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먼저 한국유학의 본질과 특성이 인간을 중시하는 점에 있고 또 이러한 사고가 군자국君子國으로부터 내려오는 우리의 전통이었음을 밝힌다. 이어 한국유학의 정신이 유학 본래의 정신과 어떤 점에서 같고 다르며, 또 어떻게 한국적으로 발전하였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유학사상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현실사회의 여러 분야에 어떻게 응용되고 기능하였는지를 포괄적이고 통섭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한국유학이 유학 본래의 정신을 잘 계승하면서도 항상 현실성, 시의성時宜性에 유념하여,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원동력으로 우리 민족사의 발전에 주도적인 구실을 해왔음을 밝히는 데 주안을 두었다.
Contents
自序
머리말
1. 고대의 유학
君子國의 전통과 한국유학의 본질
삼국시대의 유학
1) 삼국시대 유학의 개관
2) 고구려의 유학
3) 백제의 유학
4) 신라시대의 유학
통일신라시대의 유학
1) 문무왕의 정치이념에 나타난 輔國安民思想
2) 신라의 교육사상과 국학의 건립
3) 통일 이후의 田制改革과 유학사상
4) 당대 문화의 수입과 입당 유학생
5) 신라 말기 학술사상의 변천과 도참설
6) 신라의 유학자상
2. 고려시대의 유학
고려 전기의 유학
1) 고려 전기 유학의 개관
2) 고려 태조의 통치이념과 통치이념과 유교
3) 성종의 문화정책과 崔承老의 時務論
고려 후기의 유학
1) 고려 말의 사회상과 학풍의 변천
2) 주자학의 전래와 안향
3) 여말 유학자의 儒彿觀
4) 여말 성리학파의 양대 조류
3. 조선시대와 현대의 유학
조선 전기의 유학
1) 조선 전기 유학의 간관
2) 세종시대 문화와 유학사상
3) 조선시대 도학사상
4) 성리학의 융성과 퇴계·율곡
5) 壬丙兩亂과 의리사상
조선 후기의 유학
1) 조선 후기 유학의 개관
2) 양명학의 전래와 그 이해
3) 실학사상의 대두와 사회적 영향
4) 西學의 전래와 그 영향
5) 조선 말기의 정세와 자주정신
현대의 유학
1) 항일투쟁과 유교정신
2) 광복이후의 유교
3) 유교의 교화 활동과 과제
4) 성균관 향교의 조직 및 활동
5) 성균관대학교의 전통과 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