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야휘집 완역본 제3책

$54.00
SKU
979119808448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30 - Wed 06/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Wed 05/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5/31
Pages/Weight/Size 153*230*40mm
ISBN 9791198084484
Categories 대학교재 > 어문학 계열
Description
고전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역작, ‘동야휘집’ 완역본이 탄생했다. ‘동야휘집’은 조선 3대 야담집으로 조선 후기 짤막한 야담들을 주제별, 인물별로 통합 증보한 한문 고전이다. 이 방대한 원전을 우리말로 모두 풀어낸 ‘동야휘집’ 완역본은 우리 옛이야기의 보고이자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김현룡 선생님과 제자 7명이 온 힘을 기울여 엮어낸 결실이다. 오사카시립도서관본을 저본으로 16권 8책 260편을 빠짐없이 번역했으며 동양 고전과 중국 역사에서 비롯된 고사와 난해구를 고증하여 각주로 정리했다.

『동야휘집』은 조선 후기 문신 이원명〈李源命;순조7(1807)~고종24(1887)〉이 편찬한 야담집이다. 학계에서는 『계서야담』, 『청구야담』과 더불어 조선 후기 3대 야담집으로 꼽을 만큼 자료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조선 후기 많은 야담집이 편찬되었지만 『동야휘집』과 같이 서문과 범례를 통해 명확하게 편찬 의도와 방안, 서술 형식을 설명한 작품집은 찾아볼 수 없다. 『어우야담』과 『기문총화』 등의 기존 야담집에서 가져온 설화의 내용을 최대한 고증하고 새롭게 민간의 이야기를 채집하여 증보하였기 때문에, 한 편의 이야기 속에 여러 이야기가 융합되어 실려 있다. 그리고 중국 고대의 역사 사실이나 고사가 문장 속에 매우 많이 혼융되어 있으며, 고대 문헌에만 드물게 등장하는 난해한 단어들이 무수히 등장한다. 편찬자의 이러한 학구적인 저술 형태와 저본의 불확실성 때문에, 그 자료적 가치가 지대함에도 그동안 우리말 완역이 이루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해천서당(海川書堂) 김현룡 교수는 완역의 필요성을 절감하던 중, 후학들과 5년여에 걸쳐 원전 강독을 마치고 마침내 완역의 결실을 보게 되었다.

현재 전하는 『동야휘집』 이본은 다양하다. 260편의 가장 많은 편수를 담고 있는 오사카시립도서관본(大阪府立圖書館本)과 장지영본이 있고, 천리대본, 가람문고본, 서울대본, 규장각본, 국립중앙도서관본, 연세대본 등이 전한다. 이 가운데 16권 8책의 오사카시립도서관본을 편찬자의 원본에 가장 근접한 이본으로 학계에서 평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완역의 저본으로 삼았다.
Contents
역자 서문 『동야휘집』완역본을출간하며 5
원전 서문(原典序文) 동야휘집(東野彙輯) 32
동야휘집범례(東野彙輯凡例) 35
동야휘집총목(東野彙輯總目) 37

