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으로 촉발된 새로운 변화로 인하여 기존 가치관과 사회적 관습이 통용되지 않는 시대가 도래했다. 초지능성, 초연결성, 민첩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환경의 변화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공공 등 사회 전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변화에 도태되지 않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문제는 개인뿐만이 아닌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능정보기술 수용성에 주목하여 일반시민, 공무원의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자료에 대한 문헌 분석, 선행 연구 및 정책 자료 분석을 통해 관련 이슈들을 우선 도출하였다. 또한 2차 연도 중앙공무원 인식조사 모형을 지방공무원 특성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고 앞서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한 이슈들을 문항에 반영한 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088명을 대상으로 지능정보기술 수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지능정보기술에 대해 국민과 정부, 지자체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개인적, 정책적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정부는 어떠한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지를 밝히고 향후 지능정보기술 관련 국가 정책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크게 2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지방공무원의 지능정보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분석을 통해 업무적 활용 수준 제고 방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1, 2차년도 연구에서 수행했던 일반시민, 중앙공무원 인식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개인적, 정책적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각각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종합분석을 하였다.
먼저, 지방공무원 인식 및 태도 분석을 토대로 ‘교육체계’, ‘공무원 간 정보 공유’, ‘조직적 지지’ 측면에서의 지능정보기술 활용 수준 제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종합분석 결과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 ‘경험’, ‘정책별 차이 존재’ 등의 측면에서 사회적, 개인적, 정책적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향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