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주의에 입각해 수백 년의 역사를 기술하는 것이 자칫 어떤 독자에게는 대단히 불편하고 또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문학에서 사회적 요인이 없을 수는 없으나 이를 최소화하면서 작품들을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없지 않다. 이 책이 어느 정도로 사회성을 강조하는지에 대해서는 뭐라고 표현하기가 어렵다. 다만 맑스주의가 오해받고 있듯, 사회적 요인이 예술을 결정짓는 요소가 아니라는 것에 대한 믿음이 이 책의 저자들에게 있다는 것, 또한 “모든 예술은 사회적으로 조건지어져 있지만, 예술의 모든 측면이 사회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생각이 이들 사이에 공유되는 것은 이 작품이 지닌 적지 않은 미덕이다. 그리고 “의식이 생활을 규정하는 게 아니라, 생활이 의식을 규정한다”거나 “상부구조와 토대의 관계가 기계적이지 않다”는 등 1980년대 우리나라 대학가를 휩쓸었던 맑스주의의 매혹적인 명제들이 논리적으로 추억된다.
Contents
제V부 20세기: 위기의 군주정, 공화정, 내전
제1장 비인간화된 예술과 대중의 반란
서 문
1A. 노베센티스모와 그 추종자들
1B. 전위주의
1C. 공화정 시(詩) 세대
1D. 새로운 사실주의
제2장 스페인 내전(內戰)
서 문
2A. 좌파 지식인 운동: ‘연대를 방해하는 개인주의’에 대항하여
2B. 내전의 시인들. 새로운 로만세 가요집(歌謠集)
2C. 인민전선에 봉사하는 산문과 연극
2D. 파시스트 국가주의 사상가들과 최고 종교재판관의 자리
2E. “총성의 기적”: 파시즘의 찬양자들
2F. 봄의 선포와 호머의 부스러기들: 파시스트 산문과 연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