동야휘집(東野彙輯) 완역본 제3책

○ 동야휘집 권지구(東野彙輯 卷之九)
좌수의 다섯 딸 관장 치죄(官長治罪) 놀이하여 시집가게 되다 41
9-1.〈125〉 오녀가인태수희(五女嫁因太守戱)
어사 박문수(朴文秀)의 중매로 두 남매의 혼인 함께 이뤄지다 51
9-2.〈126〉 양랑혼유어사매(兩郞婚由御史媒)
세 시체 안장해 주고 도와준 여인 만나 보은으로 벼슬하다 58
9-3.〈127〉 휼삼장우녀등사(恤三葬遇女登仕)
네 사람 목숨 구해 준 보답으로 묘지를 허락 받아 발복하다 68
9-4.〈128〉 구사명점산발복(救四命占山發福)
습득한 은 주머니 돌려주어 만년(晩年)에 보답으로 행복 누리다 75
9-5.〈129〉 환은포보이만복(還銀包報以晩福)
인덕(仁德)을 베풀어 산촌에서 인삼 캐고 기이한 재물 얻다 91
9-6.〈130〉 채삼전수기기화(採蔘田?其奇貨)
우애 돈독한 아우가 집을 나가 흉가에서 은을 얻어 부자 되다 102
9-7.〈131〉 독우애피거획은(篤友愛避居獲銀)
호쾌한 기개로 시골 상인 속인 서울 상인을 위협해 돈을 빼앗다 109
9-8.〈132〉 정호기인상략전(逞豪氣因商掠錢)
이여송(李如松)을 모신 역관 천하일색을 원하여 얻어 혼인하다 116
9-9.〈133〉 원견일색득성혼(願見一色得成婚)
역관 홍순언(洪純彦)이 기녀에게 일천 금 주어 뒷날 보답 받다 127
9-10.〈134〉 경연천금수보은(輕捐千金受報恩)
은혜 입은 암행어사 관장의 비리 덮어 주고 승진을 도와주다 133
9-11.〈135〉 감구은묵쉬등포(感舊恩墨?登褒)
전날 은혜 보답하여 가난한 선비를 벼슬자리 얻게 해 돕다 145
9-12.〈136〉 수전혜궁유서사(酬前惠窮儒筮仕)
관장 총애 입은 겸인(?人)이 재산 모아 은혜에 보답하다 156
9-13.〈137〉 애겸축재상덕혜(愛?蓄財償德惠)
민백상(閔百祥)이 끼쳐 준 돈을 불려 그 자손에게 은혜 갚다 162
9-14.〈138〉 구막식화수은의(舊幕殖貨酬恩義)
영남루(嶺南樓) 원귀 주기(朱?) 들고 와서 신원을 호소하다 168
9-15.〈139〉 남루거주기소원(南樓擧朱?訴寃)
북창(北窓)에서 녹의(綠衣) 원혼이 신원하여 검시를 행하다 178
9-16.〈140〉 북유접록의행검(北?接綠衣行檢)
악노(惡奴)의 화변(禍變)을 제거하여 처녀 원수를 갚아 주다 184
9-17.〈141〉 제악노처변보수(除惡奴處變報讐)
요사한 계모 무당을 죽여 처녀 원수를 갚고 재앙 면해 주다 193
9-18.〈142〉 에요무전구피화(?妖巫?仇避禍)

○ 동야휘집 권지십(東野彙輯 卷之十)

엄격한 권 진사(權進士) 기지로 질투 심한 자부를 설복시키다 203
10-1.〈143〉 엄구권술습투부(嚴舅權術?妬婦)
지혜 있는 관장이 계책으로 제주도 우황을 독점하여 가지다 216
10-2.〈144〉 지쉬정계각도화(智?逞計?島貨)
교활한 아전 어리석은 관장을 농락해 속여 재물을 취하다 223
10-3.〈145〉 농우쉬활서편재(弄愚?猾胥騙財)
가난한 무변(武弁) 병든 재상을 겁박해 좋은 벼슬자리 얻다 235
10-4.〈146〉 겁병재궁변무사(劫病宰窮弁?仕)
몰래 은혜 갚을 계책을 세워 통제사 노후를 편안하게 하다 242
10-5.〈147〉 암수혜모수귀로(暗酬惠謀帥歸老)
의리 베풀기를 실현하여 부친을 벼슬자리에 오르게 하다 252
10-6.〈148〉 현시의위친서사(現施義爲親筮仕)
가난한 선비 신분을 속이고 안동 고을 아전 되어 재물 얻다 260
10-7.〈149〉 궁유행리역득재(窮儒行吏役得財)
지혜로운 선비 평안 감사 비장 되어 재산 늘려 부(富) 이루다 267
10-8.〈150〉 지사차막명식화(智士借幕名殖貨)
이름 글자로 손님 셋을 조롱해 내쫓고 달변으로 관직 얻다 273
10-9.〈151〉 조좌객빙변득관(嘲座客騁辯得官)
사헌부 포리(捕吏)를 장황한 해학으로 놀려 구금을 면하다 281
10-10.〈152〉 하금리선학면구(?禁吏善謔免拘)
감사가 기생에게 친구 음낭 자물쇠로 잠그게 해 희롱하다 288
10-11.〈153〉 쇄객낭도백롱우(?客囊道伯弄友)
부자가 관아의 조미(租米) 빚 갚아 주고 양반을 사다 294
10-12.〈154〉 상관조부민매반(償官租富民買班)
예문관원 채수(蔡壽) 건물을 우러르며 기생과의 이별 눈물 참다 301
10-13.〈155〉 내한앙옥인체루(內翰仰屋忍涕淚)
경주 경차관(敬差官)이 궤 속에서 옷을 벗고 나와 수모를 당하다 309
10-14.〈156〉 차관출궤수나정(差官出櫃羞裸?)
죽 그릇을 물리쳐 어리석은 백성을 선도(善導)해 교화하다 317
10-15.〈157〉 퇴완죽우맹천선(退椀粥愚氓遷善)
분실한 은(銀) 주머니 돌려받은 강도가 의리에 감동하다 324
10-16.〈158〉 환탁은강도감의(還?銀强盜感義)
용감한 무변 패악한 백성을 소매 속 철추로 겁줘 감화하다 331
10-17.〈159〉 용변수추섭패민(勇弁袖椎?悖民)
늙은 재상 초헌(?軒)에서 내려 옛 상전에게 엎드려 절하다 341
10-18.〈160〉 노재하초예구주(老宰下?禮舊主)
홍우원(洪宇遠) 시골 부인 회초리 맞고 조심해 재앙을 피하다 347
10-19.〈161〉 홍상서수달피흉(洪尙書受撻避凶)
조 감사(趙監司) 독약 든 죽 물리고 수청 기생의 정부를 죽이다 356
10-20.〈162〉 조순사퇴죽에간(趙巡使退粥?奸)
여점 꿈속에서의 칼날에 놀라 음행 보복(淫行報復) 경계 삼다 362
10-21.〈163〉 점몽경망계음보(店夢驚?戒淫報)
환술(幻術)로 동전 구멍에 들게 하여 재산 욕심을 깨우치다 369
10-22.〈164〉 장희규전경재욕(?戱窺錢警財慾)

