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사회적 측면에 주목한 본격적인 ‘장애학’(Disability Studies) 서적으로, 진보적 장애 이론을 정립하려는 개척적인 저작이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실장 김도현은 이 책을 통해 장애학 실천의 이론적 근거를 모색한다. 장애를 특정한 역사적 맥락 내에서 발전하는 사회-경제적 관계의 산물로 보는 사회적 장애이론의 관점을 견지하면서, 맑스주의에 다양한 이론적 자원들을 비판적으로 결합하여 유연하면서도 급진성을 잃지 않는 이론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1부는 영국의 사회학자 마이클 올리버(Michael Oliver)가 『장애의 정치』(The Politics of Disablement, 1990)를 통해 확립하여 현대 장애학의 가장 유력하고 결정적인 개념 틀로 자리 잡은 ‘사회적 장애이론’(Social Theory of Disability)을 소개하고, 2부에서는 이 이론을 토대로 하여 장애가 현실적으로 지구화, 노동, 제도 정치라는 쟁점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본다. 장애 이론에 대한 바른 이해는 장애 해방을 넘어 연대와 진보를 추구하는 사회 건설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Contents
책을 내며
제1부 장애학과 사회적 장애이론
1장 _장애학이란 무엇인가?
1. 장애학의 기본적 성격과 특징 | 2. 장애학 등장의 배경과 발전 | 3. 다양한 장애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 틀
2장 _ 사회적 장애이론의 성립과 장애 정의
1. 사회적 장애이론의 성립 | 2. 장애의 정의
3장 _ 사회적 장애이론의 기본적 이해
1. 장애의 사회문화적 구성 | 2. 자본주의의 등장과 장애 | 3. 자본주의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장애
4장 _ 장애이론 내의 비판과 논쟁들
1. 손상과 장애의 관계 | 2. 장애인 내부의 공통성과 차이 | 3. 장애 및 장애차별주의의 형성과 문화
제2부 진보적 장애인운동과 장애학의 쟁점들
5장 _ 장애와 지구화
1. 지구화를 바라보는 관점 | 2. 복지국가 위기론과 사회투자국가 | 3. 신자유주의적 지구화와 장애 정책
6장 _ 장애와 노동
1. 시민권, 노동, 사회적 배제 | 2. 기능주의의 설명과 맑스주의적 관심 | 3. 애벌리의 주장이 제기하는 현실적·이론적 쟁점들 | 4. 노동 중심 사회의 극복인가, 새로운 노동 사회의 구축인가
7장 _ 장애 정치
1. 신사회운동으로서의 장애 정치 | 2. 제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장애 정치 | 3. ‘당 좌파와 사회운동 좌파 간의 연합’이라는 문제 설정 | 4. 정치의 이중성 테제 | 5. 확장된 정치의 이중성 테제와 장애 정치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1974년생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를 졸업했다. 대학에 입학하던 해인 1996년, 에바다복지회에서 발생한 비리 사태를 접하며 장애인운동을 시작한 후, 전국에바다대학생연대회의, 노들장애인야학, 장애인이동권연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계간 『함께 웃는 날』 등에서 활동하며 줄곧 그 현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는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이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이고, 노들장애인야학 부설 기관인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이기도 하다. 노들장애인야학의 교칙 전문前文을 새로 고쳐 쓴 일, ‘야학夜學’을 ‘야학野學’으로 변경하자고 제안한 일을 생의 큰 영광이자 보람 중 하나로 여긴다.
쓴 책으로 『차별에 저항하라』, 『당신은 장애를 아는가』, 『장애학 함께 읽기』, 『장애학의 도전』 등이 있으며, 『우리가 아는 장애는 없다』, 『장애학의 오늘을 말하다』, 『철학, 장애를 논하다』, 『장애와 유전자 정치』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2004년에 정태수열사추모사업회가 수여하는 제2회 정태수상을, 2009년에 김진균기념사업회가 수여하는 제4회 김진균상(사회운동 부문)을 수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