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고전 32선

$20.52
SKU
979118714130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9/05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87141303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 하루에 한 철학자의 사상을 알아가는 철학고전 !
- 영국 철학자가 철학에 접근하고, 인식하는 새로운 시각의 과정

고전이란 세월이 지나도 독자들에게 감명을 주는 작품들을 말한다. 고전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쟁점이 되는 시대적 문제들을 다룬다. 또한 고전들은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그리고 고전은 시대를 뛰어넘어 여러 사람들을 매료시킨 베스트셀러들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여기 소개한 『철학고전 32선』은 그에 걸맞은 철학자들을 소개해줄 것이다.

『철학고전 32선』은 플라톤의 『국가론』에서부터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에 이르기까지,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철학의 고전들을 소개하고 분석한다. 총 32권의 작품들을 각 장 별로 한 권씩 다루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철학자들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철학에 갓 입문하였거나 지대한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은 철학사의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명저들을 서로 비교 분석해볼 수 있다.

『철학의 기초』와 『철학의 고전』 등 다수의 철학 입문서를 집필한 영국 개방대학교 전(前)교수 나이절 워버튼은 철학교수로서의 공력이 돋보이는 날선 비판들을 제공하여 사상가들에 대해 다양한 핵심사상을 제공한다. 단순한 해석에 그치지 않고 여러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세심한 해설을 덧붙이는 것도 잊지 않았다. 서문에서도 밝히듯이 32권의 고전을 선별하는 방식에서는 워버튼의 진보적이고 실존주의적인 면모가 엿보인다. 또한 철학이 사회에 실제로 어떻게 기여하는지 보여주려고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철학서적들이 독일의 철학자들에 의해 쓰인 반면, 이 책은 영국 철학자의 시각에서 철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Contents
차 례
1. 플라톤 『국가』(The Republic)
2.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Nicomachean Ethics)
3.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4. 니콜로 마키아벨리 『군주론』(The Prince)
5. 미셸 드 몽테뉴 『수상록』(Essays)
6. 르네 데카르트 『성찰』(Meditations)
7. 토마스 홉스 『리바이어던』(Leviathan)
8. 바루흐 드 스피노자 『윤리학』(Ethica)
9. 존 로크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10. 존 로크 『』(Second Treatise of Governmnet)
11. 데이비드 흄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12. 데이비드 흄 『』(Dialogues Concerning Natural Religion)
13. 장 자크 루소 『』(The Social Contract)
14.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Critique of Pure Reason)
15. 임마누엘 칸트 『도덕형이상학의 기초』(Groundwork of the Metaphysic of Morals)
16. 토마스 페인 『인권』(Rights of Man)
17.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The World as Will and Idea)
18.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On Liberty)
19. 존 스튜어트 밀 『공리주의』(Utilitarianism)
20. 키에르케고르 『이것이냐 저것이냐』(Either/Or)
21. 마르크스와 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제1부』(The German Idealogy, Part One)
22. 프리드리히 니체 『선악의 너머』(Beyond Good and Evil)
23. 프리드리히 니체 『도덕의 계보학』(On the Genealogy of Morality)
24. 버트란드 러셀 『철학의 문제들』(The Problems of Philosophy)
25. A. J. 에이어 『언어, 진리 그리고 논리』(Language, Truth and Logic)
26. R. G. 콜링우드 『예술의 원리들』(The Principles of Art)
27.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Being and Time)
28. 장 폴 사르트르 『존재와 무』(Being and Nothingness)
29. 장 폴 사르트르 『실존주의와 휴머니즘』(Existentialism and Humanism)
30. 칼 포퍼 『열린사회와 그 적들』(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31.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vestigations)
32.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색인

Author
나이절 워버턴,오희천
브리스톨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팅햄대학 및 영국 개방대학교Open University에서 철학교수로 재직하였고 현재는 은퇴했다. 『철학의 기초』와 『철학의 고전』 등 다수의 철학 입문서를 집필했다.
브리스톨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팅햄대학 및 영국 개방대학교Open University에서 철학교수로 재직하였고 현재는 은퇴했다. 『철학의 기초』와 『철학의 고전』 등 다수의 철학 입문서를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