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공무원, 토익, 토플 영어 교사, 강사를 위한 명쾌한 영문법 총정리 (2022 개정판) 1,2,3,4권은 제가 책을 쓰고 영국과 미국에서 거주하는 영국과 미국인 영어전문가들의 재확인을 거쳐 완성했다. 저자의 지어낸 스토리가 아닌, 영, 미 영어 학자들의 학문적 이론에 바탕을 두고 모든 개념을 명료하게 설명하고 실제 시험이나 실제 대화나 쓰기 활동을 하는 경우에 유용한 다양한 각도의 예문을 제시했고 가능한 한 어떠한 의문도 남지 않도록 구성했다. 실제 학습현장에서 고등학교 1학년 이상의 학습자들을 가르치시기 위한 모든 내용을 명확한 설명과 함께 실었다. 교사님들은 여러 권의 외국의 두꺼운 비싼 문법서들을 힘겹게 구입해서 전부 읽어 보시고 정리하실 막대한 시간과 비용과 노력을 절약하시고 이 시간을 여가 시간이나 자기 계발에 활용하실 수 있다.
Contents
[4권]
제 16장 관사 -21
한정사: 4그룹으로 나뉜다 - 21
셀 수 있는 명사: 관사를 붙일 수 있다 - 22
셀 수 없는 명사: 원칙상으로는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 22
관사 a / an / the: - 23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인 ‘a[an]’과 정관사(definite article)인 ‘the’가 있다. 관사인 셋 다 one(하나)을 의미한다.
셀 수 있는 단수명사는 홀로 쓰지 않고 다음과 같이 그 앞에 관사나 다른 한정사를 붙여 쓴다 - 24
자음 앞에는 a, 모음 앞에는 an을 쓴다. 철자가 아니라 발음이 기준 - 24
모음 앞이 아닌데도 the(/디:/)를 사용하는 경우들 - 24
[명사 + 명사] 형태에서 첫 번째 명사에 관한 관사는 고려하지 않는다 - 26
'a/an'을 붙이는 경우 - 27
the를 사용하는 경우 - 27
[the + 셀 수 있는 명사 / the + 셀 수 없는 명사 / the + 복수명사] - 28
the sun과 the moon과 the earth 등에 정관사를 붙이는 이유 - 29
the를 반드시 붙이는 건물 이름 - 30
[이름, + the + 신원을 확인하는 말] - 30
다음의 경우들에 the를 붙인다 - 31
the space vs space - 32
많은 조직이 그 이름 앞에 the를 붙인다 - 32
대부분의 신문이름은 the를 붙인다. 잡지명에는 항상 the를 붙이는 것은 아니다 - 32
'세기'에 the를 쓴다 - 32
유명한 건물, 박물관, 예술작품, 기념비의 이름에 the를 붙인다 - 32
수십 년의 표현에 the를 붙인다 - 32
the + families name 복수 형 - 33, 50
계절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말할 때 the를 붙여쓰든(AmE에서는 보통 the를 붙인다) 생략하든 거의 차이가 없다 - 33
악기나 악기를 연주하는 것에 대해서 언급할 때 보통 [the +단수명사]를 사용한다. 그러나 pop이나 jazz 그리고 클래식 음악에 대해서 언급할 때 종종 the를 생략하고 사용한다 - 33
television이나 TV는 이같이 보통 관사를 생략하고 사용한다 - 34
the + 형용사: 복수 보통명사 2. 단수 명사 2. 추상명사 - 34
1. the + 형용사(현재분사, 과거분사) = 복수 보통명사
2. the + 형용사 = 단수명사 - 36
3. the + 형용사 = 단수 추상명사인 경우 - 37
by the 측정 단위 - 37
2. 측정단위에 a/an, per의 사용법: - 37
twenty miles an hour: 시속 20마일.
A/an은 하나의 측정 유닛을 다른 측정 유닛과 연관시키는 데 사용한다.
격식적인 글쓰기에서는 종종 per를 사용하기도 한다.
다음은 관사 앞에 쓴다. ‘all’, ‘both’, ‘such’, ‘rather’, ‘quite’, 등 - 38
어떤 수는 그 앞에 a[an]을 붙인다: a million 등 - 39
catch형 동사: S + V + 사람 + by the 신체일부분 - 39
strike형 동사: S + V + 사람 + on the + 신체일부분 - 40
look 형의 동사: S + V + 사람 + in the + 신체일부분 - 40
the + 셀 수 있는 단수 명사 - 41
우리 주변에 익숙한 물리적 세상과 기후는 서로 익숙하게 잘 알고 있는 것으로서 the를 쓴다 - 41
다음은 한 제품이나 두 부분이 함께 붙어있어야 제 기능을 발휘하므로 복수형을 사용한다. 그리고 앞에는 ‘a pair of’, ‘some’ 등을 붙여 사용한다
- 42
일반적(일반화=무제한=개념)인 사람들이나 사람 아닌 것에 대해서 말할 때 보통 [관사 없는 셀 수 없는 명사 또는 관사 없는 복수명사]를 사용한다 - 42
일반적인 것이나 일반적인 사물이 아니라,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에는 the를 붙여 쓴다 - 44
명사를 꾸미는 한정 구나 절이 있어도 여럿 중의 하나를 언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식받는 명사에 a[an]을 붙여 쓴다 - 44
일반적인 것을 나타내는 방법: - 44
1. a/an(=any) + (셀 수 있는)단수 보통 명사
2. [The + 단수명사 + 단수동사] 형태를 쓰거나, [관사 없는 복수형 + 복수 동사]를 사용한다.
‘전체로서 한 그룹’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면, [the + 복수명사 + 복수동사] 형태를 더 많이 사용한다 - 46
반(half) 일반화 표현-해당 명사에 the를 붙이지 않는다 - 47
최상급이나, 서수나, 독특한 형용사들(only, sole, same, exact 등) 앞에 the - 47
최상급 앞에 a[an]을 붙이는 경우도 있다 - 48
the + 최상급 형용사 - 48
the를 붙이지 않는 경우 - 49
화자나 글쓴이에게 어떤 이가 낯선 사람이라는 것을 상대에게 알려주려고 고유명사에 a[an]을 붙인다 - 50
고유명사인 이름을 of로 한정하면 앞에 the를 붙이고 홀로 사용하면(New York) the를 붙이지 않는다 - 50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 - 51
교통이나 통신수단 명사: - 56
by와 함께 쓸 때는 셀 수 있는 단수 명사에도 관사를 붙이지 않으나 다른 전치사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관사나 다른 한정사를 붙여 쓴다.
