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더러운 철학

$15.15
SKU
9788957691120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01/2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57691120
Description
“철학자와 사기꾼은 얼마나 다른가.”저자는 스스로를 향해 이 질문을 끊임없이 되물으며 『더러운 철학』에서 그 내용을 담았다. 저자는 현실 도처에 뿌리내리고 있는 다양한 철학 담론들 속에서 더러움을 찾아낸다. 그가 골라낸 ‘더러운 철학’은 ‘노자의 무위자연’ ‘도올의 대중 철학’ ‘들뢰즈/가타리의 리좀·노마디즘·전쟁기계’ ‘네그리의 다중’ 등의 다양한 담론이다. 책에서 저자가 말하는 ‘더러움을 무릅쓰는’ 철학은 폭력과 근본주의 사이를 오가며 치고 치이는 양상을 보이며 그 담론 대결을 펼치고 있다. 저자는 현대 서양철학의 대표적 논쟁거리인 ‘리좀’ ‘전쟁기계’ ‘노마디즘’을 차례로 불러내며 이 용어들의 철학적 쓰임새의 ‘더러움’을 논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시사점을 안겨준다.
Contents
머리말 _ 철학, 더러움에 빠지고 더러움을 무릅쓰다

1부 _ 철학자, 더러운 직업
― 어떤 참견
철학자여, 지난밤에 안녕하셨나 | 두 통의 메일, 주름진 미간
― 철학자, 사기꾼과 얼마나 다른가
누구나 ‘기만’하는 시대 | 사기의 ‘앞면과 뒷면’ | 철학, 지적 사기인가
― 샌드위치 철학
샌드위치―진부한 일상과 위대한 철학 사이에 끼다 | 샌드위치―더러운 권력과 위대한 정치 사이에 끼다 | 끼이기와 끼기 사이에서 살아남기
― 철학, 죽음에 이르는 개그
철학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 직업으로서의 철학의 출현 | 철학의 격, 개그의 격
― 거대한 적(敵), 소소한 언어
말들의 고향, 개념 | 거대한 적, 소소한 언어 | ‘나쁜 개념’을 말할 때 어떻게 분노해야 하나
― 철학과 문화, 인수합병
한겨울의 사회, 엷은 체온의 철학 | 조잡한 처방, 조로한 철학 | 문화로의 적대적 인수합병
― 철학자, 더러운 직업
철학자, 더러운 직업 | 철학이 더러울 수밖에 없는 이유 | 자각이라는 따끔따끔한 통증 | 더러워질 수밖에 없는 이유 난 모르오, 웃은 죄밖에

2부_철학, 더러움에 빠지다
― 이로운 철학, 해로운 철학
황혼녘의 의문, 정녕 철학은 이로운가 | 단절의 옹벽―동서양철학 | 단절의 옹벽―현실과 교육철학 | 단절의 옹벽―교육철학과 관념철학
― 노자의 ‘무위자연’, 더러움에 빠지다
상투적인 기술문명 위기론을 넘어 | 노자의 형이상학적 자연을 넘어 | 생태 근본주의적 ‘자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자연 이데올로기, 또 다른 생명권력 | 실천적 지식의 구조
― 노자철학은 더러운 문명을 해체할 수 있을까
사두(蛇頭) | 노자는 동양의 해체이고 해체는 서양의 노자인가 | 노자조차도 해체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이다
― 도올 김용옥, 권력과 상품의 철학
대중적 스타철학자의 무대 장치 | 철학의 대중화가 필요한가 | 우리 모두의 동양 고전 | 근본주의적 해석학과 매스컴 중독증 | 고전의 정치적 남용

3부 철학, 더러움을 무릅쓰다
― 철학, 더러운 담론
보편적 지식인이라는 보편적 오해 | 담론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또다른 해석 | 비판적 지식인, 그는 누구인가 | 담론과 권력 관계의 재해석 | 더러운 담론 무릅쓰기 | 더러운 담론에 부딪히기
― 철학, 나무에게 더럽다고 말하다
분열된 욕망, 찢어진 독해 | 리좀은 과연 나무문화의 뿌리를 뽑을 수 있을까 | 리좀은 위험하지도, 안전하지도 않다 | 영토화, 탈(脫)영토화의 이어달리기 | 나무와 리좀, 형용모순의 관계 | 근원과 중심이 아닌, 또다른 목표
― ‘전쟁 기계’라는 더러움
전쟁기계에 대한 인문학적 오해와 과장 | 전사의 탄생 | 전사의 탈을 벗어야 전사가 될 수 있다
― 노마디즘, 더러움 속에서 더러움을 무릅쓰는
진흙 속의 노마디즘 | 착한 노마디즘, 나쁜 노마디즘 | 노마드를 위한, 낡은 지도 한 장
― 엉뚱하고 삐딱하면서도 우스우면서도 심오한 주체들
최초의 궁리, 최후의 궁리 | 진보도 단순한 진영논리에서 벗어나야 한다 | 개체들은 구체적 순간에 집단지성과 다중으로 진화하는가 | ‘엉삐우심’ 주체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철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철학자와 문학비평가의 길을 가며 텍스트를 분석했지만, 텍스트 해석만으로는 세상이 보이지 않았다. 정치로서의 삶과 직면해야 했다. 계간 『사회비평』 편집주간, 저널룩 『인물과 사상』과 계간 『황해문화』편집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Hermeneutik als Wille zur Macht』 『탈형이상학과 탈변증법』 『초월에서 포월로』 『니체에서 세르까지』『이상현실·가상현실·환상현실』 『폭력과 싸우고 근본주의와도 싸우기』 『소외에서 소내로』 『포월과 소내의 미학』『기우뚱한 균형』 『니체는 왜 민주주의에 반대했는가』 『더러운 철학』 『우충좌돌』 『소외되기-소내되기-소내하기』 『강한 인공지능과 인간』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