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잡기 4 (2022-1)

이슬람의 「꾸란」 · 동학의 수심정기
$23.60
SKU
979116519315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24 - Thu 01/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1 - Thu 01/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7/29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91165193157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이슬람의 『꾸란』에서는 우리가 얼마나 편견에 사로 잡혀 있었는지를 반성했다. 그간 미국이나 유럽 중심의 기독교적 시선에 집중하여 교육을 전개했던 만큼, 이슬람의 선(善)한 교육철학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었다. 아니, 전혀 드러내지도 못한 채, 그냥 깊은 땅 속에 파묻혀 버려졌다. 자카트를 비롯하여 이슬람이 추구하는 다양한 삶의 양상은 인간에 대한 예의와 배려를 일러 주었다. 『꾸란』의 계시에 감사한다. 그것을 독해하며 호흡할 수 있었다는 사실 자체가 고맙다. 내 학문 생애의 축복(祝福)이다.

동학(東學)의 ‘수심정기(守心正氣)’를 확인하면서는, 우리의 교육적 사유를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철학의 뿌리를 발견했다. 이 또한 내 학문 인생의 은총(恩寵)이다. 단순히 형이상학적 사유나 형이하학적 실천의 구별이 아니라, 무한 세상과 유한 세계를 동시에 펼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는 듯하다. 우주 자연과 인간 사회의 생명력 넘치는 기운! ‘인내천(人乃天)’의 외침 가운데 인간 사회의 생명력이 무엇을 지향하는지, 교육철학의 관건(關鍵)을 새롭게 확인했다.
Contents
1월 1

1월. 내가 나에게 전하는 말 2
이슬람, 융합과 복합, 그 문명의 요람을 위해 5
「꾸란」1: 인간교육의 차원 9
「꾸란」2: 자카트의 정결, 예배의 겸허 11
「꾸란」3: ‘경건’의 시공간-나눔과 인내의 성실성 14
「꾸란」4: 받아들임, 그 관용의 힘 18
「꾸란」5: 마음에 금이 간 자와 분별 있는 사람의 반성 20
「꾸란」6: 공정(公正)의 절대 가치 22
「꾸란」7: 포기의 속죄가 던지는 내면의 신성 25
「꾸란」8: 누구도 다른 사람의 짐을 질 수는 없다! 28
「꾸란」9: 공평한 저울의 눈이 뿜어내는 영달 31
「꾸란」10: 쉽게 읽히지 않는 하느님의 말씀 34
「꾸란」11: 진리를 향한 영혼의 소리와 인내 36
「꾸란」12: 회개하는 지성의 희사(喜捨) 39
「꾸란」13: 자신에게 계시된 그대로 인내하라 42
「꾸란」14: 하고 싶은 일을 하라! 46
「꾸란」15: 꿈이 던지는 메시지 사이에서 48

2월 51

「꾸란」16: 지상낙원의 열매와 그늘 52
「꾸란」17: 뿌리가 튼튼한, 교육받은 인간의 말씀 56
「꾸란」18: 신탁(神託)에의 의지 58
「꾸란」19: 세 가지 교육 생명, 공정과 선행과 증여 60
「꾸란」20: 어둠에서 탐색하는 배려의 지혜 63
「꾸란」21: 동굴의 메시지, 현세의 장식과 선행 66
「꾸란」22: ‘탄생-죽음-부활’의 3박자에 녹아내리는 자비 70
「꾸란」23: 마음의 충만을 위한 진리의 찬송 73
「꾸란」24: 밀담(密談)을 거두고 마법(魔法)에서 벗어나라 76
「꾸란」25: 마음의 장님에 머무를 텐가! 80

3월 83

「꾸란」26: 낙원을 상속받는 존재가 될 수 있을까? 84
「꾸란」27: 뜻하는 자에 대한 축복 87
「꾸란」28: 존재의 정리와 질서 부여 90
「꾸란」29: 교육의 경고자(警告者) 92
「꾸란」30: 교육의 귀의자(歸依者) 96
「꾸란」31: 행복을 이끄는 조건, 거만(倨慢) 경계 99
「꾸란」32: 스스로 집을 만드는 거미의 깨달음 101
「꾸란」33: 지식을 갖지 않는 자의 마음 봉인(封印) 105
「꾸란」34: 흥미본위의 경계에서 찾는 낙원 108
「꾸란」35: 창조에 귀의하는 희사 110
「꾸란」36: 교육의 경계에서 부정을 청정으로 113
「꾸란」37: 의심을 해소해 나가는 낮은 울타리 116
「꾸란」38: 자진(自進)하는 선행, 위대한 은혜 119
「꾸란」39: 두려움을 심는 철학 122
「꾸란」40: 인내력과 시련의 사이 세계 124
「꾸란」41: 지혜 창출의 근거, 뉘우침과 깨달음 126

4월 12

「꾸란」42: 배신의 세월 건너 지식과 심사(深思) 128
「꾸란」43: 교육받지 않는 존재에 대한 경고 131
「꾸란」44: 복음과 경고, 예방과 치료 133
「꾸란」45: 지식의 속성, 지조 있는 인간 135
「꾸란」46: 교육은 무엇을 장식하는가? 138
「꾸란」47: 놀이와 향락, 그리고 억측(憶測)의 연기(煙氣) 140
「꾸란」48: 교육적 승리의 요건, 정적(靜寂)과 자제(自制) 145
「꾸란」49 소리를 낮추는 차분함의 공정성 147
「꾸란」50: 수고한 만큼의 보상 150
「꾸란」51: 언어의 위대성, 물과 불은 어디서 오는가? 152
「꾸란」52: 희사로 실천되는 궁핍 해소 155
「꾸란」53: 탐욕(貪慾)의 경계(警戒) 지대 159
「꾸란」54: 교육의 나침반 161

