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곳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강의가 이뤄질 것이다. 그리고 법조인에 대한 사회의 기대수준이 있는 것을 고려해보면 법률 전문가로서 우리 법조인의 강의는 어느 정도의 수준과 품격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그 수준을 맞출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본서는 수많은 법조인의 강의를 모니터 하고 또한 대중방송 등에서의 멘토링도 보면서 평가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썼다. 문제 사례를 분석하고 베드 케이스(bad case) 스터디 구성 방식을 통해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1
I. 서론 7
1. 강의를 할 기회 8
2. 법조인이 강의를 잘하면 좋은 이유 9
3. 강의의 응용과 확장 12
4. 강의와 법조인의 일상과 업무생활과의 관계 16
5. 강의는 종합예술 16
6. 늘 뻔한 변명: 시간과 여유, 비용이 부족하다 17
7. 강의에서 깨지다 18
8. 용어상의 정의 19
9. 강의평가를 잘해야 나도 강의를 잘한다 20
10. 법조인이 의외로 무지하다 21
II. 실수하는 사례 - 강의 기법 기술상의 문제 사례 23
1. 자기 자랑 스타일 24
2. 위화감 조성 스타일 24
3. 1분 안에 말할 것을 10동안 말하는 스타일 27
4. 준비 안 한 게 너무 티 나는 스타일 27
5. ‘무례’라는 말을 잘 쓰는 스타일 28
6. 중언부언 하는 스타일 29
7. 유머가 너무 없는 스타일 29
8. 욕이나 상스러운 표현을 즐겨하는 스타일 31
9. 사람들과 눈을 못 맞추는 스타일 32
10. 책 읽어주는 강의 스타일 33
11. 너무 자신감에 차 있는 강의 33
12. 너무 청중에게 끌려가는 강의 34
13. 무대장치나 강단의 기기 다루는 게 서투른 사람 35
14. 질문을 못하게 하는 스타일 36
15. 다시 안볼 사람처럼 강의하는 것 36
16. 너무 완벽한 강의를 추구하는 스타일 37
17. 매너리즘에 빠진 강의 37
18. “오늘이 강의 처음인데요.” 말하고 시작하는 강의 37
19. 나쁜 말버릇이 너무 극명히 드러나는 스타일 38
III. 실수하는 사례 - 강의 내용상의 문제 사례 41
1. 강의를 듣는 사람의 눈높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스타일 42
2. 다 아는 이야기를 하는 강의 44
3. 알맹이가 없는 강의를 하는 스타일 44
4. 전혀 엉뚱한 주제의 강의를 하는 사람 45
5. 다른데서 했던 것과 같은 레퍼토리의 강의 45
6. 주제 집중 못하고 이것저것 많이 하는 강의 46
7. 듣고 나서 뭘 들었는지 모르겠는 강의 47
8. 인과관계가 너무 부족하게 이야기 하는 강의 47
9. 너무 법조이야기만 하는 스타일 47
10. 정보요소가 없는 강의 48
11. 감동요소가 없는 강의 48
12. 문제적 발언으로 충격에 빠지게 하는 강의 49
13. 시간 개념이 희박한 강의 50
IV. 강의 이론 일반 53
1. 강의의 종류 54
2. 이런 강의는 좋은 강의일 것이다 56
V. 강의의 일반 성공 전략 61
1. 청중에 대한 사전 파악이 중요하다 62
2. 선택권을 상대방이나 손님에게 63
3. 핵심메시지를 외워서 가야 한다 64
4. 기승전결 의식 64
5. 정보와 감동 주기 65
VI. 강의의 특수적 사례 전략 소개 67
1. 트렌디한 부분을 소개하면 기본은 먹고 간다 68
2. 현장 경험 이야기를 하면 역시 절반은 간다 69
3. 해외 이야기도 돌파구가 된다 69
4. 융합적 이야기도 동아줄이 된다 70
5. 한계상황 설정 - 긴 강의를 짧게 해달라고 요청 받을 때 70
VII. 좋은 강의를 준비하기 위한 핵심 전략 -초연결 73
1. 초연결이란 무엇인가? 74
2. 초연결의 의의 75
3. 뛰어난 강의는 이런 강의 76
4. 초연결을 잘하려면 77
5. 쉬어가는 페이지 78
6. 이채로운 경험을 절대로 그냥 넘기지 마라 78
7. 초연결이 잘되면 효과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