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점령 4년사: 친일파는 어떻게 기득권이 되었나』는 은폐되고 잘못된 역사를 제대로 조명해야 한다는 저자의 간절함에서 비롯되었다. 이 책의 근간은 1989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UCLA) 사회학박사 학위 논문으로, 이를 수정하고 현재와 관련한 내용을 추가해서 출간했다. 논문 제목은 「The Impact of U.S. Military Occupation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Decolonized South Korea, 1945~1949」로, 미군 점령 기간에 미군이 한국에 미친 영향을 연구했다. 그 영향은 바로 분단과 친일파 존속이다. 해방 이후 반공이라는 이름에 가려서 우리 역사는 은폐되었고, 진실과 거짓이 뒤바뀌었다. 그것은 독립운동하고 해방 후 사회를 개혁하려는 세력이 거의 좌파였기 때문이다. 문제는 우파는 좋고 좌파는 나쁘다는 허상이 바로 미군 점령 시기에 생겨났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정권과 친일파가 이것을 이용해 권력을 차지하고 자기 뱃속을 채웠다. 저자 송광성은 ‘애국’이라는 이름으로 행하는 온갖 무도한 행위가 결국엔 자기 개인의 영달과 그것을 비호해줄 정권을 위한 충성이라는 것을 말한다. 또 해방하고 미군 점령 시기를 거쳐 이승만 정권에서 청산하지 못한 친일파 세력이 대한민국 판세를 통째로 바꾸었고, 그들이 사회 전 분야에서 기득권층이 되어, 지금까지 나라를 쥐락펴락하고 있다고 전한다.
· 미군정은 3년이고 미군 점령은 4년이다.
미군정은 이승만이 정권을 수립하면서 3년 통치 기간을 끝냈다. 그런데도 미국은 미군사고문단을 남겨 1946년 6월 말까지 점령을 이어가면서 형식적으로 독립한 한국 정부를 정치·경제·군사 면에서 사실상 지배했다. 그래서 미군정은 3년이고 미군 점령은 4년이다.
Contents
프롤로그
서론
이 글을 쓴 목적
해방 직후사 연구의 반성
이 책의 내용 소개
1장. 조선 민중투쟁과 미국 조선정책의 역사(1876~1945)
1. 조선 민중의 계급투쟁과 민족운동
(1) 동학농민혁명
(2) 민중의 3·1운동
(3) 상해 임시정부와 만주 무장투쟁
(4) 노동자와 농민의 투쟁
2. 미국의 조선정책
(1) 조미 통상조약 이후
(2)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이후
3. 결론
2장 민족자주화운동을 파괴
1. 짧은 해방기간-건준과 인공의 활약
(1) 건국준비위원회
(2) 조선인민공화국
2. 조선총독부에서 미군정 지배로
(1) 정복자들의 군사통치
(2) 억압적 국가기구들
1) 사법제도
2) 남조선국립경찰.
3) 남조선국방경비대
3. 친일파를 친미파로 재조직
(1) 한민당 조직
(2) 한민당 이용
(3) 임정 지도자 귀국
(4) 임정 지도자 이용
4. 혁명적 민족주의자 탄압
(1) 조선인민공화국 부정
(2) 반탁운동 왜곡
(3) 민주주의민족전선 탄압
5. 형식적인 독립: 이승만 정권을 수립
(1) 미군정 법률 계승
(2) 미군정 정책 계승
(3) 계속해서 미국에 종속
6. 결론
3장 사회민주화운동 파괴
1. 미완성 혁명
(1) 노동자자주관리운동
(2) 인민위원회 조직
2. 반혁명적 미군 점령 정책
(1) 노동정책
(2) 토지정책
(3) 쌀정책
(4) 인민위원회 탄압
3. 조선 민중의 항쟁
(1) 9월 총파업
(2) 10월 민중항쟁
(3) 제주 4·3 민중항쟁
4. 반혁명적 이승만 정권과 민중항쟁의 계속
(1) 이승만 정권의 노동 정책과 토지 정책
(2) 여·순 항쟁
5. 결론
4장 조선을 분단
1. 분단의 기원과 직접 효과
(1) 38선은 미국 작품
(2) 조선의 민족통일 파괴
2.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 정책
(1) 미소공동위원회
(2) 유엔임시위원단.
3. 조선 민족의 통일 노력
(1) 좌우합작운동
(2) 남북회담
4. 남북에 두 개의 정부를 수립
(1) 대한민국
1) 미국의 남쪽 단독정부 수립 정책
2) 5·10선거와 이승만 정권 수립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소련의 북조선 점령정책
2) 김일성정권의 수립과정
5. 이승만 정권이 분단을 강화
(1) 반공이데올로기
(2) 군사력 증강
6. 결론
결론: 혁명 파괴
1. 자주·민주·통일은 하나의 과제
2. 미군 점령 4년의 유산
에필로그
주요사건 연표(1945-1949)
참고문헌
한글 문헌
영어 문헌
Author
송광성
함경도에서 태어나 흥남 철수 때 아버지와 거제도로 피난 온 소년이었다. 고향에 어머니와 여동생을 두고 왔기에, 통일은 평생의 염원이었고, 통일을 실현하려는 바람으로 서울대 정치학과에 입학했으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1972년 ‘유신헌법’이 공표되어 좌절한 청년은 미국으로 갔다. 당시 미국엔 군에서 근무한 사람이 대학에 가면 장학금을 주는 제도가 있었다. 이에 미국 육군이 되어, 한국 평택과 켄터키 주에서 군 생활을 마쳤다. 제대 후 캘리포니아 UCLA 사회학과에 입학해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논문 주제로 처음엔 ‘한국전쟁’을 기획했으나, 앞선 연구의 부족과 국가보안법 문제가 있어 훗날로 미루고 해방 직후사인 ‘미군 점령 4년’으로 정했다. 우리 역사에 ‘미군 점령 4년’이 없었다면 한국의 근대사는 크게 달라졌을 거라고 주장한다.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으로 돌아와 서강대와 한양대 등에서 사회학을 강의했고,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원을 거쳐서 한서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지금은 처음에 쓰려고 한 ‘한국전쟁’의 범위를 확대해 ‘미국의 연속된 전쟁’을 주제로 쓴 원고를 탈고했고, 평통사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 역사 강연을 다니고 있다.
함경도에서 태어나 흥남 철수 때 아버지와 거제도로 피난 온 소년이었다. 고향에 어머니와 여동생을 두고 왔기에, 통일은 평생의 염원이었고, 통일을 실현하려는 바람으로 서울대 정치학과에 입학했으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1972년 ‘유신헌법’이 공표되어 좌절한 청년은 미국으로 갔다. 당시 미국엔 군에서 근무한 사람이 대학에 가면 장학금을 주는 제도가 있었다. 이에 미국 육군이 되어, 한국 평택과 켄터키 주에서 군 생활을 마쳤다. 제대 후 캘리포니아 UCLA 사회학과에 입학해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논문 주제로 처음엔 ‘한국전쟁’을 기획했으나, 앞선 연구의 부족과 국가보안법 문제가 있어 훗날로 미루고 해방 직후사인 ‘미군 점령 4년’으로 정했다. 우리 역사에 ‘미군 점령 4년’이 없었다면 한국의 근대사는 크게 달라졌을 거라고 주장한다.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으로 돌아와 서강대와 한양대 등에서 사회학을 강의했고,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원을 거쳐서 한서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지금은 처음에 쓰려고 한 ‘한국전쟁’의 범위를 확대해 ‘미국의 연속된 전쟁’을 주제로 쓴 원고를 탈고했고, 평통사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 역사 강연을 다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