[the 장소명사]와 [무관사 장소명사]가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57
BrE와 AmE에서 (입원), (수업[교육])의 의미로 'hospital', 'university'의 관사 사용 방법 - 58
I‘m going to go to a mart. vs I‘m going to go to the mart 차이 - 60
go to work(출근하다) / be at work 등 - 60
"see a doctor" vs "see the doctor" - 61
go to the doctor's(surgery[BrE]/office[AmE]) / go to a doctor's (O/X) - 61
in sea/in the sea/on the sea/at the sea/at sea/to sea의 비교 - 62
out to sea - 63
장소에 가다: go to the theater(극장에 가다) 등 - 63
주요 목적=속성: 공연에 가다/공연 보러 가다 등(go to the opera(오페라를 보 러 가다), go to class 수업 받으러 가다 등 - 63
전치사를 붙인 이중 표현에서 관사는 종종 생략한다(day after day 등) - 64
all (the) 복수명사 / both (the) 복수명사 - 65
all day처럼 보통 the를 빼고 쓰는 말 - 65
kind of, sort of, type of, variety of etc + (a[an]) 단수명사/불가산 명사 - 65
the amount of + 명사 / the number of + 명사 - 66
man and woman are[were] - 66
날이나 달의 전후를 의미할 때 the를 생략한다 - 67
사람의 이름을 붙인 왕이나 사람의 이름을 붙인 대통령 등의 title을 언급하는 경우에는 the를 쓰지 않는다. 하지만 - 67
문장의 보어자리에 ‘조직에서 유일한 지위’를 쓸 때는 the - 68
‘-s’로 끝나는 병명을 포함해서 질병과 고통[통증]에 있어서 관사 - 68
일부 흔한 감기나 두통 같은 사소한 질병은 셀 수 있다고 봐서 부정관사 a, an을 붙여 쓰기도 한다 - 68
headache등 -ache로 끝나는 병명의 관사 - 69
일부 몇 가지 흔한 질병에 비격식어에서 the를 쓸 수 있다. 반면에 cancer, stroke, jaundice 등은 the를 - 69
다음은 보통[대부분]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 69
단일 산(많은 산 중에 아무 산이나 하나) vs 자신이 사는 곳에 산이 단 하나만 있을 경우 관사 - 70
유럽 산악 이름 중에 'Le Mont'로 시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영어로 번역할 때 대개 the를 붙인다 - 70
명칭이 그 town의 이름으로 시작 할 때, 그 town의 주요[중요한] 공공건물 및 단체, 기구의 명칭에 통상 the를 붙이지 않는다. 그러나 덜 중요한 기관의 이름과 함께, 사용법은 다양하다 - 70
첫 번째 말이 장소명이나 사람의 이름인 경우에는 보통 the를 붙이지 않는다 - 71
일부 지역 및 국가의 이름에 'the'가 없는 [north/south(북부/남부)]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 71
개별 산(single mountain), 개별 호수 및 개별 섬의 이름에 the를 붙이지 않는다. - 72
그러나 산맥이름에는 the를 붙인다 - 72
the + [강, 해협(strait), ocean, sea, canal, gulf, 해협(channel ? strait보다 큼), 호수들의 그룹명(Lakes)] - 72
섬 그룹(제도, 군도, 열도)과 반도이름에 the를 붙인다 - 73
사막이름에 the - 74
평원, 고원, 협곡 이름에 the - 74
그러나 폭포나 만(bay)의 이름 앞에 the - 74
빈도를 표현하는 경우에 무관사 - 74
식사 명에는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그러나 식사 명을 형용사로 수식할 때는 - 74
문자나 숫자를 범주화할 때 the를 붙이지 않는다(section B 등) - 75
소유격 바로 앞과 뒤에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 75
the north of Korea와 northern Korea - 76
장소, 시간, 움직임과 관련된 일부 흔한 고정 표현[관용 표현]에서 보통은 셀 수 있는 명사인데, 셀 수 없는 명사로 취급하여 다음과 같이 관사를 붙이지 않는 표현이 있다 - 76
두문자 어 - 77
next와 관사에 대하여 - 77
이번 주 토요일과 다음 주 토요일 - 77
last month와 the last month - 78
the last Christmas와 last Christmas의 비교 - 78
the latest / at the latest - 78
latest와 last와 the last의 비교 - 79
〈a 와 one 비교 〉 - 79
another + 양의 복수표현. a/an + 형용사 + 양의 복수표현 - 80
a good many + 복수명사 vs a good few + 복수명사(informal 표현임) - 80
a little / little + 단수명사. a few / few + 복수명사 - 81
a little of / little of + 대명사/한정사 vs a few of / few of + 대명사/한정사 - 81
little(formal) = [informal: not much / only a little / very little(가능)] vs few(formal) = [informal: not many / only a few) / very few(가능)] - 81.
a few와 a little을 홀로 쓰는 예 - 81.
(A) little + 형용사 비교급. (A) little + 부사의 비교급 - 82.
little +형용사(OX)/부사(OX) vs a little은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 할 수 있다 - 82
little-known - 82.
제 17장 명사 (Nouns) -83
-83 보통 명사 ?고유명사. -84 구상명사와 추상명사. -85 구상 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로 분류할 수 있다. -86 ?추상명사의 수량 표시. -87 ?셀 수 없는 명사는 단수동사를 사용한다 ?셀 수 없는 명사에는 a little, little이나 much, less를 사용한다 ?거리, 시간, 양의 측정: less than -88 ?one less + 셀 수 있는 명사 / one + 셀 수 있는 명사 + fewer ?the + 단수 보통 명사 ? 추상 명사. -89 추상명사의 관용어법: ?추상명사 + itself = all + 추상명사. ?He is very kind. = He is more than kind ?of 추상명사 = 형용사. -90 ?with, without, by, to, in + 추상명사 = 부사. -91~ ?셀 수 없는 명사의 보통 명사화와 단위를 붙여서 셀 수 있는 명사로 사용하기. -96 ?고유명사의 보통 명사화. -97~ ?복합명사(compound noun). -99 ?명사의 복수형의 발음 방법. -100 ?단수 명사의 복수형을 만드는 방법. -101 ?단수와 복수가 같은 명사. ?Fish와 fishes의 비교 예문. -102 ?-s로 끝나는 일부 셀 수 없는 단수명사는 복수형이 없다. ?mathematics, politics 같은 일부 명사는 복수동사를 쓰기도 한다 -103~ ?-Ics로 끝나는 단수명사는 다른 명사 앞에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영국 사람들은 하나의 penny coin을 a pence 또는 one pence를 사용하고 있다. ?person과 persons와 people. -107 ?숫자나 several이나 a few 이후에 아래 열거한 수들은 -s를 붙이지도 않고 of를 사용하지도 않는다. -108 ?다음의 경우는 year, foot, mile, pound, hour 등을 단수로 쓴다 ?금액, 기간, 거리 등 수량을 하나의 개념으로 생각할 때 비록 명사가 복수라도 보통 단수 한정사와 단수동사와 단수 대명사를 사용한다. -109 ?Dice(주사위)와 data는 오늘날 단수와 복수(과거에는 datum)에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Media는 medium의 복수이나 추상적 개념으로 취급하여 단수동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외래어의 복수형은 특이하다: ?1.라틴어나 그리스에서 유래한 말의 복수형 ?2.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 -110 ?알파벳 문자나 약어(축약형)의 복수는 이들의 끝에 -s나 ’s를 붙여 쓴다. ?날짜의 복수도 끝에 -s나 ’s를 붙여 쓴다. 전자를 더 많이 사용한다 ?[명사 + 명사] 형태에서 첫 번째 명사(형용사 역할)는 복수의미를 가질지라도 보통 형태상 단수를 쓴다 ?다음은 앞의 명사를 복수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흔하다 ?다음은 한 제품이나 두 부분이 함께 붙어있어야 제 기능을 발휘하므로 복수형을 사용한다. -111 ?그러나 합성어이거나 한 짝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단수를 사용한다 ?-s로 끝나는 일부 명사가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112 ?상호 복수 ?단수형과 복수형이 의미가 다른 것. -113 ?나라, 지역 / 나라, 지역의 형용사 형 / 나라, 지역의 한 사람 / ‘~국적 사람들’ 표현 구분. -115 ?형태상 보통 복수이면서 셀 수 없는 흔한 명사. -116 ?character와 characters의 비교. -117 ?clothes와 clothing의 차이. -118 ?