5월 165

「꾸란」55: 탐욕(貪慾)의 억제와 반전(反轉) 166
「꾸란」56: 붓이 기록하는 힘 168
「꾸란」57: 기도의 향연에서 보내는 경고 170
「꾸란」58: 인간으로 불릴 만큼의 일도 없었던 시기 173
「꾸란」59: 영혼의 파수꾼 175
「꾸란」60: 과거 종합(綜合)의 ‘붓’, 미래 통섭(統攝)의 ‘미지(未知)’ 177
「꾸란」61: 인내를 권장하는 가운데 신의 가호가 180
동학0-천지개벽(天地開闢), 새로운 교육을 열어 나갈 수 있을까? 182
동학1 「포덕문」①-자연의 질서, 인간의 어리석음 185
동학2 「포덕문」②-교육이 지향할 그곳 187
동학3 「포덕문」③-부정적 삶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189
동학4 「포덕문」④-상처 입은 영혼의 치유 191
동학5 「포덕문」⑤-교육을 회피할 것인가! 193
동학6 「논학문」①-교육, ‘하늘-땅-사람’의 유기체가 빚어내는 우주
대사업 195
동학7 「논학문」②-무지, 바탕에 관한 깨달음의 미비 199
동학8 「논학문」③-‘수련(修煉)-교인(敎人)-포덕(布德)’의 교육철학 201
동학9 「논학문」④-21글자에 담긴 교육철학의 핵심 203
동학10 「논학문」⑤-공평한 인간에서 교육받은 사람으로 206
동학11 「논학문」⑥-삶의 귀함과 즐거움 208
동학12 「논학문」⑦-비어 있음을 채우는 양식 210
동학13 「논학문」⑧-두 갈래 길에서 휩쓸리는 방황 212
동학14 「수덕문」①-교육의 연원에서 찾는 성덕(盛德) 214
동학15 「수덕문」②-자연 질서 이행의 대동소이 216
동학16 「수덕문」③-수심정기의 대명제 앞에 218
동학17 「수덕문」④-용모선풍(容貌仙風)과 숙병해소(宿病解消)의 미학 220
동학18 「수덕문」⑤-깊은 깨달음의 정진 222

6월 225

동학19 「수덕문」⑥-마음의 확신에서 정성의 교육으로 226
동학20 「불연기연」-영원한 타자에서 내 안의 세계로 227
동학21 「불연기연」①-존재의 기원과 분간의 어려움 230
동학22 「불연기연」②-근원의 불연(不然), 현실의 기연(其然) 233
동학23 「불연기연」③-알 수 없는 근원의 기연(其然) 235
동학24 「불연기연」④-유형의 차원, 무형의 이치 237
동학25 「불연기연」⑤-불연의 탐험 239
동학26 「불연기연」⑥-불연의 너비와 깊이 241
동학27 「불연기연」⑦-불연기연의 사(事)와 리(理) 244
동학28 「불연기연」⑧-동학의 주문 245
동학29 「탄도유심급」①-굳건한 마음 247
동학30 「탄도유심급」②-교육의 마음 자세와 태도 248
동학31 「탄도유심급」③-조급하지 않은 마음 가운데 251
동학32 「탄도유심급」④-인간의 길이 멀리 있는가? 254
동학33 「여덟 구절에 담은 뜻」①-알지 못하거든 257
동학34 「여덟 구절에 담은 뜻」②-다시, 알지 못하거든 259
동학35 글을 쓴다는 사업 261
동학36 통문(通文)-배우고 알아야 할 일 265
동학37 통유(通諭)-깨우치고 깨달아야 할 일 267
4권의 마무리, 다른 시작을 위한 침묵 269
Author
신창호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서양철학 및 한국철학,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서양 교육철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사상을 비롯하여 동서양 고전의 현대 교육학적 독해 및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후학들에게는 교육학 및 한국 전통교육 사상을 강의하면서,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 동양학 및 한국학, 교육학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전통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성찰하고 재조명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사서의 수기론’, ‘중용의 교육사상’,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공자평전’, ‘노자평전’, ‘공부 그 삶의 여정’, ‘관자’, ‘함양과 체찰’ ‘주역절중’ 등의 저역서가 있고 ‘유교의 학습철학’, ‘유교의 자아실현관과 삶의 맥락’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서양철학 및 한국철학,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서양 교육철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사상을 비롯하여 동서양 고전의 현대 교육학적 독해 및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후학들에게는 교육학 및 한국 전통교육 사상을 강의하면서,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 동양학 및 한국학, 교육학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전통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성찰하고 재조명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사서의 수기론’, ‘중용의 교육사상’,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공자평전’, ‘노자평전’, ‘공부 그 삶의 여정’, ‘관자’, ‘함양과 체찰’ ‘주역절중’ 등의 저역서가 있고 ‘유교의 학습철학’, ‘유교의 자아실현관과 삶의 맥락’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