(1) 특정물과 불특정물
(2) 소비물과 비소비물
(3) 주물과 종물
(4) 원물과 과잽
(5) 융통물과 불융통물
2. 무체물-무형적인 것
Ⅲ. 권리ㆍ의무의 변동
1. 권리ㆍ의무의 취득(발생)
(1) 절대적 취득(원시 취득)
(2) 상대적 취득(승계적 취득)
2. 권리ㆍ의무의 변경
3. 권리ㆍ의무의 소멸
사례연구
제1장 할부계약의 철회
제2장 금전거래 시 유의사항
제3장 신용불량자의 구제책
제4장 교통사고의 법률문제
제5장 중간생략등기
제6장 법원을 통한 권리구제
제7장 공동불법행위
제8장 혼인에 관한 법률문제
제9장 유류분
제10장 징계권의 한계
제11장 아들 낳기 시술
제12장 주차 시의 주의의무
제13장 호의동승자에 대한 사고운전자의 책임
제14장 사생활의 자유와 초상권
제15장 신용카드와 관련된 범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