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이 가져온 처참한 상황과 정신적 상처와 우울 등을 인간 존재의 부조리 측면에서 파악하고 형상화한 문학.
한국전쟁이라는 주제를 이념적 차원에서 전유하려는 기성 작가들에 대항해, 자신의 생존을 위해 타인을 죽이는 인간 존재의 부조리함과 세계에 대한 깊은 환멸을 담아내고자 했다. 1950년대 중반 전후세대 작가와 시인들의 작품에서 시작되었다. 전후문학은 근대 이후 한국에서 이루어진 근대적 기획들을 근본적으로 해체하고 또 다른 윤리의 필요성을 적극 환기했는데, 이들의 성과를 토대로 1960년대에 4·19세대가 또 다른 근대적 주체와 윤리를 모색해 나갔다.
전후문학은 195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손창섭, 장용학, 오상원, 이범선, 박인환, 김경린 등 소위 전후세대 작가와 시인들의 작품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한국전쟁이라는 주제를 이념적 차원에서 전유하려는 기성 작가들에 대항해 자신의 생존을 위해 타인을 죽이는 인간 존재의 부조리함이라는 측면에서 맥락화하고자 하였다.
즉 이들 전후세대 작가들은 전쟁을 자신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예외상태로 인정하기보다는 전쟁이라는 폭력을 통해서라도 이념을 구현하고자 하는 근대세계에 대한 깊은 환멸을 보였다. 또한 그런 부조리한 질서에 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순종하는 자세로 살아갔던 인간 전체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회의를 표현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