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의 원리이해』나『논리로 푸는 사주명리학』시리즈는 동양 미래예측학박사 1호이며 동양 미래학자인 소재학 박사가 지난 12년 동안 청주대학교, 동방대학원대학교, 부천대학교 등과 각 단체, TV 등에서 강의를 해오며 연구하고 발표해 왔던 〈석하명리奭廈命理〉의 내용들을 정리하여 집필한 것으로, 기본 골격은 전통적인 사주명리학의 내용들이지만 그 이론들의 성립 원리와 적용 방법 등에 대한 세세한 부분들은 대부분 새롭게 밝히고 정립한 독창적인 이론들이다.
『논리로 푸는 사주명리학』제4권,「사주 격용 분석」은 천간의 변화와 지지의 변화 및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신강 · 신약이나 격용 등, 기존 사주학의 사주를 분석하는 모순적 요소를 배제하고, 논리적인 이론체계로 새롭게 재정립하여 누구나 동일한 사주를 분석할 때 항상 동일한 답이 나올 수 있고, 간편하고 명쾌하게 격과 용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2절 통근과 투간 112
1. 통근(通根) 개요 112
1) 통근(通根) 개요 112
2) 통근 사례 112
2. 통근(通根)의 원칙 113
1) 각 오행 5개 지지와 통근 113
2) 음양 구분 없이 통근 114
3) 寅, 申, 巳, 亥에 통근 할 수 없는 매개체 土 114
4) 동일한 오행만 통근 115
3. 십이지의 통근(通根) 분석 115
1) 子의 통근 분석 115
2) 丑의 통근 분석 115
3) 寅의 통근 분석 116
4) 卯의 통근 분석 116
5) 辰의 통근 분석 116
6) 巳의 통근 분석 116
7) 午의 통근 분석 116
8) 未의 통근 분석 116
9) 申의 통근 분석 117
10) 酉의 통근 분석 117
11) 戌의 통근 분석 117
12) 亥의 통근 분석 117
4. 투간(透干)과 활성화(活性化) 118
1) 투간(透干) 118
2) 활성화(活性化) 119
제2절 석하명리의 사주분석 원칙 158
1. 사주분석은 일간기준으로 활성화된 천간 비교 159
2. 각 오행은 5개씩의 지지에 통근 160
3. 인비의 합과 식재관의 합을 비교하여 신강약 구분 161
4. 일간은 신강약 구분을 위한 세력 비교에서 제외 164
5. 강약의 기준은 오행의 개수가 아니라 활성화된 세력 165
6. 일간을 포함하지 않은 간합은 세력 비교에서 제외 166
7. 충(沖)된 지지는 천간의 근 역할을 할 수 없다 168
8. 천간의 세력은 통근한 지지의 강약에 따라 결정 171
9. 천간 자체의 강약은 월간, 시간, 년간 순 175
10. 활성화된 천간 없을 때 지지 자체 강약 구분 178
11. 신(身) 강약에 따른 희신, 기신과 한신 구분 180
12. 중복 수치 계산과 근 없는 천간 “+?” 183
제3절 기초사주 분석 연습 190
1. 신강 사주 190
1) 초기 분석 190
2) 점수 환산 191
3) 사주 분석 191
4) 사주그래프 분석 191
2. 신약 사주 192
1) 초기 분석 192
2) 점수 환산 192
3) 사주 분석 193
4) 사주그래프 분석 193
3. 신약 중복수치 사주 194
1) 점수 환산 194
2) 사주 분석 195
3) 사주그래프 분석 195
4. 신강 중복수치 사주 196
1) 점수 환산 196
2) 사주 분석 197
3) 사주그래프 분석 197
제3장 화기격(化氣格) 사주분석 335
제1절 화기격(化氣格)의 개요와 성립조건 337
1. 화기격(化氣格)의 개요 및 구분 337
1) 화기격의 개요와 희기(喜忌) 337
2) 화기격의 구분과 종류 338
3) 합화오행의 순차 339
2. 합화 5격의 특성 340
1) 갑기 합토(甲己 合土)격 340
2) 을경 합금(乙庚 合金)격 341
3) 병신 합수(丙辛 合水)격 342
4) 정임 합목(丁壬 合木)격 342
5) 무계 합화(戊癸 合火)격 343
3. 합화 성립 우선순위 344
1) 丁壬 合木격 344
2) 戊癸 合火격 344
3) 乙庚 合金격 344
4) 甲己 合土격 345
5) 丙辛 合水격 345
4. 화기격의 성립 조건 346
1) 합화를 거스르는 오행이 활성화 되지 않아야 성립 346
2) 합화 오행이 월지와 시지중 한곳 이상 통근해야 성립 347
3) 합을 꺼리는 천간이 월·일·시지중 2곳 이하에 통근 348
제2절 화기격(化氣格) 사주분석 350
1. 정임(丁壬) 합목(合木)격 사주분석 350
1) 인성과 식상 비통근 350
2) 인성 통근 351
3) 식상 통근 352
4) 인성과 식상 통근 353
2. 무계(戊癸) 합화(合火)격 사주분석 354
1) 인성과 식상 비통근 354
2) 인성 통근 355
3) 식상 통근 356
4) 인성과 식상 통근 357
3. 갑기(甲己) 합토(合土)격 사주분석 358
1) 인성과 식상 비통근 358
2) 인성 통근 359
3) 식상 통근 360
4) 인성과 식상 통근 361
4. 을경(乙庚) 합금(合金)격 사주분석 362
1) 인성과 식상 비통근 362
2) 인성 통근 363
3) 식상 통근 364
4) 인성과 식상 통근 365
5. 병신(丙辛) 합수(合水)격 사주분석 366
1) 인성과 식상 비통근 366
2) 인성 통근 367
3) 식상 통근 368
4) 인성과 식상 통근 369
부록 : 일반사주학과 석하명리의 차이점 371
참고문헌 383
Author
소재학,이상광
대한민국 미래예측학 박사 1호이며, 보건학 박사 이다. 동방대학원 대학교 교수 및 발전위원장을 역임하고 이리스트대학교 원격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였다.재단법인 하원정 미래학회 회장, 글로벌 융합인재포럼 회장, 세계미래포럼 지식광장 교수 및 칼럼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동양 역학의 오랜 신비와 미신적 요소를 벗기고 과학의 옷으로 갈아입히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서양 미래학의 접목과 융합을 통해 동양 미래예측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또한 누구에게나 존재하며 개인의 삶과 사회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과 실패의 10년주기 패턴 '석하리듬'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칼럼이나 특강 활동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전하고 있다.
대한민국 미래예측학 박사 1호이며, 보건학 박사 이다. 동방대학원 대학교 교수 및 발전위원장을 역임하고 이리스트대학교 원격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였다.재단법인 하원정 미래학회 회장, 글로벌 융합인재포럼 회장, 세계미래포럼 지식광장 교수 및 칼럼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동양 역학의 오랜 신비와 미신적 요소를 벗기고 과학의 옷으로 갈아입히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서양 미래학의 접목과 융합을 통해 동양 미래예측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또한 누구에게나 존재하며 개인의 삶과 사회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과 실패의 10년주기 패턴 '석하리듬'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칼럼이나 특강 활동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