집합명사(collective nouns): ?사람에 사용하는 흔한 집합명사 ?동물에 사용하는 흔한 집합명사 ?사물에 사용하는 흔한 집합명사. -119 ?집합명사 2: ?집합명사의 동사를 단수동사를 사용하는 경우와 복수동사를 사용하는 경우. -120~ ?집합명사 3: ?1) family형 집합명사 ?cattle형 집합명사 ?clergy형 집합명사 ?4) 집합적 물질명사류. -126 ?수량 표현어 + 복수명사/대명사: ?a lot of[=lots of] ?The number of ?plenty of ? Half of. -128 ?a set of / a group of / a bunch of ?A couple of -129 ?A majority of / A minority of. -130 ?much 와 many는 of를 사용하기도 한다 ?more는 many와 much와는 달리 단수명사나 복수명사에 사용할 수 있다. ?More than one + 단수명사 + 단수 동사 -131 ?one of + 복수명사 + 단수 동사 ?사칙연산에서 복수주어 뒤에 단수동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개의 명사가 대단히 자주 함께 상용되어서 그들을 사람들이 하나의 idea로서 여길 때. -132 ?여러 사람들이 똑같은 것을 행하는 것을 언급할 때, 단수형 명사 보다 복수형 명사를 사용하는 것을 보다 자연스럽게 여긴다 ?반복되는 단일한 사건 ?반복되는 사건의 시간을 언급할 때는 단수형도 복수 형도 사용할 수 있다. -133~ ?Who/What + 단수동사/복수동사 ?Where's / Here's / There's + 복수명사 ?none of + 복수 명사/복수 대명사 ... 단수동사 / 복수동사(비격식어에서 가능) ?no + 셀 수 있는 단수명사 / 셀 수 있는 복수명사. -134 ?하나를 생각하느냐, 두 개 이상을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단수명사나 복수명사를 사용한다 ?부정적인 생각을 강조할 때는 ‘not a’ 나 ‘not any’ 보다는 ‘no’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단수명사와 복수명사를 혼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경우가 있다 ? not a 나 not any를 사용하지 않고 no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관용적 연어 대부분은 셀 수 없는 명사와 결합해서 사용된다. -135 ?a/an + 형용사 + 수량의 복수 표현 ? another + 수량의 복수 표현 ?a good[a great] many + 복수명사 -136 ?kind of / sort of / type of ?a bit. -137 ?pounds, years 나 miles 같은 측정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서 a lot of, lots of, plenty of, a great deal of, a large amount of, a large number of, the majority of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른 말을 사용해야 한다 ?이들 표현들은 의미를 분명히 알 수 있다면 of와 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138~ ?셀 수 없는 명사가 복수형인 관용표현 ?두 개 이상의 명사를 연이어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런 형태의 사용은 지면의 공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신문의 헤드라인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다 ?‘명사 + 명사’인 경우에 말을 할 때는 강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글에서는 문맥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의미상 차이에 주의할 표현 ? wooden과 woolen은 ‘목재로 만든 / 울(털, 양모)로 만든'을 의미한다. -139~ ?측정 수치 표현하기: ?명사 앞에 측정 단위 명사를 형용사처럼 여겨서 복수형을 사용하지 않는다 ?분수와 소수 쓰기: ?기본적으로 분자가 2 이상이면 분모에 -s를 붙인다(over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예외 있음) ?다음과 같이 out of를 사용하기도 한다 ?분수, 소수 등(fractions)의 1과 2사이는 보통 복수명사와 함께 사용된다 ?분수가 1 미만인 경우에 명사 앞에 of를 쓴다 ?Half는 of를 사용하는 경우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1이하 소수점에는 of를 사용하거나 단위의 복수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 ?1 이상의 분수나 소수점에는 복수명사를 사용한다 ?a ... and a half 패턴 ?분수, 소수나, 수량을 언급하는 표현 뒤에서 보통 단수동사를 사용한다. 그러나 사람이나 사물의 수에 대해서 언급할 때는 주어가 단수 분수이더라도 복수동사를 사용한다. -142~ ?[명사’s + 명사] 와 [명사 + 명사] 사용하기. -144 ? [형용사s]가 명사를 대신하기도 한다 ?흔히 비격식체에서 동사를 명사화 해서 행위를 언급한다. -144~ 소유격 ?사람이나 동물, 생물, 천체는 대개 -’s를 붙인다 ?단수명사 + -‘s / 복수명사 + -s’/ -es' ?Jesus, Moses 등 고대 고전적 이름들에 -’만 붙여쓴다 ?문학적이고 고전적 인용문에서 -s로 끝나는 단수명사에 단지 apostrophe (')만을 붙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s를 더 흔하게 사용하기도 한다 ?전체 구 끝에 ’s 또는 ’를 붙일 수 있다 ?The Martin's / The Martins’ / The Martins / The two Martins의 차이 ?공동소유와 각자소유의 소유격 ?독립 소유격 ?-ing로 끝나는 명사 : 앞에 명사나 대명사의 소유격을 사용한다 ?사람의 그룹인 조직에 보통 ’s나 of를 사용할 수 있다 ?장소에 ’s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형의 것의 소유에 소유격 가능 ?기업, 단체 및 교육 기관은 소유를 보여주기 위해 이름을 가진 어포스트로피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각 사용법을 따르면 된다 ?단수명사의 소유격을 쓰는 휴일 명 ?복수명사의 소유격을 쓰는 휴일 명 ?복합어는 뒤에 ’s를 붙인다 ?소유격 대명사에 ’s를 붙이지 않는다 ?시간, 거리, 중량, 가격 등을 나타내는 명사의 소유격에 ’s를 사용한다 ? [the + 형용사(=복수 보통명사)]의 소유격은 of를 사용한다 ?명사 구에서 두 번째 명사는 첫 번째 명사와 일치한다. 이 경우에 of를 쓰는 것이 더 나은 소유격 표현 문장이다 ?매우 긴 구에는 -’s를 붙이는 것을 피하고 of-structure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들의 행위에 대한 말과 함께 ’s나 of를 이용할 수 있다 ?무생물의 소유격은 예외를 제외하고 흔히 of를 사용한다 ?무생물의 소유격을 다음과 같이 쓰기도 한다(The desk drawer is stuck) ?-’ 나, ’s를 붙여 쓰는 관용어 ?of를 쓰는 관용어 ?-'s가 주어인 경우와 목적어인 경우가 있다. -152~ ?복수 소유격 대명사 + 복수 명사: 각각, 각자를 의미하는 경우에 단수명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의인화할 때 어떤 사람들은 자동차나 오토바이를 she라고 부르기도 하고 항해사들은 배를 she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국가를 she라고 부르기도 한다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 ?A police is... (X) 대신에 ?firefighter, chairman 등의 성 차별적인 낱말 대신에 사용하는 표현. -153 ?Ms ?zero(AmE), nought(BrE), nil ?로마 숫자. -154 기수와 서수 ?100이상 숫자 읽기 ?1000이상 숫자 읽기. -156 ?서수 + 명사 / 명사 + 기수. ?서수의 어깨 글자 사용 방법(superscript) ?세기 표현 -157 ?층 표현하기 ?두 개의 다른 단위를 포함하는 측정 단위 수치에서 'and'를 작은 단위 앞에 쓸 수도 있으나 보통은 생략한다. ?21에서 99까지 합성 숫자에 하이픈 ?한정사 + 숫자 + 명사 / 숫자 + of + 한정사 + 명사. ?비격식체 구어에서 단수인 penny 대신에 pence를 사용한다. 페니, 펜스를 가려 말하기 귀찮아 하는 비격식어로는 모두 p [pi:]라고 부른다 -158 ?복수의 pounds를 명사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penny 대신에 pence를 사용하기도 한다. ?미국 화폐의 가치와 표기 방법 ?측정 단위의 표준으로서 미터법을 따르지 않는 계측치 -159 ?몸무게 표현인 'stone'과 'pound', kilogram 과 feet, yard로 표기하는 것. ?숫자는 be동사 다음에 사용해서 보어로서 사용하지 않는다.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한다 ?사칙연산 읽기 (BrE) -160 ?대문자를 사용하는 경우. -161 ?하이픈(hyphens). -162 ?시간 읽기. -163 ?몇 시인지를 묻는 흔한 표현들. -164 time의 다양한 사용방법. -165 ?연도 읽기 ?전 세기를 말할 때는 끝에 -s를 붙인다 -166 ?날짜(date) 쓰기와 읽기 ?나이에 대해서 언급하거나 물을 때. -167 시골(셀 수 없는 명사임)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country, a country, countries 중 어느 것 ?a[an] 명사 of a[an] 명사 ... ?a while (잠시, 잠깐) = a short time
