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옛집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저자가 이 주제에 대해 도전을 시작한 것은 16년 전의 일이다. 그러나 남북분단이후 남한학자로서 북한의 전통주택을 연구할 길은 원천적으로 막혀있었다. 그렇다면 현장에 가보지 않고도 자료를 획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기억이었다. 남한에 생존해 있는 많은 실향민들의 기억에 의존하여 그들이 살았던 옛집을 정확히 기억하여 재현할 수 있다면 그것은 새로운 보물 상자가 되는 셈이다.
이 작업은 2010년 『북한의 옛집 - 함경도편』을 저술함으로써 시작되었다. 2011년에는 『북한의 옛집 2- 평안도편』이 발간되었고, 이 책은 마지막 작업으로서 황해도 편을 기술한 것이다. 이 책의 주인공이자 책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자료를 보내준 실향민들에게 이 책이 조금이나마 실향의 아픔을 잊는 위로의 시간을 전해줄 수 있길 바란다.
Contents
서문
제1장 황해도의 역사와 생태환경
1. 황해도의 지역사
2. 황해도의 지형과 기후
3. 황해도의 마을과 생업
제2장 황해도 자료의 성격
1. 자료의 수집과정
2. 자료의 검증과 보정
3. 자료제공자의 출신지역과 마을환경
4. 자료제공자의 사회적 성격
제3장 황해도 옛집의 유형과 성격
1. 황해도 옛집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
2. 황해도 옛집의 여러 형식
3. 황해도 옛집의 공간적 성격
제4장 황해도 옛집의 지역적 성격
1. 주거유형의 지리적 분포
2. 황해도 북부지역의 집
3. 황해도 남부지역의 집
제5장 황해도 옛집의 계층적 성격
1. 하류계층의 주거
2. 중류계층의 주거
3. 상류계층의 주거
제6장 황해도 옛집의 시대적 성격
1. 일제강점기 이전의 주거형식
2. 마루의 발전
3. 일제강점기의 변화
제7장 황해도 옛집의 사례들
참고문헌
색인
Author
강영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공학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건축이론과 건축역사를 전공했다. 1983년부터 울산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건축 및 동아시아건축 분야를 주로 연구하여 많은 논문과 저서를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집의 사회사』(1992),『한국의 건축문화재』(1999),『한국 주거문화의 역사』(2002),『북한의 옛집』(2011)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공학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건축이론과 건축역사를 전공했다. 1983년부터 울산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건축 및 동아시아건축 분야를 주로 연구하여 많은 논문과 저서를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집의 사회사』(1992),『한국의 건축문화재』(1999),『한국 주거문화의 역사』(2002),『북한의 옛집』(2011) 등이 있다.