○ 동야휘집 권지십일(東野彙輯 卷之十一)

이정구(李廷龜) 부인 갈포 옷으로 명부(命婦) 잔치에 참석하다 379
11-1.〈165〉 갈포독부명부연(葛布獨赴命婦筵)
김수항(金壽恒) 부인 붉은 명주로 관복 세 벌 미리 지어 두다 385
11-2.〈166〉 홍주삼재대관복(紅紬三裁大官服)
놀랍고 신이한 꿈 여러 번 꾸고 마침내 기이한 혼인 이루다 391
11-3.〈167〉 경이몽경성기혼(驚異夢竟成奇婚)
김우항(金宇杭)이 중매 잘하여 함께 만년(晩年) 복을 누리다 401
11-4.〈168〉 작양매구수만복(作良媒俱受晩福)
가마 타고 가 행랑에 앉아 대감 아들 꾸짖고 정처(正妻) 되다 412
11-5.〈169〉 채교거랑책귀자(綵轎據廊責貴子)
비단부채로 얼굴 가리고 칼날을 번쩍여 정처(正妻) 약속 받다 419
11-6.〈170〉 환선영망약정실(紈扇映?約正室)
옥지환을 합쳐 보아 정인(情人)과 혼인하고 유복자도 만나다 428
11-7.〈171〉 합옥환봉처득윤(合玉環逢妻得胤)
우하형(禹夏亨)이 돈을 사기당해 죽고자 하다가 첩과 재물 얻다 439
11-8.〈172〉 실청동획첩횡재(失靑銅獲妾橫財)
현부인(賢婦人)의 지혜로 가마 보내 첩(妾)을 태워 오게 하다 450
11-9.〈173〉 현부지납채교녀(賢婦智納彩轎女)
엄부(嚴父)가 여인 부친 접대로 술 취해 아들 첩 허용하다 462
11-10.〈174〉 엄부취서금낭아(嚴父醉恕錦囊兒)
잘못된 인연이 행운으로 되고 비단 금령(衾領)으로 재회 증거 삼다 473
11-11.〈175〉 전오연홍금기신(轉誤緣紅錦寄信)
하룻밤 인연으로 죽을 위기에서 탈출하여 옥지환으로 약속을 지키다 482
11-12.〈176〉 탈화망옥환천약(脫禍網玉環踐約)
한 남편 섬기기로 맹세한 세 여인 노력 끝에 약속을 이루다 491
11-13.〈177〉 심숙맹삼부동실(尋宿盟三婦同室)
기이한 만남의 두 첩을 아내 허락으로 맞이해 행복 누리다 501
11-14.〈178〉 획기우이첩열옥(獲奇遇二妾列屋)
여종을 가마 속에 대신 넣어 첩 납치하는 도적 괴수 속이다 510
11-15.〈179〉 교중납환광적수(轎中納??賊帥)
정충신(鄭忠信) 평양성 중에 화약 묻어 중국 사신 위협하다 522
11-16.〈180〉 성리매약겁조사(城裏埋藥?詔使)
과객 지시로 아들 혼인시키어 자부 지혜로 가정을 보전하다 532
11-17.〈181〉 보가업일청지부(保家業一聽智婦)
홀아비가 여자로 분장하여 보쌈 당하고 부요한 두 첩 동시에 얻다 540
11-18.〈182〉 환신장쌍점요첩(換身粧雙占饒妾)