제 18장 대명사 -168
-168~ ?재귀대명사: 재귀대명사는 강조적 용법과 재귀적 용법의 재귀대명사로 나뉜다. -169 ?self가 독립적으로 사용되면, 명사이지 재귀대명사가 아니다. -171 ?재귀대명사는 또한 소유격 대명사를 재 언급할 수 있다 -172 ?간접 목적어가 주어와 똑같을 때 간접 목적어 자리에 재귀대명사를 사용한 경우. ?전치사 + 재귀대명사 ?요즘 영어에서는 overeat, oversleep, overwork 같은 재귀동사는 재귀대명사를 취하지 않고 ~로 표현한다 ?재귀대명사의 관용적 표현. -174 ?(all) by + 재귀대명사 ?by oneself 와 on one's own의 유사점과 차이 ?She lives by herself와 D. She lives on her own의 의미상 차이 / We're by ourselves와 F. We're on our own의 의미상 차이. -175 ?Me, him, her, us, them은 목적어로서 뿐만 아니라 짧게 대답하는 비격식체에서 짧게 대답할 때 be동사의 보어로서 사용된다. 보다 격식체에서 가능한 경우, [주격의 주어 + 동사] 형태를 사용한다 ?It은 또한 전체 사실, 전체 상황 또는 전체 event를 언급할 수 있다. 또는 앞이나 뒤에서 언급한 전체 말을 언급할 수 있다 ?의미 없는 주어 it. -176 ?그나 그녀를 대신해서 'it'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We와 복수형 you(다른 인칭 대명사는 해당 없음)는 명사 바로 앞에 둘 수 있다 ?Us는 때때로 명사와 함께 주어로서 사용된다 ?비격식체에서 as 와 than 뒤에 일반적으로 목적격 형태를 쓴다. 보다 격식체에서는 as 와 than 뒤에 S + V를 쓴다. -177 ?대명사는 주로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쓰지만 뒤따르는 부정사나 절의 주어로도 쓸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목적격 형태를 사용한다 ?형용사 + you / 형용사 + me -178 ?you folks나 you guys ?주어를 2개 쓰는 경우에 예의를 갖추고자 흔히 자기 자신을 마지막으로 언급한다. ?have나 with가 있는 서술적 구조에서, 전치사 뒤에서 (비)인칭 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to 부정사의 목적어를 이미 언급한 경우에는 to 부정사 다음에 목적격 대명사를 쓰지 않는다 ?each other / one another. -179~ ?Some과 any: ?평서문에서 Not any를 주어로 쓸 수 없다. No와 none of를 대신 사용한다 ?셀 수 있는 단수명사 대신에 'not ~ any'를 사용하지 않는다 ?‘분명한 수’ 앞에서도 any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두 가지 대안 중 선택’에서 any가 아니라 either를 사용한다는 데 유의 ? 의미상 차이에 유의해서 사용한다: I don't meet just any friends. vs I don't meet any friends. ?any of + 한정사/ 대명사 ?any of + 복수주어 + 단수동사(formal)나 복수동사 ?Not any 뒤에 명사를 쓰지 않을 때 보다 강조를 하고자 none을 사용할 수 있다 ?Any와 every는 둘 다 일반적으로 클래스나 그룹의 모든 구성원들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사용할 수 있다 ?never, without, hardly 뒤에 any를 사용할 수 있다 ?some은 상대의 대답이 긍정의 대답인 '예'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질문하는 때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무언가를 상대에게 제공하면서 상대방이 '예'라고 말하도록 제안, 격려하고 싶을 경우에 사용한다 ?if 뒤에서 "some(someone, somewhere ...)" 이나 "any(anyone, anywhere...)를 흔히 사용할 수 있다 ?미지의 사람 또는 물건: 보통 단수 명사와 함께 사용한다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면 명사 없이(명사를 생략한 것임) 문장에 대명사로서 SOME과 ANY를 사용할 수도 있다 ?some of 관사[지시 사, 소유격, 대명사] / some 관사[지시 사, 소유격, 대명사] - (X) ?some이나 any와 복합된 단어는 홀로 쓸 수 있다 ?somebody/someone, anybody/anyone, everybody/everyone, nobody/no one은 둘 사이에 차이는 없으며 -one 형태는 writing에서 더 흔하게 사용한다 ?소유격: somebody's + 명사. anybody's + 명사 ?Somebody 등 + 형용사/부사적 표현 ?anything much와 nothing much ?anyone과 any one / everyone과 every one의 차이. -188 ?앞서 언급한 단수 명사를 받아서 단수 대명사가 아닌 They/them/their를 사용하기도 한다. -189 ?사람의 성별을 알 때는 물론, 성별을 모를 때도 they/them/their를 사용할 수 있다. -190~ ?no one and none: ?no one은 뒤에 of를 붙이지 않는다 ?none of / not any of / not one of ?[none of + 한정사 + 단수명사나 복수명사] / [none of + 대명사] ?None of + 복수명사나 복수 대명사 + 단수 동사나 복수 동사 ?두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서 말하는 때에는 neither를 사용한다. no 또는 none이 아니다. -191 ?sometimes와 sometime 그리고 some time의 차이. -191~ 부정 인칭대명사: 막연히 총체적인 사람들을 가리키는 you, one, we, they. ?one 과 you의 차이 ?people ?주어나 목적어로서 one의 사용 ?일반주어인 one의 소유격은 one's이고 재귀대명사는 oneself이다 ?일반주어가 아닌 one(하나/한 사람)의 후속 소유격 대명사로 one’s가 아닌 다른 대명사의 소유격을 사용할 수 있다 ?They에 대하여- They를 쓴 것을 one이나 you로 바꿔 쓸 수 없다. -194 ?one of + 한정사(the, his, this, those 등) + 목적격 복수 대명사 또는 복수명사/그룹 + 3인칭 단수 동사... -169 ?who 와 whom에 대하여. -195 who ever, what ever, when ever, how ever, why ever. 다음 둘은 이런 의미로 사용하지 않는다. ? whose ever[= whosever], which ever[= whichever]. -196~ ?의문사 which와 what의 차이: ?which로 사람들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what으로 사람들의 직업과 기능에 대해서 물어볼 수 있다 ?which of 한정사 + 명사 / which of + 대명사. one: ?1) 종종 단수의 셀 수 있는 명사를 반복하는 대신에 one으로 대신한다. 그런데 형용사가 없으면 a/an을 생략한다?. 복수형은 ones이다 2) 셀 수 없는 명사를 대신하여 one(s)를 사용하지 않는다 3) Which (one(s)), this (one), that (one), another (one), either (one), neither (one(s)) and superlatives (one(s)). 그러나 나열한 [형용사 + one(s)] / [this + 형용사 + one] ... 등 처럼 형용사가 있다면 one(s)를 생략할 수 없다? 4) These와 those 뒤에서 ones를 생략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기에 거의 항상 생략한다? 5) (my one -OX), (both ones -OX), (few ones -OX) 6) 명사 수식어 + one(s). -198 that of... / those of... -198~ 한정사: 1) 한정사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참조 또는 정량화 ?한정사는 형용사가 아니다. 한정사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쓰지 않는다 2) 한정사의 종류 ?한정사의 조합이 말이 된다면 수량 한정사는 두 개를 나란히 쓸 수도 있다 ?No와 every는 of 앞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all: 2. all + 한정사 + 명사 (보다 흔히 사용)/ all of + 한정사 + 명사. every는 바로 앞에 한정사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3. all of + 대명사 목적격(us/you/them/it) 4. all이 절의 주어일 때 어순 5. all이 주어를 수식할 때는 주어 앞이나 동사 뒤에 쓴다 6. All은 또한 주격 대명사에 뒤이어 쓸 수 있다. 이 경우 all은 주격 대명사와 분리하여 쓸 수 있다 7. all('everything 또는 everybody' 의미임)을 “홀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older English이며 오늘날에는... ?