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4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12/1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705460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중국 고전의 번역가 임동석이 해설한 『논어』
동양에서 가장 많이 읽히고 활발히 연구된 책을 거론하라면 누구나『논어論語』라고 말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되짚어 보어도 이미 이 『논어』를 삼국시대부터 읽고 연구하여 일본에 전해 주었던 기록이 남아 있다. 동양인이라면 누구나 이를 기본으로 삼아, 깊고 심오한 학문의 세계로 들어섰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유학이 곧 국시였던 시대에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이 『논어』의 구절을 읊고 되새기며 화제와 비유, 생동의 근거로 삼아 생활 전반에 이를 적용하였다고 전해진다.
공자 사상의 핵심은 ‘인仁’으로, 『논어』는 인仁에 대해서 분량 전체의 10분의 1 이상이나 할애하고 있다. 이 인仁에 입각해서 인간론, 인생론, 정치론, 지도자론이 전개되는데, 그 사상은 체계가 확실히 갖추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오히려 생생한 인간의 기록이라는 것에 논어의 진가가 숨겨져 있다.
이 책은 중국 고전 번역가 임동석이 역주한 임동석중국사상 시리즈 중 첫번째 책으로 이 1권을 시작으로 4권까지는 『논어』를 다루고 있다. 이『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사상은 중용사상과 인도주의 사상으로 요약되지만, 그보다도 유가의 근본적 덕목과 규범을 가장 쉽게 집약적으로 기술했다는 것이 더 크게 평가되고 있다. 현실에 입각하면서 이상을 잃지 않고 꿋꿋하게 산 인간의 모든 기록, 이것이 논어이다.
Contents
004논어4/4
15 衛靈公篇 (총 41장)
380(15-1) 衛靈公問陳於孔子
381(15-2) 賜也女以予爲多學而識之者與
382(15-3) 由知德者鮮矣
383(15-4) 無爲而治者
384(15-5) 子張問行
385(15-6) 直哉史魚
386(15-7) 可與言而不與之言
387(15-8) 志士仁人
388(15-9) 子貢問爲仁
389(15-10) 顔淵問爲邦
390(15-11) 人無遠慮
391(15-12) 已矣乎
392(15-13) 臧文仲其竊位者與
393(15-14) 躬自厚而薄責於人
394(15-15) 不曰如之何如之何者
395(15-16) 居終日
396(15-17) 君子義以爲質
397(15-18) 君子病無能焉
398(15-19) 君子疾沒世而名不稱焉
399(15-20) 君子求諸己
400(15-21) 君子矜而不爭
401(15-22) 君子不以言擧人
402(15-23) 子貢問曰
403(15-24) 吾之於人也
404(15-25) 吾猶及史之闕文也
405(15-26) 巧言亂德
406(15-27) 衆惡之
407(15-28) 人能弘道
408(15-29) 過而不改
409(15-30) 吾嘗終日不食
410(15-31) 君子謀道不謀食
411(15-32) 知及之
412(15-33) 君子不可小知而可大受也
413(15-34) 民之於仁也
414(15-35) 當仁不讓於師
415(15-36) 君子貞而不諒
416(15-37) 事君
417(15-38) 有敎無類
418(15-39) 道不同
419(15-40) 辭達而已矣
420(15-41) 師冕見
16 季氏篇 (총 14장)
421(16-1) 季氏將伐臾
422(16-2) 天下有道
423(16-3) 祿之去公室五世矣
424(16-4) 益者三友
425(16-5) 益者三樂
426(16-6) 侍於君子有三愆
427(16-7) 君子有三戒
428(16-8) 君子有三畏
429(16-9) 生而知之者上也
430(16-10) 君子有九思
431(16-11) 見善如不及
432(16-12) 齊景公有馬千駟
433(16-13) 陳亢問於伯魚曰
434(16-14) 邦君之妻
17 陽貨篇 (총 26장)
435(17-1) 陽貨欲見孔子
436(17-2) 性相近也
437(17-3) 唯上知與下愚不移
438(17-4) 子之武城
439(17-5) 公山弗擾以費畔
440(17-6) 子張問仁於孔子
441(17-7) 佛召
442(17-8) 由也
443(17-9) 小子何莫學夫詩
444(17-10) 子謂伯魚曰
445(17-11) 禮云禮云
446(17-12) 色而內荏
447(17-13) 鄕原
448(17-14) 道聽而塗說
449(17-15) 鄙夫可與事君也與哉
450(17-16) 古者民有三疾
451(17-17) 巧言令色
452(17-18) 惡紫之奪朱也
453(17-19) 予欲無言
454(17-20) 孺悲欲見孔子
455(17-21) 宰我問三年之喪
456(17-22) 飽食終日
457(17-23) 子路曰君子尙勇乎
458(17-24) 子貢曰君子亦有惡乎
459(17-25) 唯女子與小人爲難養也
460(17-26) 年四十而見惡焉
18 微子篇 (총 11장)
461(18-1) 微子去之
462(18-2) 柳下惠爲士師
463(18-3) 齊景公待孔子曰
464(18-4) 齊人歸女樂
465(18-5) 楚狂接輿歌而過孔子曰
466(18-6) 長沮桀溺而耕
467(18-7) 子路從而後遇丈人
468(18-8) 逸民
469(18-9) 大師摯適齊
470(18-10) 周公謂魯公曰
471(18-11) 周有八士
19 子張篇 (총 25장)
472(19-1) 子張曰士見危致命
473(19-2) 子張曰執德不弘
474(19-3) 子夏之門人問交於子張
475(19-4) 子夏曰雖小道
476(19-5) 子夏曰日知其所亡
477(19-6) 子夏曰博學而篤志
478(19-7) 子夏曰百工居肆以成其事
479(19-8) 子夏曰小人之過也
480(19-9) 子夏曰君子有三變
481(19-10) 子夏曰君子信而後勞其民
482(19-11) 子夏曰大德不踰閑
483(19-12) 子游曰子夏之門人小子
484(19-13) 子夏曰仕而優則學
485(19-14) 子游曰喪致乎哀而止
486(19-15) 子游曰吾友張也爲難能也
487(19-16) 曾子曰堂堂乎張也
488(19-17) 曾子曰吾聞諸夫子
489(19-18) 曾子曰吾聞諸夫子
490(19-19) 孟氏使陽膚爲士師
491(19-20) 子貢曰紂之不善
492(19-21) 子貢曰君子之過也
493(19-22) 衛公孫朝問於子貢曰
494(19-23) 叔孫武叔語大夫於朝曰
495(19-24) 叔孫武叔毁仲尼
496(19-25) 陳子禽謂子貢曰
20 堯曰篇 (총 3장)
497(20-1) 堯曰咨爾舜
498(20-2) 子張問於孔子曰
499(20-3) 不知命
○ 부록 Ⅰ
Ⅰ. 論語序說宋, 朱熹
Ⅱ. 讀論語孟子法宋, 朱熹
Ⅲ. 孔子世家漢, 司馬遷(『史記』)
Ⅳ. 仲尼弟子列傳漢, 司馬遷(『史記』)
Ⅴ. 藝文志 六藝略 論語家漢, 班固(『漢書』)
Ⅵ. 七十二弟子解魏, 王肅(『孔子家語』)
○ 부록 Ⅱ
『論語』 원문
Author
주희,임동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