○ 동야휘집 권지십이(東野彙輯 卷之十二)

여자아이 선물 부채 폐백(幣帛)으로 간수하고 증거 삼아 혼인하다 548
12-1.〈183〉 장선폐동녀증약(藏扇幣童女證約)
노부인이 후손 여자들에게 경계심을 깨우쳐 글을 남기다 558
12-2.〈184〉 수간서노부수계(授簡書老婦垂誡)
상주(喪主) 된 신랑의 동침 증서 받아 유복자의 증거로 삼다 567
12-3.〈185〉 대극서봉표입증(對棘壻捧標立證)
여종 해당(海棠)을 남편과 동침시키는 계책으로 아들 얻다 573
12-4.〈186〉 납당비수계구사(納棠婢授計求嗣)
질투 심한 부인 남편 애기(愛妓) 미모에 용서하고 대화하다 581
12-5.〈187〉 연여모사죄접화(憐女貌赦罪接話)
기녀 사랑한 남편의 수염을 깎아 벌을 주어 분풀이하다 589
12-6.〈188〉 삭부염시벌설분(削夫髥施罰雪憤)
칼에 찔린 정인(情人)을 보고 놀란 기녀가 한을 품고 울부짖다 596
12-7.〈189〉 경검혈청루음한(驚劒血靑樓飮恨)
여종이 궁수(弓手)를 유인해 와 악인을 죽이고 상전 복수하다 607
12-8.〈190〉 차노수차환복수(借弩手叉?復讐)
제설(除雪) 일꾼으로 감영에 들어가 옛 정인(情人)의 얼굴을 보다 617
12-9.〈191〉 소설정획규고정(掃雪庭獲窺故情)
심희수(沈喜壽) 삼일유가 때 어사화 쓰고 옛 정인을 만나다 644
12-10.〈192〉 잠화로우해구연(簪花路遇諧舊緣)
이승 암자(尼僧庵子)에서 옛 정인 만나 급제 여부를 묻다 662
12-11.〈193〉 이암봉랑문등과(尼庵逢郞問登科)
강선루(降仙樓) 접대로 김창흡(金昌翕) 기녀에게 시 써 주다 672
12-12.〈194〉 선루대객화증시(仙樓對客話贈詩)
어사 박문수(朴文秀) 촉석루에서 두 기녀의 직분을 바꾸다 682
12-13.〈195〉 촉석루양녀출척(矗石樓兩女黜陟)
정주(定州) 납청정(納淸亭)에서 두 손님 함께 울다가 웃다 692
12-14.〈196〉 납청정이객도소(納淸亭二客?笑)
함흥(咸興) 동기(童妓) 가련(可憐)과 뒷기약을 굳게 하다 699
12-15.〈197〉 함관대창아류기(咸關對唱娥留期)
암행어사 장성(長城) 시기(詩妓) 노아(盧兒) 만나 속임 당하다 706
12-16.〈198〉 장성우시기견매(長城遇詩妓見賣)
기생 성산월(星山月)이 경험한 세 가지 우스운 일을 늘 말하다 712
12-17.〈199〉 성월매도삼가소(星月每道三可笑)
기생 옥향(玉香)이 평생 못 잊는 좋고 나쁜 일 두 가지 이야기하다 719
12-18.〈200〉 옥향위설양미망(玉香爲說兩未忘)
Author
이원명,김현룡,김종군,박현숙,송영림,이원영,하은하,한상효,황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