위 설명과 관련하여 오늘날에는 '모든 사람'을 언급하고자 명사 수반 없이 보통 홀로 all을 사용(older English임)하지 않으며 대신... 또한 오늘날에는 '모든 것'을 언급하고자 한다면... 8. all + 형용사/전치사/부사 9. All은 대개 [복수명사]나 [셀 수 없는 명사] 앞에서 사용한다. 그러나 일부 셀 수 있는 명사의 [단수명사] 앞에 사용할 수도 있다 10. all (the) + 숫자 11. All the day, all the night, all the week, all the summer, all the winter, all the year에서 보통 the를... 12. ‘모두가 ~인 것은 아니다’ 표현: All 명사 + 부정의 동사 (흔히 사용한다) = Not all 명사 + 긍정의 동사 (이 패턴을 더 흔히 사용한다) 13. no는 부분부정을 하는 not과는 달리 전체부정을 언급하는 데 사용한다 14. all과 every를 [일반적인 사람과 사물] 또는 [그룹의 모든 구성원]을 가리킬 때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15. all + 셀 수 없는 명사 (OX) / every + 셀 수 없는 명사 (OX) 16. all day(= 하루 종일) / every day (= 매일) 17. all (of) + 한정사 + 단수명사 = 한정사 + whole + 단수명사 18, 대부분의 셀 수 없는 명사 앞에서 whole이 아니라 all을 사용한다 19. Whole 대신에 흔히 the whole of를 사용하기도 한다 20. all(모든) + 복수명사 / every + 단수명사 / whole(= entire, complete) + 복수명사 21. 고유명사와 대명사 앞에서는 항상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사용한다 22. all은 보통 부정관사 앞에 사용하지 않는다. -206 ?all, both, half + 명사. 그러나 all, both, half + 대명사. ?[A그룹 한정사 + B 그룹 한정사]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의미를 서로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면, 중복되는 명사는 한정사 뒤에서 생략할 수 있다 ?일부 한정사는 people이나 사물을 언급하려고 명사 없이 홀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격식적이고 다소 구식적인 표현이나 종종 보이니 알고 있어야 한다. 소유대명사: 소유대명사는 단수명사나, 복수명사를 언급할 수 있다. 그리고 주어, 목적어, 동사의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쓴다. -207 ?Its와 one's는 명사 없이 홀로 사용하지 않는다 ?one's 와 whose에 대하여: 명사의 범위를 한정하는 소유한정사이며 대명사로 분류된다 ?소유격 대명사는 뒤따르는 명사 없이 홀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소유격 대명사 + own]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의문 대명사인 Whose는 명사를 수식하거나 한정하지 않고 mine, yours 등처럼 홀로 사용할 수 있다 ?전치사는 보통 whose 앞(보다 격식적임)이나 절의 끝에 사용할 수 있다 ?동사 없는 짧은 의문문에서, 전치사는 whose 앞에만 쓸 수 있다. -208 ?its와 whose / it's와 who's ?Its는 보통 뒤따르는 명사 없이 사용하지 않는다 ?this 와 that에 대하여 ?미국인들은 수화자의 정체성에 대해 묻기 위해 'this'를 사용하기도 한다 ?that of / those of. -209 those who = the people who ?This, that과 it ?both: ?양쪽 모두를 의미한다. 그런데 그 의미가 ‘각각(each)'일 경우에 사용하며, 따로따로가 아닌, 협동, 협력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통 both를 사용하지 않는다 ? both 앞에 a/an/the를 붙이지 않는다. both + 명사 / both (of) + 한정사 + 명사 / both of + 대명사의 목적격(us/you/them) ?명사/대명사 주어 뒤에 both를 사용할 수 있다 ?목적어로 쓰인 대명사 목적어 바로 뒤에 both를 쓸 수 있다. 그러나 짧게 대답하는 경우에는 이렇게 쓰지 않는다 ?both가 절의 주어를 언급하는 경우에, 조동사와 be동사 바로 뒤에 both를 쓸 수 있다 ? Neither of 복수명사/복수대명사 + 단수동사 또는 복수동사 ?both를 홀로 주어로 사용할 수 있다. -211~ 가주어 It와 진 주어 그리고 가목적어 it와 진목적어에 대하여: ?진 주어나 진목적어로 사용하는 것 ?‘wh-절’로 분류되는 절에 사용하는 6개의 대명사와 4개의 부사 ?how와 that을 ‘wh-절’로 분류한 이유 ?1) 가주어 It와 진 주어 쓰기 연습 ?가주어(=예비주어/선행주어) it와 진주어(=본주어) that 구문에서 진주어 that을 생략하기도 한다. 그러나 that절을 주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that을 생략하지 않는다 ?주어가 부정사 구이거나, 주어 안에 동명사가 있는 구이거나, 절인 경우에, 다음의 동사들과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사용할 수 있다: It seems[seemed]/appears[appeared] + (to be) ~보어 / to be ~보어.... It looks[looked] + ~보어. It seems[seemed]/appears[appeared] + (to be) ~보어 / to be + ~보어... + that 절.... It looks[looked] ~보어 + that 절... *단, look 뒤에 명사를 쓸 경우에는 ~형태를 사용한다 ?수동 structure가 종종 가주어 it과 가능하다 ?보통 명사 구를 가주어, 진주어 구문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2) 가목적어 it와 진목적어: 이 구조는 목적보어인 형용사 보어나 명사보어가 없을 때는 보통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규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 -216 한정사로서 the other에 대하여: the other + 단수명사 / the other + 복수명사. ?another + 단수명사. ?대명사로서 another. another one. -217 Another + 숫자 + 복수명사. ?the others ?some ... others. ?other + 복수명사 / others ?another + 복수명사 (OX) / other + 복수명사 (OX) ?other ones -218 ?others: 대명사로서 (other는 대명사로서 쓸 수 없다) ?종종 '(the) others'는 '(the) other people'을 언급한다. other와 others의 차이: other + 명사/대명사 vs others + 명사/대명사 (OX). ?상호대명사 each other = one another -219 ?소유격인 each other’s 와 one another’s ?every other 하나 걸러. ?전자, 후자 표현: the former, the latter. 그밖에 the one, the other/ that(전자), this(후자) /the first, the second가 있다. that of / those of
제 19장 형용사 (adjectives) -220
-220 연결동사(Linking Verbs): 1. 진정한 연결동사와 흔히 사용하는 연결동사
2. 링크 동사 뒤에는 형용사(형용사 보어임)나 명사(명사보어임)를 쓴다 ?이들 링크 동사 중에는 링크 동사와는 다른 의미를 갖고 링크 동사가 아닌 동사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연결동사 외에 다른 동사들도 뒤에 형용사를 쓸 수 있으며 문장의 주어를 묘사한다. -222 ?강조하는 형용사 merely, sheer, bloody ?a로 시작하는 일부 형용사와 다른 일부 형용사는 주로 be 동사 등의 연결동사 뒤에 쓴다. -223 ?I'm afraid (that) = "I'm sorry to tell you (that)' ?짧은 대답에 I'm afraid so나 I'm afraid not을 사용할 수 있다 ?형용사 ill과 well(건강한)은 흔히 동사 뒤에 쓴다. 명사 앞에는 다른 말을 선호한다 ?ill과 sick는 둘 다 ‘아픈'을 의미한다. AmE에서는... -224 ?명사 뒤에 형용사를 쓰는 관용 표현 ?명사 + 부사: 선행사를 수식하는 한정적 용법의 관계사절과 비슷한 방식으로 쓰인 것이다. -225 ?present + 명사 / 명사 + present의 의미상 차이 ?형용사는 보통 단위 명사 뒤에 쓴다 ?worth는 단위명사 앞에 쓴다 ?명사 + 형용사 + 형용사 자체의 보어 ?형용사 + 명사 + 형용사의 보어. -226 ?something, somebody, anything, anybody, everything, nothing, somewhere, anywhere 그리고 이와 비슷한 낱말 + 형용사. ?여러 형용사를 명사 앞에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어순을 따른다: ?묘사하는 형용사 + 분류/범주의 형용사 + 명사 ?의견이나, 태도나, 판단을 표현하는 형용사 + 묘사하는 말 + 명사 ?묘사하는 형용사의 배열 순서. -228 ?두 개 이상의 색깔 형용사를 명사 앞에 쓸 때는 'and'를 사용한다. 그러나 다른 형용사에서는 보통 이렇지 않다 ?a black and white shirt(흑백 셔츠)와 같은 예외를 제외하고 명사를 수식하는 두 형용사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and를 붙이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예외는 있으나 두 개의 형용사를 명사 앞에 놓고 다른 유형의 정보를 준다면 이들 사이에 comma도 넣지 않는다 ?그러나 명사 앞에 두 개의 형용사가 비슷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구분을 위해서 이들 사이에 comma를 넣는다. and를 쓰기도 한다. 또한 비슷한 정보이므로 서로 순서를 바꿔 쓸 수도 있다. -229 ?형용사를 연이어 3개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두 개의 형용사를 명사 뒤에 쓰는 경우에는... ?두 개나 그 이상의 형용사가 어떤 것의 다른 부분이나 다른 유형을 언급할 때는... ?어떤 것이 2개나 그 이상의 다른 class에 속한다는 것을 말할 때 and를... -230 ?수: 수는 보통 형용사 앞에 쓴다. ?일반적으로 유사한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3개 이상의 형용사나 긴 형용사들을 나란히 쓸 때는 형용사들 사이에 쉼표를 사용한다. 그러나 흔히 사용되는 짧은 형용사들 앞에서는 comma를 생략할 수도 있다 ?두 개 이상의 형용사를 나란히 쓸 때, 때때로 마지막 형용사 앞에 'and'를 붙인다. 그러나 때로는 그렇지 않다. 이것은 문장에서의 이들의 위치에 달려 있다. ?비격식체에서 [nice and + 형용사/부사] 패턴으로 사용해서... -231 ?many/more + 형용사 = 복수(plural)보통명사 ?다음과 같이 -ed로 끝나는 형용사의 발음은 [id] ?형용사 aged와 동사 aged의 발음 차이 ?-ing나 -ed로 끝나는 형용사. -232 ?-ly로 끝나는 형용사 ?형용사 + 전치사 + 명사 / 형용사 + 전치사 + -ing ?많은 형용사들이 한 종류 이상의 보어(complement = 수식어구)를 가질 수 있다 ?awake / asleep과 waking / sleeping. -233 측정에 있에서 tall, high, long의 사용의 구별 ?some/any + 셀 수 있는 복수명사 ?some/any + 셀 수 없는 명사 또는 셀 수 없는 단수명사. -234~ ?many/few + 셀 수 있는 복수명사. ?All, Every, 그리고 Each의 비교 -238 ?grateful과 thankful의 비교. -239~ ?many와 much의 비교. -241 ?too much + 단수명사 / too many + 복수명사 ?a bit too much, rather too many, far too many ?의미가 분명하다면 too much나 too many 뒤에 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So many/so much, as many/as much, too many/too much 이들은 긍정절에서 꽤 자연스럽다. open과 opened의 비교. -242 ?opposite (형용사)을 사용하는 경우 ?worth의 사용 예. -244 ?worthwhile = worth while ?worth somebody's while ?well worth. -245 sensitive / sensible ?classic / classical ?comical / comic ?economic / economical ?electric / electrical ?historic / historical ?magic / magical. -246~ another / other / the other / others / the others -248~ ?wide와 broad의 비교
제 20장 부사 -250
-250 ?부사형 만들기 ?형용사와 부사가 같은 것 ?〈주의〉 lovely(사랑스러운), friendly(다정한) 등, hardly(거의~ 아니다), fastly(OX). -251 부사의 순서: 태장빈시목(태도, 장소, 빈도, 시간, 목적) ?일반적으로 내용에 관계없이 짧은 부사구는 더 긴 부사구보다 앞에 쓴다 ?비슷한 종류의 부사들 중에서 보다 구체적인 부사를 먼저 쓴다 ?부사의 배치순서가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수식어 중 한두 개를 문장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때... ?문장의 시작 부분에 부사를 가져가 놓아 그 부사를 특별히 강조할 수 있다. -252 ?부사구나 부사절을 문장의 시작에 둘 때는 보통 이들 뒤에 comma를 찍는다. 부사의 위치: 1. 보통 타동사와 그것의 목적어 사이에 부사를 쓰지 않는다. cf. 그러나 (매우) 길고 무거운 목적어는 보다 짧은 부사 뒤에 쓸 수 있다 2. 그러나 on, off, out 같은 부사 소사는 타동사와 목적어인 명사 사이에 쓸 수 있다. 부사는 문장 시작 부분, 중간 부분, 끝 부분에 둘 수 있다: -253 ?부정 빈도 부사 (정해진 빈도가 아닌 부사) ?명령문에서는 always와 never를 문두에 쓸 수 있다 ?부정 빈도 부사(정해진 빈도가 아닌 부사)가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 의 주요 초점이 아니라면 문미에 쓸 수 있다. -254 분명한 빈도 부사: 문두나 문미에 사용하는데 문미에 더 흔히 사용한다. 그러나 hourly, daily, weekly, monthly, yearly 등의 한 단어의 부사는 문두에 쓰지 않는다. 확실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의 사용 위치: maybe, perhaps, certainly, clearly, definitely, obviously, probably. -256 태도나 거동(manner)부사의 위치: awfully, beautifully, carefully, carelessly, efficiently, fluently, nicely, slowly. -257 장소 부사 1. here, there, behind, above...이러한 류의 장소 부사는 태도 부사의 위치와 같다. 즉, 직접 목적어 뒤에 쓰거나 직접 목적어가 없는 경우에는 동사 뒤에 쓴다 2. Here와 There로 문장을 시작할 수 있다 3. Here/There + 대명사 주어 + 동사 4. backwards, downstairs, everywhere, nearby, outside, south/southward, towards의 사용 위치 5. 장소 부사는 특별히 문학적 글쓰기나, 부사가 메시지의 주요 초점이 아니라면 문두에 쓸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상 동사를 주어 앞에 쓴다 6. 방향(=운동)부사는 위치부사 앞에 쓴다. -258 ?시간 부사: 위에 열거한 '시간의 부사'는 보통 문장의 끝에 쓰지만 문장의 시작 부분에 쓸 수도 있다. 문맥에 중요한 경우 문장의 시작 부분에 시간 부사를 써서 강조할 수 있다 ?then도 보통 문장의 끝에 쓰지만 문장의 시작 부분에 쓸 수도 있다. -259 ?시간 부사의 배열 순서: 얼마나 오래 + 얼마나 자주 + 언제. 부사를 문장의 중간 위치(mid-position) 에 쓴다는 것은 다음을 말한다. -261 초점 부사에 대하여. -262 only. -264 ?말을 할 때는 'also / as well / too'가 가리키는 단어나 표현에 강세를 두어 말함으로써 정확한 의미를 전달한다 ?명령문과 짧은 대답에는 통상 as well과 too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러우므로 also를 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비격식적인 구어에서 “Me too.”를 사용해서 짧게 대답한다. 이 보다 격식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265 부사로 부정을 강조하고자 한다면... ?일부 부사는 not 앞에도 뒤에도 쓸 수 있는데 종종 의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모든 조동사 뒤에 부사를 쓰는 것은 특별히 수동형 동사와 함께 흔하다. -266 ?조동사를 강조하거나 am/are/is/was/were를 강조할 때, 대부분의 중간 위치에 쓰는 부사는 조동사나 이들 be 동사 앞에 사용한다. 그러나 AmE에서는 조동사나 be 동사를 강조하지 않을 때에도 조동사나 be 동사 앞에 종종 부사를 쓴다. -267 some day와 someday : 언젠가, 훗날. -268 cf. one day: (과거나 미래의) 언젠가.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과거분사, 부사 구도 수식할 수 있다 ?부사는 1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부사구라 부른다. 또 부사절을 쓸 수도 있다. -269 ?형용사, 부사 둘 다로 쓸 수 있는 말 ?똑같은 형태로 형용사와 부사로 사용하는 것 ?cf. Lately(최근에) (=recently): -270 ?well과 fast같은 몇몇 단어는 부사임에도 형용사처럼 보일 수 있다. 그래서 이것들이 형용사가 아니고 부사임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 형용사 앞에 hyphen을 붙일 수 있다 ?well은 과거분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이 어떻게 보고, 느끼고, 소리 나고, 맛이 나고, 냄새가 나는지를 언급하고자 다음의 동사 뒤에 형용사를 쓸 수 있다. cf. She smells the hot soup carefully. -271 ?well: 형용사인 경우에는 ‘건강한’ 의미로만 사용한다? (반대말은 ill?) -272~ ?문장 부사: 특정 단어가 아니라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이다. 흔히 사용하는 문장 부사는 다음과 같다. enough의 사용 위치. -275 dead(비격식어): -276 ?direct: 비격식어에서 부사로 사용한다 ?fair: 부사로 쓸 경우에는 동사 뒤에 놓는다 ?fast: 부사로 'quickly'를 의미할 수 있다. 또 'completely'나 ‘tight'라는 의미를 나타내고자 사용할 수 있다. ?fine: 비격식어에서 부사로 사용한다 - 277 ?finely: ?free: / freely: ?hard: 부사로 사용하는 경우에 의미는 ‘세게’, ‘심하게’ , ‘열심히’ ?Hardly의 사용 위치들: 거의...아니다. ?high: 높이 / highly : 매우 -278 ?loud: ‘큰 소리로’. 구어에서 동사 뒤에서 부사로서 사용한다 ?low: 낮게 ?pretty: 어느 정도, 꽤, 아주, 매우 (이 경우에 rather와 유사한 의미를 나타낸다). prettily ?quick: ‘빠르게’. 비격식어에서 동사 뒤에 quickly(격식어)대신에 사용한다 ?real: ‘정말로’. 비격식 미국영어에서 형용사와 부사 앞에서 really(격식어) 대신에 사용한다. ?right: 정확히, (곧)바로 -279 ?Right 와 rightly ?sharp: , ‘punctually’ ?sharply: ?slow: 도로 표지판이나 비격식어에서 동사 다음에 써서 -280 ?sound: 부사로. souldly: ?straight : 형용사 형과 부사형이 ?sure: 미국영어 비격식어에서 sure를 부사로 사용하여 ?Surely ~ (not). ?tight: 비격식어에서 동사 뒤에서 tightly(격식어)대신 사용 ?wide: , widely: ?wrong: 비격식어에서 동사 뒤에서... -281 ?흔히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형태를 부사로서 사용한다. ?strange: ‘이상하게’. 비격식어에서 부사로 사용한다 ?positive: ‘긍정적으로’. 비격식어에서 부사로 사용한다 ?AmE에서는 흔히 almost를 쓴다. BrE에서는 흔히 nearly를 사용한다 ?nearly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almost를 대체할 수 없다 ?almost + never, nobody, nothing 같은 부정 대명사/부사?hardly + ever, any, anybody[anyone], anything, anywhere. -283~ ?instead: 부사이다. 보통 문두나 문미에 쓴다 ?altogether 와 all together. ?rather 〉 quite 〉 fairly와 pretty. -291 ?far와 a long way. ?긍정절에 far를 쓸 때는 보통 다음과 같은 말과 함께한다 ?far + 명사 ?certainly와 surely. -293 ?the most ?most- ‘very’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most + 셀 수 있는 명사나 셀 수 없는 명사: 대개 (이런 의미로 사용할 경우에는 the most와 같이 the를 붙이지 않는다) ?most 뒤에 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294 ?Mostly ?most of + 한정사(a[an], the, my, this, these, those 등)?most of + 대명사 ?most of + 개인 명칭 / 지리 명칭. ?much. -295 ?long. -296 ?too를 강조하는 a little, far, much, rather. -297 ?even. -298 ?ever. -299 ?at all. -300 ?first와 at first의 비교 ?finally. lastly. at last. at the end. in the end의 비교 ?Lastly. -301 ?at last ?at the end ?in the end ?presently. -302 ?구 동사(phrasal verbs) = 이어동사 ?일부 동사는 전치사와 불변화사를 함께 사용해서 삼어동사(three-part verbs)를 이룰 수 있다. -303~ ?도치: ?장소, 방향의 부사적 표현 + 자동사 + 주어 ?here, there, 여타 짧은 부사, 부사 불변화사 + 동사 + 주어 ?주어가 대명사이면 도치하지 않는다 ?so, neither, nor를 사용한 짧은 대답과 이와 비슷한 형태에서 조동사 + 주어로 도치해서 쓴다 ?than 뒤에서 문학적 스타일에서 도치패턴을 사용한다 ?부정 부사나 부사구 + 조동사 + 주어: 다소 격식적이거나 문학적 표현이다 ?not far... 그리고 not long... 뒤에서는 도치 패턴을 사용하지 않는다. -305 any/no + 비교급. -306 ?no good 과 not good ?부사로서 after. -307 ?ago ?before. -308 ?back과 again의 비교. -310~ ?부사 so: 'like this/like that'?very와 so의 비교. -313 ?or else: ‘그렇지 않으면’ ?elsewhere ?home. -314 ?house와 home의 구별 ?how와 what을 사용한 감탄문. -316 ?혼동에 주의해야 할 how / what / why의 의문문에서의 사용 방법 ?What about ...? 과 How about ...?. 영어에서는 서수를 묻는 특별한 표현이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쓴다 -317 ?How-절을 사용할 수 있는 자리 ?how...? 와 what ... like? 의 비교. -318 indeed: 정말, 참으로 ?just. -320 aloud와 loudly ?maybe 와 perhaps. -321 no more + 명사 ?once. -322 early. 시계(A watch 또는 clock)가 빠르다 느리다에는 -323 still, yet, already의 비교. -326 not yet과 still not의 비교 ?already. -327 such. very, great, such. -328 very 와 very much의 비교. -330 -ward(s) ?bring forward, look forward to, put forward 와 같은 말: 항상 -s 없이 사용한다. -331 where (to) ?after all ?it와 there. -332 유도부사 there. -334 타동사 + there + to 부정사...?전치사 + there + -ing... -335~ There는 부가의문문(question tags)에서 주어로 사용할 수 있다 ?out
제 21장 생략 (ellipsis) -339
-339 문장을 시작할 때. to부정사 대신에 to만 쓸 수 있다 -340 ?의미가 명확하다면 비교구문에서 as나 than 뒤에 중복되는 말을 뺄 수 있다 ?의문사 뒤에서 의문사만 남기고 중복되는 말을 생략할 수 있다 ?분사나 형용사 앞에서 주격 관계대명사와 be동사를 생략할 수도 있다 ?격식어에서 일반적으로 when, while, if 등이 이끄는 부사절에서 이들 접속사 뒤에 ~를 생략하기도 한다. BrE에서 전치사 뒤에서 대명사 목적어를 생략하기도 한다 ?광고나 사용설명서 등에서 지면이나 시간을 줄이기 위해 관사나 주어나 목적격 대명사나 be동사나 전치사를 생략하기도 한다 -341 ?비격식적인 메모나 스케줄 메모나 우편엽서 글이나 편지나 이메일이나 일기장, 제목, 표제, 라벨, 통지 및 슬로건, 신문의 헤드라인 등에서 생략이 발생한다 ?(라디오. 텔레비전의) 실황방송에서 생략이 발생한다 ?and, but, 또는 or로 연결될 때, 반복되는 말과 구를 종종 생략한다. 의미가 분명하다면 형용사 뒤에서 되풀이되는 명사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최상급 뒤에서 생략하기도 한다 -342 ?둘이나 그 이상의 다른 종류의 것 사이에 선택에 대해서 언급할 때, 이미 언급 했거나, 언급할 필요가 없는 명사는 때때로 생략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색깔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복수로 쓰기도 한다 ?최상급 형용사 뒤에 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의미가 분명하다면 한정사나 소유격이나 수나 own이나 another 뒤에서 되풀이 되는 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잘 알려진 이름들의 마지막 낱말을 생략하기도 한다 -343 ?조동사 + 본동사를 조동사만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의미가 분명하다면 반복을 피해서 완전한 동사 구 대신에 조동사를 사용한다. 이 때 조동사에 강세를 두며 축약 형태는 긍정 형태는 피하고 부정형태만 사용한다 ?그 밖에 조동사만 남기고 생략한 예. 조동사가 아닌, be 동사와 have[has]만을 남길 수도 있다 ?다른 조동사가 없으면 do/does/did를 사용할 수 있다 -344 ?뒷 부분이 아닌, 앞 부분에서 생략을 한 경우 ?조동사가 한 개 이상 있을 때는 보통 첫 번째 조동사 뒤에서 생략을 한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조동사를 쓰게 되면 첫 번째 조동사에 강세를 둔다. 조동사가 바뀌면 보통 두 번째 조동사를 포함한다 ?영국영어에서 조동사 뒤에서 생략한 주동사를 do로 대체할 수 있다 ?소유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be와 have는 보통 생략하지 않는다 ?부정사 전체의 생략: 이것은 명사나 형용사 뒤에서 발생한다. 또한 홀로 쓸 수 있는 동사 뒤에서 발생한다 -345 ?보통 would like to/would love to/would hate to/ would prefer to나 choose나 want 뒤에서 to를... 그러나 예를 들면 when, if, what, as와 같은 접속사 뒤에 want to를 쓸 때. 접속사 뒤에 쓴 like 뒤에서는 거의 항상 to를. 그밖에 생략 예 - 주로 구어에서 사용한다.
제 22장 축약 형(Contractions) -346
-346 축약은 비격식적인 글쓰기에서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명사/대명사/의문사/유도부사/부사 등 +’s. 보통 절의 끝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47 (조)동사 +'t[=not] - 절의 끝에 쓸 수 있다
?이중 주어에는 일반적으로 축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체 축약 형
?it's와 Its
?I'm은 부가의문문에서 aren't I? 바꿔 쓴다?
?AmE에서는 shan‘t, usedn't, daren't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비 표준 영어에서 ain't
-348~ ?월의 축약형 ?연대표기
?날짜를 말하려면 It’s를 사용 한다
?오늘이 며칠입니까? 표현. BC와 AD
제 23장 혼동되는 흔한 어휘 사용방법 -350
-350 bring과 take의 비교 / come과 go의 비교.
-351 make를 쓰는 관용어구. each: 대명사이자 한정사.
-353 each와 every의 비교.
-356 부정 평서문이나 부정의문문 어순 형태의 감탄문도 가끔 볼 수 있다
-357~ ?미국인과 일부 영국인들은 긍정의문문 패턴으로 감탄문을 사용하기도 한다 ?come to 동사원형과 become의 의미상 차이 ?get.
-362 go.
-363 come ~ing ?be 동사 + gone.
-364 half.
-365~ have.
-368 lay와 lie의 비교.
-369 say와 tell의 비교.
-370 seem.
-373 speak와 talk ?appear.
-373 appear와 seem의 비교.
-376 arise와 rise의 비교. 계측 표현에서 heavy는 다른 표현처럼 끝에 heavy를 쓰지 않는다
-377 ?win과 beat의 비교. begin과 start의 비교.
-378 "commence" vs "initiate" ?bet.
-379 bring up과 educated의 비교 ?close와 shut의 비교.
-381 doubt + 접속사 that절/if 절/whether 절. finish와 end.
-382 expect, hope, wait, look forward to라는 네 가지 표현의 미묘한 차이 ?expect/hope for/wait for/look forward to + 목적어.
-383 ‘wait for’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인 for를 종종 생략한다 ?expect/hope/wait + to 부정사 ?expect/hope for/wait for + 목적어 + to 부정사 ?hope나 expect의 단순시제나 진행시제를 거의 의미상의 차이 없이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384 ?Expect + 목적어 + to 부정사: 사람들의 의무를 언급하고자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의 수동태도 흔히 사용한다 ?I look forward to와 I'm looking forward to. expect, hope + that 절.
-385 fit와 suit의 비교.
-386 fun과 funny의 비교 ?hear와 listen to의 비교.
-387 ?rent와 hire와 let의 비교 ?holiday와 holidays의 비교.
-388 know.
-390 look. if나 whether 앞에서 know가 아니라, see나 look to see를 쓴다 ?get married/get divorced. -390 dinner와 supper의 비교
-392 ?mean ?not과 no의 비교.
-393 opportunity와 possibility의 사용패턴. own.
-394 part.
-395 game과 play의 비교.
-396 please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thanks와 thank you의 비교 ?Thank you for[Thanks for] + -ing: 이 패턴에서는 동명사 앞에 소유격을 쓸 필요 없어 쓰지 않는다 ?No, thank you / No, thanks. Yes, thanks ?thank(s)에 대한 흔한 응답 표현
-397 ?street 와 road의 비교
-398 ?see.
-400 watch ?짧은 대답-흔한 패턴은 [주어 + 조동사] 패턴이다.
-401 smell.
-402 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한 표현: I beg your pardon 등 ?“다시 한 번 말씀해 주시겠어요?” 표현 ?제안, 거절과 전형적인 응답.
-403 무언가를 건네줄 때 상대의 주의를 끌기 위해 “여기 있습니다” 표현 ?sound.
-404~ taste ?think.
-407 travel, journey, trip, tour, voyage의 비교.
-409~ way. -끝
Author
Charles M(민 헌수)
영어영문학과 졸업.
전 미국 워싱턴 소재 무역회사 과장.
천호동 명문학원에서 책과 강의 노트 없이 마이크와 분필만 들고 성문기본 영어 강의를 시작으로
강남등에서 20년 이상 중, 고등학생 영어와 대학 유학, 교환학생 대상 토플 강의.
전 학림학원 부원장, 원장.
한영번역가.
영국과 미국의 원어민 영어선생 수준의 영국, 미국 문법 전문가.
EBS 강사나 그밖의 영어 강사들의 동영상 강의나 블로그 강의나 경험상 여타 영어선생들의 강의가 단 5분도 더는 볼 수 없을 정도로 부정확한 곳이 많은 국내 문법서만 천편일률적으로 베껴서 계속 불편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가 더 나이들기 전에 바른 길을 제시해야겠다는 결정하에 고생을 각오하고 큰 맘 먹고 쓰게 되었다.
영어영문학과 졸업.
전 미국 워싱턴 소재 무역회사 과장.
천호동 명문학원에서 책과 강의 노트 없이 마이크와 분필만 들고 성문기본 영어 강의를 시작으로
강남등에서 20년 이상 중, 고등학생 영어와 대학 유학, 교환학생 대상 토플 강의.
전 학림학원 부원장, 원장.
한영번역가.
영국과 미국의 원어민 영어선생 수준의 영국, 미국 문법 전문가.
EBS 강사나 그밖의 영어 강사들의 동영상 강의나 블로그 강의나 경험상 여타 영어선생들의 강의가 단 5분도 더는 볼 수 없을 정도로 부정확한 곳이 많은 국내 문법서만 천편일률적으로 베껴서 계속 불편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가 더 나이들기 전에 바른 길을 제시해야겠다는 결정하에 고생을 각오하고 큰 맘 먹고 쓰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